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보건장관 RFK 주니어, mRNA 백신 연구비 5억 달러 전면 삭감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이하 RFK 주니어) 미국 보건복지부(HHS) 장관mRNA 기반 백신 연구‧개발 예산 5억 달러(약 6천6백억 원)를 전액 삭감한다고 발표했다.

2025년 8월 6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RFK 주니어는 자신의 사회관계망 서비스(SNS) 계정에 올린 영상을 통해 생의학첨단연구개발국(BARDA)이 체결했던 mRNA 관련 22개 계약, 총 4억9천800만 달러 규모를 일괄 취소했다고 밝혔다.

그는 영상에서 “

NIHFDA의 최고 전문가들의 자문 및 과학적 검토 결과, ‘호흡기 바이러스(코로나19·인플루엔자 등) 대응에 있어 mRNA 기술의 위험이 이점보다 크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고 강조했다. 이어 “HHS는 ‘보다 안전하고 광범위한 백신 전략’에 재원을 배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mRNA 기술이란 무엇인가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은 살아 있는 바이러스나 박테리아를 주입하지 않고, 유전정보 일부를 전달해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차세대 플랫폼이다. 2020~2021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화이자·모더나 백신이 상용화되면서 대중적 관심이 급증했다.

그러나 RFK 주니어는 이번 결정 이유로 “mRNA 백신이 타깃 바이러스가 변이할 경우 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고, 부작용 위험에 대한 장기 자료가 미흡하다”는 점을 들었다.


BARDA 계약 전면 취소 배경

BARDA는 2006년 팬데믹 등 공중보건 위기에 대비해 설립된 HHS 산하 기구다. 통상 신속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해 민간기업과 수백억 달러 규모의 사전 구매 계약(Advance Purchase Agreement)을 체결해 왔다.

22개 계약 취소는 미국 연방정부 차원의 기술·정책 방향 전환을 의미한다. 업계에서는 화이자, 모더나 같은 mRNA 선두기업뿐 아니라, 국내외 바이오텍 스타트업에도 상당한 재정적 타격이 예상된다는 평가가 나온다.


RFK 주니어의 백신 회의론 이력

RFK 주니어는 오랜 기간 ‘백신 비판론자’로 활동해 왔다. 과거 백신 부작용 소송 전문 변호사로 일했으며, 백신과 자폐증 연관성을 주장하는 등 의학계에서 반박된 주장을 지속적으로 제기해 논란을 일으켰다.

올해 6월에는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예방접종자문위원회(ACIP) 위원 17명 전원을 해임하고, 백신 회의론 성향 인사 7명을 직접 임명해 ‘정치적 인사 개입’ 논란을 빚었다.


산업·시장 파급효과 및 전망

이번 예산 삭감으로 mRNA 관련 주가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미국 정부 지원이 줄어들면 업체별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해 신제품 파이프라인 개발 일정이 지연될 수 있다”고 진단한다.

반면, RFK 주니어는 “‘더 안전하고 폭넓은’ 백신 플랫폼—예컨대 단백질 재조합, 바이럴 벡터, 차세대 점비·경구 백신—에 초점을 맞추겠다”고 밝혔다. 팬데믹 이후 ‘백신 다변화’ 전략이 주요 보건당국의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이번 정책 전환이 국제 백신 시장 지형도를 재편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전문가 해설

일부 면역학자는 “mRNA 기술 자체가 아니라, 임상·안전성 데이터 해석 방식이 정치화된 측면이 크다”고 지적한다. 또 다른 보건경제학자는 “‘위험 대비 편익’ 평가는 시대·정책 목표에 따라 달라진다”며 “장기간 추적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정부가 선제적으로 리스크를 차단하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책 불확실성은 민간 투자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으나, 한편으론 백신 기술 생태계 다변화를 촉진해 결과적으로 공중보건 안전망을 넓힐 수 있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기술·용어 풀이

mRNA: 메신저 리보핵산. 유전 물질의 일종으로, 세포 내 단백질 합성 설계도를 전달한다.

BARDA: Biomedical Advanced Research and Development Authority. 미국의 바이오 방어·응급대응 연구개발 지원 기관이다.

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각각 기초·임상 연구 및 의약품 인허가를 담당한다.


이번 결정은 미국 내 백신 연구비 재편의 첫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업계·학계·규제기관 간 후속 논쟁이 지속될 전망이며, 글로벌 공중보건 정책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