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서비스업 둔화·물가 부담에 뉴욕증시 약세 마감

뉴욕증시가 6일(현지 시각) 서비스업 경기 둔화와 물가 부담 재부각 속에 하락했다. 이날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49% 밀린 5,510.21에,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14% 내린 40,346.4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 지수는 -0.73% 떨어진 19,454.17에 각각 장을 마쳤다. 선물시장에서도 9월물 E-mini S&P는 -0.46%, 9월물 E-mini Nasdaq은 -0.71% 하락 마감했다.

2025년 8월 6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 같은 지수 약세는 미 공급관리협회(ISM)의 7월 서비스업 지수가 전월 대비 0.7포인트 낮은 50.1로 예상치(51.5)를 밑돌며 경기 둔화 우려를 키운 데다, 같은 달 서비스업 물가 지불지수가 오히려 2.4포인트 뛰어 2년 9개월 만의 최고치(69.9)를 기록한 영향이 컸다.

“서비스 부문의 경기 냉각물가 압력이 동시에 확인되면서 연준(Fed)의 통화정책 경로에 대한 시장의 고민이 깊어졌다.”


기술주 반짝 상승 후 급반락

장 초반에는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LTR)2분기 실적 서프라이즈와 연간 실적 상향 조정 소식으로 7% 급등하면서 기술주 랠리를 이끌었다. 그러나 ISM 지표 발표 이후 매도세가 재개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주 부진한 비농업고용·제조업 지표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9월 금리 인하 기대를 자극, 연방기금선물시장에서 9월 25bp 인하 확률은 40% → 94%로 급등한 상태다.

무역수지·연준 인사 발언이 완충 역할

같은 날 발표된 6월 미국 무역적자는 -602억 달러로 전월(-717억 달러) 대비 크게 축소돼 1년 9개월 만에 최소치를 기록, 2분기 국내총생산(GDP)에 우호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또한 전일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가 “고용시장 냉각과 관세발 인플레 조짐이 없음을 고려할 때 금리 인하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고 언급한 점도 주가 하방을 일부 제한했다.

트럼프발 관세 리스크 재부각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하는 인도를 겨냥해 현행 25% 관세를 ‘대폭 인상’하겠다고 예고했다. 그는 앞서 캐나다산 일부 품목의 관세율을 25% → 35%로 높이고, 전 세계 10% 최저 관세대미 무역흑자국 15% 이상 관세를 8월 7일 0시부터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이 조치가 모두 현실화될 경우 미국의 평균 관세율은 2024년 2.3% → 15.2%로 급상승한다.


채권시장 동향

9월물 10년 만기 미 국채선물은 이날 2.5틱 하락, 금리는 1bp 오른 4.202%를 기록했다. 재무부가 이번 주 1,250억 달러 규모의 분기 환매(offering)로 3·10·30년물 입찰에 나서면서 발행 부담이 부각됐다. ISM 서비스물가 급등도 인플레이션 우려를 자극하며 채권 가격을 누르는 요인이 됐다.

다만 3개월래 최저(4.183%) 금리권에서 하방 경직성을 보였는데, 이는 ISM 서비스업 지수가 50선에 근접하며 경기 둔화 시그널을 강화한 데다, 앞서 언급한 데일리 총재의 ‘비둘기파(완화 선호)’ 발언과 지난주 약한 고용·제조업 지표가 금리 인하 기대를 넘어서게 했기 때문이다.

유럽 채권금리는 혼조세였다. 독일 10년물 분트 금리는 1.5주 만의 최저치인 2.601%까지 내렸다가 2.624%로 보합 마감했고,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한 달 저점(4.496%)에서 소폭 반등해 4.516%로 0.8bp 상승했다.


주요 경제지표·용어 해설

• ISM 서비스업 지수는 미국 공급관리협회가 산출하는 서비스업 경기 선행지표로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 50 미만이면 수축을 의미한다.

• E-mini 선물은 시카고상품거래소(CME)가 운영하는 전자 거래 전용 소형 지수선물로, 기관·개인 투자자 모두 활용하는 지수 방향성 베팅 수단이다.

•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미국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회의이며, 비둘기파는 완화적 통화를 선호, 매파는 긴축적 통화를 선호하는 위원을 일컫는다.


해외증시·기업 실적

해외 증시는 혼조세였다. 유럽 유로 Stoxx50은 +0.14%,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96%, 일본 닛케이225는 +0.64% 올랐다.

2분기 실적 발표가 한창인 가운데,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 결과 S&P500 기업 실적은 y/y +9.1% 증가가 예상돼 시즌 개시 전 전망(+2.8%)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이미 67% 기업이 실적을 공개했으며, 그중 83%가 시장 추정치를 넘겼다.

주요 종목별 변동으로는 다음과 같다.

하락 종목 : Inspire Medical(-34%), Gartner(-27%), Vertex Pharma(-20%) 등은 가이던스 하향 또는 임상 중단 여파로 급락했다. 또한 TransDigm(-12%), GlobalFoundries(-9%), Fidelity National Information(-8%), Eaton(-7%) 등이 부진했다.

상승 종목 : Axon Enterprise(+16%)와 Palantir(+7%), Leidos(+7%)는 호실적에 급등했다. 유나이티드헬스(+4%)·CVS(+3%)·Humana(+2%)·Cigna(+1%) 등 헬스케어 보험주는 울프리서치 보고서로 랠리를 보였다. 이밖에 Pfizer(+5%), Archer-Daniels-Midland(+6%), Cummins(+3%) 등이 시장 대비 강세를 나타냈다.


향후 일정 및 시장 포인트

이번 주 시장은 추후 나올 관세·무역 관련 발언과 주요 기업 실적에 주목할 전망이다. 7일(목) 발표될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전주 대비 3천 건 늘어난 22만1천 건으로 예상되며, 같은 날 나올 2분기 비농업 생산성은 +2.0%, 단위노동비용은 +1.5% 증가가 전망된다.

연방기금선물시장은 9월 FOMC에서 25bp 인하 확률을 94%, 10월 회의에서 추가 인하 확률을 62%로 각각 반영하고 있다.

한편 6일 예정된 실적 발표 기업으로는 에어비앤비, 아메리칸인터내셔널그룹, 듀어대시, 월트디즈니 등 소비재·테크·에너지·보험 대형주가 대거 포함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