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대두 선물, 주간 첫 거래일 약세 마감

시카고 상품거래소(CBOT) 대두 선물이 9월 15일(월) 거래를 전월물 기준 부셸당 3~4센트 하락으로 마쳤다. 바차트(cmdtyView) 전국 평균 현물 대두 가격은 4.25센트 내려 $9.66을 기록했다. 같은 날 대두박(soymeal) 선물은 t당 2.30~2.70달러 내렸으나, 대두유(soy oil) 선물12포인트 상승으로 반등세를 보였다.

2025년 9월 15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미국 농무부 산하 전미농업통계서비스(NASS)가 발표한 주간 작황·진척도 보고서(Crop Progress)에서 미국 대두 작물의 41%가 잎이 떨어지기 시작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확 진척률은 5%로 발표됐다.

작황 등급은 전주 대비 1%p 하락해 ‘양호 이상’ 비중이 63%로 축소됐으며, Brugler500* 지수는 3포인트 떨어진 362를 기록했다.

현물 대두 가격 그래프

주목

시장 외교 변수로는 재닛 베슨트 미 재무장관(US Treasury Secretary Bessent)이 이번 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중국 대표단과 만나 무역 현안을 논의하는 일정이 주목된다. 주말 회담은 주로 ‘틱톡(TikTok) 지분 구조’에 초점이 맞춰졌으나, 양국 간 농산물 교역 관련 언급은 거의 나오지 않은 상태다.

전미대두가공협회(NOPA)가 오전에 발표한 월간 통계에 따르면 8월 대두 분쇄(크러쉬) 물량은 1억8,981만 부셸로 시장 예상치를 700만 부셸 이상 웃돌았다. 이는 전월 대비 3.01% 감소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20.13% 증가이자 역대 8월 최대치보다 12.93% 높은 수준이다. 한편, 8월 말 기준 대두유 재고는 12억4,500만 파운드로 전년 대비 9.39% 늘었으나, 전월 대비로는 9.7% 줄었다.

대두박 선물 가격

미 농무부(USDA) 주간 수출검역(Export Inspections) 보고서에 따르면, 9월 11일로 끝나는 주간 대두 선적량은 804,352t(2,955만 부셸)로 전주 대비 72%, 전년 동주 대비 69.7% 증가했다. 최대 선적지는 이탈리아 125,063t이었고, 방글라데시(110,294t), 멕시코(88,234t)가 뒤를 이었다. 2025/26 마케팅연도 누적 선적량은 106만8,000t(3,924만9,000부셸)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42.9% 많다.

주목

브라질 현지 조사기관 AgRural은 2025/26년산 브라질 대두 파종률이 0.12%에 불과하다고 추정했다. 통상 9월 중순 브라질 중서부 일부 지역에서 조기 파종이 시작되지만, 건조한 날씨 탓에 작업이 지연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선물·현물 종가(9월 15일 장 마감)
• 2025년 11월물 대두: $10.4275, 3.5센트 하락
• 현물 근월물: $9.66, 4.25센트 하락
• 2026년 1월물 대두: $10.6175, 3.5센트 하락
• 2026년 3월물 대두: $10.7650, 3.75센트 하락

* Brugler500* 지수는 민간 리서치 업체 Brugler Marketing & Management가 발표하는 0~500점 스케일의 작황 평가지수로, 375점 이상이면 ‘우량’, 350점 전후는 ‘보통’, 325점 이하는 ‘부진’으로 간주한다.

** NOPA(National Oilseed Processors Association)는 미국 내 대두·유채(카놀라) 등 유지종자 압착 업체를 대표하는 협회다. NOPA 분쇄 통계는 미국 대두 수요를 조기에 가늠할 수 있는 선행지표로 시장의 주목을 받는다.

참고로 부셸(bushel)은 미국에서 쓰이는 곡물 부피 단위(1부셸=약 27.216kg)이며, 무역·선물 거래 시에는 통상 무게 환산치를 함께 제시한다. 또 파운드(lb)는 무게 단위(1lb=0.4536kg)로, 대두유 재고를 표시할 때 사용된다.

기사 작성자 오스틴 슈뢰더는 해당 종목에 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히며, 본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임을 강조했다.

전문가 해설 및 전망
단기적으로는 미·중 무역협상 결과가 추가 가격 변동성을 불러올 가능성이 크다. 8월 분쇄량이 예상치를 웃돌고, 대두유 재고가 전월 대비 축소된 점은 국내 수요 회복을 시사한다. 다만, 브라질 파종 지연이 장기적으로 공급 우려를 자극할 수 있어, 향후 기상 상황라니냐 가능성이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시카고 선물 가격이 10달러 초중반을 지지선으로 형성하는 가운데, 현물과의 스프레드 축소 여부가 단기 매매 포인트로 제시된다.


ⓒ 2025 Nasdaq, Inc.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