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 주요 지수 동향】 31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S&P 500 지수(SPX)는 전일 대비 0.99% 하락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는 0.23% 내렸다. 기술주 비중이 큰 나스닥100 지수(IUXX)는 1.47% 떨어졌다. 같은 날 12월물 E-미니 S&P 500 선물(ESZ25)은 0.95%, 12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NQZ25)은 1.37% 각각 하락했다.
2025년 10월 3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장세 약세는 ‘빅테크’로 불리는 대형 기술기업들의 엇갈린 실적 발표와 금리 부담이 맞물린 결과다. 메타 플랫폼스가 11% 이상, 마이크로소프트가 2% 이상 급락했고, 반면 알파벳은 2% 넘게 상승했다.
【연준·금리 변수】
전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12월 FOMC에서 추가 금리 인하가 단정적이지 않다고 언급한 탓에 시장 금리(10년물 국채 수익률)는 4.11%로 2주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시장 참여자들은 12월 회의에서 25bp(bp=0.01%포인트) 인하 가능성을 72%로, 2026년 말까지 총 82bp 인하를 반영하고 있다.
【미·중 무역 완화 소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날 관세 휴전을 연장하고 상호 수출 규제를 완화하기로 합의했다. 미국은 중국산 펜타닐 관련 제품에 부과하던 관세를 20%에서 10%로 낮추고 일부 상호 관세 중단 조치를 1년 연장한다. 중국은 미국산 대두·수수 등 농산물 수입을 재개하고 희토류 자석 수출 규제도 일시 유예한다.
【실적 시즌 집중】
이번 주에는 S&P500 구성 173개 기업이 실적을 발표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현재까지 84% 기업이 예상을 웃돌며 2021년 이후 가장 높은 비트 비율을 기록 중이다. 다만 3분기 이익 증가율은 7.2%로 2년 만에 최저 수준이며, 매출 증가율도 5.9%로 둔화될 전망이다.
※용어 설명
E-미니 선물은 CME거래소가 소액 투자자를 위해 만든 소형 주가지수 선물 계약이다.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율은 명목채와 물가연동채(TIPS) 간 금리 차이로 산출하며, 향후 물가 기대 수준을 가늠하는 지표다.
【정부 셧다운 장기화】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은 5주째 지속되며 고용·소비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64만 명의 연방 공무원이 무급휴직에 들어갈 것으로 추정하며, 실업률이 4.7%까지 상승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해외 증시 혼조】
유럽 STOXX50 지수는 0.12% 하락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73% 내렸다. 반면 일본 닛케이225는 사상 최고치 경신 후 0.04% 상승 마감했다.
【채권·물가 지표】
12월 만기 미 10년물 국채(ZNZ5)는 6.5틱 하락, 수익률은 4.095%로 1.9bp 올랐다. 물가 기대가 높아지면서 10년물 BEI가 2.312%로 2주 최고치를 기록했다. 유럽에서는 독일 10년물 금리가 2.643%, 영국 10년물은 4.424%로 각각 상승했다. 같은 날 발표된 유로존 3분기 GDP는 전기 대비 0.2%, 전년 대비 1.3% 증가하며 예상을 소폭 웃돌았다.
【ECB 동결 및 전망】
유럽중앙은행은 예금금리를 2.00%로 동결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미·EU 무역 합의, 중동 휴전, 미·중 관계 진전이 성장 하방 리스크를 완화했다”고 평가했다. 스와프 시장은 12월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5%로 본다.
【대형 기술주 하락 세부 현황】
• 메타 플랫폼스(−11%): 연간 총비용 전망을 1,160억~1,180억 달러로 상향, 컨센서스(1,156억 달러) 상회
• 마이크로소프트(−2%): Azure 수요가 공급 능력을 초과한다고 CFO가 언급
• 테슬라(−4%), 아마존(−3%), 엔비디아(−2%)도 약세
알파벳은 3.3% 상승하며 3분기 TAC 제외 매출 874.7억 달러를 기록, 예상(851.1억 달러)을 상회했다.
【주요 낙폭 종목】
FMC(−45%), 스프라우츠 파머스 마켓(−26%), 치폴레(−18%), 시그나 그룹(−17%), 이베이(−15%), 인터내셔널 페이퍼(−12%), 보잉(−6%) 등이 두 자릿수 급락했다.
【주요 상승 종목】
가디언트 헬스(+28%), 메트세라(+23%): 노보 노디스크가 최대 77.75달러 인수 제안
C.H. 로빈슨(+19%): 3분기 EPS 호조 및 20억 달러 자사주 매입
아메텍(+7%), 헌팅턴 잉걸스(+6%), 얼라인 테크놀로지(+5%), 일라이 릴리(+4%)도 강세를 보였다.
【앞으로의 일정】
11월 5일 연방대법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적법성에 대한 구두 변론을 진행한다. 하급심이 불법 판단을 내린 만큼, 대법원이 이를 확정하면 이미 징수된 관세 환급 및 대통령 관세 부과 권한 제약이 예상된다. 최종 판결은 2025년 말~2026년 초 나올 전망이다.
같은 날 예정된 주요 기업 실적에는 애브비·엑손모빌·셰브론·트로우프라이스 등이 포함된다.
전문가 시각
대형 기술주의 실적 기대치 과열이 조정 국면을 부른 모양새다. 금리 변동성이 여전한 가운데, 무역 완화·정부 셧다운 등 정치 변수도 교차해 단기적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다. 국내 투자자는 환율·금리 스프레드와 함께, 미 정부 예산 협상이 길어질 경우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다시 부각될 수 있음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