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7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08% 하락했으며,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51% 떨어졌다. 반면 나스닥 100 지수는 0.32% 상승해 기술주 강세가 두드러졌다. 같은 날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0.04% 내렸고,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38% 올랐다.
2025년 8월 8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장 초반 증시는 관세 완화 기대와 미·러 정상회담 소식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오후 들어 국채 입찰 부진과 일부 대형주의 급락이 부담으로 작용하며 상승분을 반납했다.
기술주 랠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수입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도,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겠다는 의지를 증명하면 면제해주겠다”
고 발표한 뒤 강화됐다. 또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며칠 내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정상회담을 개최할 것이라는 크렘린 발표도 위험자산 선호도를 높였다.
그러나 사이버보안 업체 포티넷이 연간 매출 전망을 하향 조정하면서 주가가 22% 넘게 급락했고, 일라이 릴리도 체중 감량 신약 시험 결과가 기대에 못 미치며 14% 이상 하락해 시장 전반에 부담을 줬다.
같은 날 진행된 미 재무부 300억 달러 규모 30년 만기 국채 입찰이 응찰률(bid-to-cover) 2.27배로 최근 10차례 평균(2.43배)을 밑돌자 국채 매도세가 확대됐다. 이에 10년물 국채 금리는 2bp 상승한 4.24%를 기록했다.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정책 전망도 관심사였다. 매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노동시장이 둔화되고 있어 수개월 내 정책 조정이 필요하다”고 언급해 완화적 스탠스를 시사했다. 반면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올해 25bp 인하 1회”만 예상하며 관세발(發) 인플레이션을 우려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9월 FOMC에서 25bp 인하 확률은 전주 40%에서 91%로 급등했다.
주간 실업수당 청구는 시장 예상(22만2천 건)을 웃돈 22만6천 건으로 노동시장 냉각을 시사했다. 계속 실업수당(1주 이상)도 197만4천 건으로 3년 9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2분기 비농업 생산성은 2.4% 증가해 예상을 상회했으며, 단위노동비용은 1.6% 올라 시장 컨센서스를 소폭 웃돌았다. 6월 소비자신용은 73억7천만 달러 늘어 전망치(75억 달러)에 근접했다.
중국 7월 수출은 전년 대비 7.2% 증가, 수입은 4.1% 증가해 글로벌 수요 둔화 우려를 완화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세부 내용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반도체 수입 관세를 100%로 인상하겠다고 밝혔으며, 전자제품 완제품에도 별도 세금을 부과할 예정이다. 또 인도산 제품 관세를 25%에서 50%로 두 배 인상하고, 캐나다 일부 품목 관세를 35%로 상향하는 등 관세폭을 전방위로 확대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실행 시 미국 평균 관세율이 15.2%로 상승해 2024년 2.3% 대비 여섯 배 이상 높아진다고 분석했다.
FOMC 금리선물은 9월 회의 때 25bp 인하 가능성을 91%, 10월 회의 때 68%로 반영했다.
Earnings Watch: 2분기 실적 호조
현재까지 S&P500 기업 79%가 실적을 발표했으며, 83%가 순익 예상을 상회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2분기 S&P500 순익 증가율이 연 9.1%로, 시즌 전 예상치 2.8%를 크게 웃돌아 4년 만의 최고 성과라고 밝혔다.
해외 증시 및 채권시장 동향
유럽 유로 Stoxx 50은 1.31% 상승 마감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16% 올라 10개월래 최고치에 안착했다. 일본 닛케이지수도 0.65% 오르며 1주 반 만에 최고치였다.
유럽 국채금리의 경우, 독일 10년물 금리는 2bp 하락한 2.63%, 영국 길트 10년물은 2.1bp 상승한 4.547%였다. 영란은행(BOE)은 기준금리를 25bp 인하(4.25→4.00%)했으며, 앤드루 베일리 총재는 “향후 인하는 점진적·신중히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설명
• E-미니 선물은 S&P500·나스닥100 등 주요 지수를 추종하는 소형 선물계약으로, 거래 단위가 작아 개인과 기관 모두 유동성 확보에 유리하다.
• Bid-to-Cover Ratio는 국채 입찰에서 응찰 규모 대비 발행 규모를 뜻하는 지표로, 숫자가 높을수록 수요가 강하다는 의미다.
종목별 주요 등락
상승 종목: AMD(+5% 이상), ASML·램리서치(+3% 이상),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스·마이크론·KLA(+2% 이상) 등 반도체주가 강세를 기록했다. 덧붙여 더치브라더스(+22%), 셀시어스(+17%), 듀오링고(+13%), 앱러빈(+11%), 인슐릿(+9%) 등 실적 호조 기업들이 두드러졌다.
하락 종목: 포티넷(-22%), 크록스(-29%), 일라이 릴리(-14%), 심보틱(-13%), ELF 뷰티(-9%), 에어비앤비(-8%), 이그잭트 사이언스(-7%), CF 인더스트리(-7%) 등이 대거 약세였다.
한편 8월 8일(현지시간) 예정된 주요 실적 발표 기업은 프리덤홀딩, 라마 광고, 리버티 미디어, 스케처스, 소테라 헬스, 템퍼스 AI, 언더아머, 웬디스 등이다.
본 기사 작성 시점에서 원문 저자는 해당 종목에 대한 직접적·간접적 투자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고 명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