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남부에서는 은퇴자가 50만 달러(약 6억7,000만 원)의 노후 자금만으로도 쾌적한 주거 환경과 여유로운 생활비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025년 7월 29일, 나스닥닷컴이 전한 GOBankingRates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동 연구진은 미국 인구조사국(ACS) 2023년 5개년 자료와 Sperling’s BestPlaces, 미국 노동통계국 소비지출조사, 사회보장국(SSA) 월간 통계 등을 종합해 낮은 생활비·높은 ‘리버빌러티(Livability)’ 점수를 동시에 충족하는 10개 도시를 추렸다.
‘리버빌러티’는 주거·고용·교육·범죄·날씨 등 7개 지표를 점수화한 AreaVibes의 복합 지수다. 70점이면 평균, 80점 이상이면 ‘매우 살기 좋은 도시’로 평가된다. 조사 대상 각 도시는 주민 65세 이상 인구가 최소 1,000명 이상이며, 20년간 예상 은퇴 비용이 50만 달러 이하인 곳만 포함됐다.
1. 세바스찬(플로리다)
• 리버빌러티 83점
• 연간 생활비 46,621달러
• 사회보장 수령 후 20년 은퇴 비용 451,856달러
멕시코만이 아닌 대서양 연안의 소도시로, 온화한 기후와 저렴한 주택세가 강점이다.
2. 케이프커내버럴(플로리다)
• 리버빌러티 83점
• 연간 생활비 48,232달러
• 20년 은퇴 비용 484,064달러
우주 발사 관람과 해변 레저가 공존해 ‘취미·여가 친화 도시’로 꼽힌다.
3. 커빌(텍사스)
• 리버빌러티 81점
• 연간 생활비 41,754달러
• 20년 은퇴 비용 354,516달러
텍사스 힐 컨트리 중심부에 있어 의료 접근성이 좋고, 무소득세 주(州)라는 세제 이점이 있다.
4. 뉴포트리치(플로리다)
• 리버빌러티 80점
• 연간 생활비 43,054달러
• 20년 은퇴 비용 380,506달러
탬파만 북부에 위치, 항구 재개발 이후 의료시설과 문화 인프라가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5. 콜드스프링(켄터키)
• 리버빌러티 78점
• 연간 생활비 47,632달러
• 20년 은퇴 비용 472,067달러
오하이오 강을 사이에 두고 신시내티와 맞닿아 있어 ‘대도시 편의’와 ‘소도시 비용’이 공존한다.
6. 노스포트(플로리다)
• 리버빌러티 76점
• 연간 생활비 33,288달러
• 20년 은퇴 비용 185,194달러
조사 대상 중 생활비가 가장 낮다. 천연 온천과 해양 스포츠로 유명하며, 플로리다 남서부 개발 특구 가운데 하나다.
7. 타바레스(플로리다)
• 리버빌러티 76점
• 연간 생활비 39,374달러
• 20년 은퇴 비용 306,900달러
‘미국의 수상 비행기 수도(Seaplane City)’로 불리며, 낚시와 골프 인프라가 잘 구축돼 있다.
8. 오렌지파크(플로리다)
• 리버빌러티 76점
• 연간 생활비 45,893달러
• 20년 은퇴 비용 437,281달러
잭슨빌 도심과 30분 거리로, 의료·문화시설 이용이 용이하다.
9. 사우스보스턴(버지니아)
• 리버빌러티 76점
• 연간 생활비 46,217달러
• 20년 은퇴 비용 443,767달러
버지니아주 남부의 전통적인 담배 도시로, 최근 제조업 전환에 힘입어 생활물가가 안정적이다.
10. 노스포트마이어스(플로리다)
• 리버빌러티 75점
• 연간 생활비 30,368달러
• 20년 은퇴 비용 126,789달러
플로리다 남서단의 칼루사해협을 끼고 있어 수상 레저가 발달해 있다. 특히 주택 가격 대비 임대 수익률이 높아 세컨드하우스 수요도 꾸준하다.
조사 방법론과 해설
GOBankingRates는 △ACS 인구 데이터로 ‘65세 이상 인구 1,000명 이상 도시’ 추출 △Sperling’s BestPlaces 물가 지수와 BLS 소비 패턴으로 연간 생활비 산정 △SSA 평균 사회보장 수령액을 반영해 20년간 순 은퇴 비용을 계산했다. 이후 리버빌러티 점수가 높은 순으로 도시를 정렬했다.
사회보장 연금(Social Security)은 미 연방 정부가 62세부터 지급하는 공적연금이다. 개인의 평생 평균 소득과 납부 기록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며, 본 조사에서는 2025년 기준 월 1,907달러의 평균 수령액이 적용됐다.
한편, 텍사스·플로리다처럼 주(州) 소득세가 없거나 낮은 지역이 다수 포함된 점은 ‘세금 부담’이 은퇴 생활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반면 의료 인프라, 기후 안전성 등 정성적 요소도 무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전문가 시각: 한국에서도 지방 소도시·해외 저비용 도시를 활용해 은퇴 생활비를 줄이는 ‘다운사이징’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미 남부 사례처럼 ‘사회 인프라 대비 낮은 주거비’를 확보할 수 있다면, 국민연금·개인연금 조합만으로도 안정적 은퇴 설계가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