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외환시장에서 23일(현지시간) 달러인덱스(DXY)가 전장 대비 0.47% 하락하며 1.5주 만의 저점으로 밀려났다. 미 10년물 국채금리가 동반 하락한 데다,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리치먼드 연은)의 7월 제조업 지수가 예상을 크게 밑돌면서 달러 매도세가 확대됐다.
2025년 7월 23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달러 약세를 자극한 직접적 요인은 국채 수익률 둔화다. 이날 미 10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4bp가량 밀려 연 4%대 초반으로 떨어졌다. 여기에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 현재지수가 전월보다 12포인트 급락해 -20으로 내려앉으면서 11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시장 컨센서스( -2 상승)와 큰 괴리를 보이면서 경기 둔화 우려가 달러 전반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재닛 베싯(John Bessent) 미 재무장관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직에서 물러날 이유를 찾지 못한다”고 밝혀 연준 독립성 우려를 일축했다.
최근 일부 정치권에서 제기된 ‘대통령의 파월 해임 가능성’이 달러 자산에 대한 외국인 투자심리를 훼손해 왔는데, 베싯 장관의 발언이 이를 어느 정도 진정시키며 달러 낙폭을 제한했다.
연방기금선물 시장은 7월 29~30일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을 5%로, 9월 16~17일 회의에서는 58%로 반영하고 있다. 금리 방향성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단기적으로 달러 방향성 역시 변동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유로화·엔화 동반 강세
달러 약세 덕분에 유로화(EUR/USD)는 0.47% 상승해 2주 최고치를 찍었다. 25일 열리는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지 요인이다. 다만 ECB 분기별 은행대출조사에서 “2분기 기업·가계 대출 수요가 전반적으로 부진했다”는 결과가 확인돼 상승폭은 제한됐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EU산 수입품에 15~20%의 최저 관세율을 추진 중이라는 보도는 유로존 성장 전망에 부정적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같은 날 엔/달러 환율(USD/JPY)도 0.58% 하락하며 엔화가 1주 최고치를 기록했다. 앞서 블룸버그는 “일본은행(BOJ)이 다음 주 회의에서 정책금리를 0.5%로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으나, 미 국채금리 하락이 더 강한 영향을 미치며 엔화가 반등했다. 다만 집권 자민당(LDP)이 참의원 선거에서 과반을 상실함에 따라 일본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재정 지출과 감세를 확대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어, 엔화 강세는 제한적일 수 있다.
국채·통화정책 용어 간단 해설
· T-노트(미국 재무부 중기국채): 만기 2~10년 사이의 국채로, 글로벌 금리 벤치마크 역할을 한다.
· 연방기금선물: 시장 참여자들이 연방기금금리(미국 기준금리)의 향후 경로에 베팅하는 파생상품이다. 가격 움직임을 통해 시장의 금리 인하·인상 기대를 파악할 수 있다.
· ECB 은행대출조사: 유럽 은행들의 대출 수요·공급 추세를 분기마다 집계해 경기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금·은 등 안전자산 급등
8월물 금 선물(GCQ2)은 1.09%(37.30달러) 올라 온스당 5주 최고가를 경신했다. 9월물 은 선물(SIU2)도 0.56%(0.221달러) 상승해 최근 14년 내 최고치를 재차 갈아치웠다. 달러 약세와 함께 글로벌 채권금리 하락이 귀금속 가격을 끌어올렸으며, ECB 대출조사 결과가 통화완화 기대를 부추긴 점도 호재로 작용했다. 게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150여 개국에 10~15% 추가 관세 부과 방침을 통보하겠다고 예고하며 무역 긴장이 고조된 점이 안전자산 수요를 키웠다.
실제로 금 ETF 보유 잔고는 전일 기준 거의 2년 만의 최고치로 늘어났다. 반면 산업 수요와 밀접한 은 가격은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 지표 급락 소식으로 잠시 숨고르기를 하는 모습도 나타났다.
전문가 시각
“미국 경기 선행지표가 흔들릴 경우 연준의 ‘비둘기파 전환’(통화완화 기조)이 한층 가속화될 수 있다. 달러 약세와 동시에 금·은·엔화 등 안전자산에 대한 전략적 비중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뉴욕 소재 헤지펀드 운용사 CIO는 진단했다.
국내 투자자 입장에서는 해외 ETF를 통한 분산 투자와 함께, 달러 약세·원화 강세 국면에 대비한 환헤지 전략이 요구된다. 특히 다음 주 FOMC·BOJ·ECB 등 굵직한 통화정책 이벤트가 줄줄이 예정돼 있어, 정책 결정에 따른 환율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기사 작성 시점 기준 해당 증권·파생상품에 대한 필자의 직접적 투자 포지션은 없으며,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