미 서비스업 지표 부진에 뉴욕 증시 하락 마감

S&P 500 지수(SPX)는 –0.49%,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는 –0.14%, 나스닥 100 지수(IUXX)는 –0.73% 하락하며 5일(현지시간) 뉴욕 증시가 일제히 약세로 마감했다. 이에 따라 9월물 E-mini S&P 선물은 –0.46%, 9월물 E-mini 나스닥 선물은 –0.71% 내려 선물시장 역시 부정적 흐름을 보였다.

2025년 8월 6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미국 서비스업 경기 둔화물가 압력 지속 신호에 반응하며 위험 자산 비중을 축소했다. 장 초반 기술주가 견조한 실적과 기대감으로 상승 출발했지만, 매크로 지표 악화가 낙관론을 빠르게 잠식했다.

미국 7월 ISM 비제조업(서비스) 지수는 50.1로 전월 대비 –0.7포인트 떨어지며 시장 예상치 51.5를 하회했다. 50을 간신히 웃도는 수치로, 50 이상이면 확장·50 미만이면 위축이라는 기준선에서 확장세가 거의 멈춰 섰음을 의미한다. 특히 서비스 물가 지불지수(Prices Paid)가 69.9로 2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해 인플레이션 우려를 자극했다.

“서비스 부문 가격 압력은 여전히 완화될 기미가 없다” (ISM 경제 조사위원회)

기술주 가운데서는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7%)가 호실적과 연간 가이던스 상향으로 시장을 주도했다. 그러나 가트너(–27%), 인스파이어 메디컬 시스템즈(–34%) 등 일부 성장주의 실적 경고가 투자 심리를 약화시켰고, 베르텍스 파마슈티컬스(–20%)는 임상 중단 소식으로 급락했다.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금리 인하 기대는 유지됐다. 지난주 부진한 고용·제조업 지표 발표 후 9월 회의에서 25bp(0.25%p) 인하 확률은 40%에서 94%로 급등했고, 10월 회의에서도 62%가량의 인하 가능성이 반영됐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물가보다 고용 둔화에 더 민감할 수 있다’는 해석이 힘을 얻고 있다.

6월 미국 무역수지 적자는 –602억 달러로 전월 –717억 달러 대비 축소되며 1년 9개월 만에 최소폭을 기록, 2분기 GDP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메리 데일리는 전날 “노동시장이 냉각되고 있으며 관세 인플레이션 징후가 없기 때문에 금리 인하 시점이 가까워지고 있다”고 발언해 완화적 스탠스를 재확인했다.


무역·관세 측면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일 인도산 수입품 관세를 25%에서 ‘대폭 상향’하겠다고 예고했다. 앞서 1일에는 캐나다 일부 품목 관세율을 25%→35%로 올리고, 10% 글로벌 최소 관세미국과 흑자를 내는 국가에 15% 이상 관세를 8월 7일 0시 이후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모든 조치가 시행될 경우 미국 평균 관세율은 2024년 2.3%에서 15.2%로 급등한다.

이번 주 시장은 기업 실적 발표와 추가 관세 뉴스에 초점을 맞춘다. 7일(목) 발표될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2.1만 건(전주 대비 +3,000건)으로, 2분기 비농업 생산성은 +2.0%, 단위노동비용은 +1.5% 증가가 예상된다.

현재까지 2분기 실적을 공개한 S&P500 기업은 67%이며, 이 중 83%가 시장 추정치를 상회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S&P500 2분기 순이익 증가율을 +9.1%(YoY)로 추정, 시즌 전 예상치 +2.8%를 크게 웃돌아 4년 만의 최고 성장세로 분석했다.

해외 증시는 유럽 Euro Stoxx 50 +0.14%, 중국 상하이종합지수 +0.96%, 일본 닛케이225 +0.64%로 마감했다.


국채·금리 동향

9월 만기 미 10년물 국채선물은 –2.5틱 하락해 3개월 고점에서 물러났고, 현물 10년물 수익률은 4.202%로 1bp 상승했다. 재무부는 이번 주 3·10·30년물 총 1,250억 달러 규모 쿼터리 리펀딩을 실시하며, 3년물 입찰 bid-to-cover(응찰 배수)가 2.53으로 최근 10회 평균 2.58보다 낮아 수요 부진을 드러냈다.

유럽 금리도 혼조세였다.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2.601%까지 내려간 뒤 2.624%로 보합 마감했고,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한 달 만의 저점(4.496%)에서 반등해 4.516%로 0.8bp 상승했다.

한편 유로존 7월 S&P 종합 PMI는 확정치 50.9(잠정 51.0), 영국은 51.5(잠정 51.0)로 각각 조정됐다. 스와프 시장은 9월 ECB 25bp 인하 확률을 16%로 반영 중이다.


종목별 등락 현황

실적 부진으로 인스파이어 메디컬 시스템즈(INSP) –34%, 가트너(IT) –27%, 베르텍스 파마슈티컬스(VRTX) –20%가 급락했다. 항공·방위 부품사 트랜스딤 그룹(TDG)은 매출·가이던스 하향으로 –12% 하락했다.

반도체 섹터에서는 글로벌파운드리스(GFS)가 3분기 EPS 가이던스 실망으로 –9% 급락했고, KLA 코퍼레이션, ASML, 람리서치 등 대형주도 1~3% 내렸다.

반면 액손 엔터프라이즈(AXON)는 매출·EBITDA 가이던스 상향으로 +16% 급등하며 S&P500·나스닥100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팔란티어(PLTR)도 연간 매출 전망 상향으로 +7% 올랐고, 라이도스 홀딩스(LDOS) +7%가 뒤를 이었다.

의료보험 업종은 월프리서치 보고서에서 Medicare Advantage 보너스 지급 기준 완화 가능성이 제기되며 유나이티드헬스 그룹(UNH) +4%, CVS 헬스 +3% 등 동반 강세를 보였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 E-mini 선물: CME가 소액 투자자를 위해 도입한 S&P·나스닥 지수 기반 소형 선물 계약이다.
• Bid-to-cover Ratio: 국채 입찰에서 투자자 주문 금액(입찰액)을 발행액으로 나눈 수치로, 2를 넘으면 수요가 양호하다고 평가한다.
• FOMC: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통화정책(금리·양적완화 등)을 결정하는 미국 연준(Fed)의 핵심 기구다.


전문가 시각

기자는 “서비스 물가 압력이 완화되지 않는 한 연준이 9월 즉각 인하에 나설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월가 소수 의견에도 주목한다. 다만 노동시장 냉각으로 ‘성장 리스크’가 부각되면 연준이 물가 목표보다 경기 방어를 택할 여지도 있다. 관세 이슈는 공급망·소비자물가에 2차 충격을 줄 수 있어 향후 CPI 흐름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기업 실적 모멘텀은 견조해 차별화 장세가 지속될 공산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