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채 금리 하락·조기 금리 인하 기대에 달러 약세 지속

달러 인덱스(DXY)가 전 거래일의 낙폭에 이어 -0.38% 추가 하락하며 약세를 기록했다. 미 국채 수익률이 떨어지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가능성이 부각된 것이 결정적이었다.

2025년 8월 5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지난주 발표된 7월 비농업 고용지표7월 ISM 제조업 지수가 시장 예상치를 하회해 미 경제 모멘텀이 둔화됐다는 우려가 커졌다. 이에 따라 10년 만기 미 재무부채권(미 국채) 금리가 하락했고, 투자자들은 위험 선호 심리를 회복하며 달러 수요를 줄였다.

또한 지난 8월 2일 현지시간 사임한 아드리아나 쿠글러(Adriana Kugler) 연준 이사의 공석이 달러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시장에서는 차기 미 행정부가 통화 완화 성향(dovish)이 강한 인물을 지명할 가능성을 거론하며,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정책 영향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Fed 관망 속 금리 선물시장 반응

미 연방기금(FF) 금리 선물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0.25%포인트) 인하 가능성을 90%로, 이어지는 10월 28~29일 회의에서도 70%로 반영하고 있다. 이는 고용·제조업 지표 발표 전 각각 40%, 30%에 그쳤던 확률을 크게 상회한다.

“약한 고용과 제조업 수치는 연준이 이르면 다음 달 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기대를 키웠다.”


유로화·엔화 등 주요 통화 동향

유로/달러(EUR/USD)-0.15% 하락했다. 8월 유로존 센틱스(Sentix) 투자심리지수가 예상을 깨고 -3.7로 떨어지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됐고, 10년 만기 독일 분트(Bund) 금리가 1개월 만에 최저치로 밀린 점도 유로화 금리를 매력 없게 만들었다. 여기에 미국의 관세 정책이 유로존 성장 전망을 제약할 것이라는 우려도 가세했다.

시장 스와프는 9월 11일 ECB 통화정책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15%로 반영하고 있다.

달러/엔(USD/JPY)-0.31% 추가 하락하며 1주일 만에 엔화 강세 흐름을 보였다. 니케이 225 지수가 1.5주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안전자산 선호가 유입됐고, 미 국채 금리 하락도 엔화 강세를 지지했다.


원자재·귀금속 시장

12월물 금 선물(Comex)+0.78% (+26.60달러), 9월물 은 선물+1.08% (+0.399달러) 상승 마감했다. 달러 약세·글로벌 국채 금리 하락이 금과 은 가격을 밀어올렸고, 금 가격은 1주 최고치를 경신했다.

안전자산 선호도 한몫했다. 투자자들은 우크라이나·중동 등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국 관세 정책이 세계 성장세를 억제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미국 6월 공장주문

6월 미국 공장주문전월 대비 -4.8% 감소해 5년 만에 최악의 낙폭을 기록했다. 다만 운송 장비를 제외한 주문은 +0.4% 증가하며 7개월 만의 최대 폭을 나타냈다.


전문가 해설: ‘달러 인덱스’란 무엇인가?

달러 인덱스(Dollar Index, DXY)는 달러 가치를 6개 주요 통화(유로, 엔, 파운드, 캐나다달러, 스웨덴크로나, 스위스프랑)에 대해 가중 평균한 지표다. 수치가 상승하면 달러가 강세, 하락하면 약세를 의미한다. 글로벌 투자자들은 DXY 흐름을 통해 위험 선호·회피 심리를 가늠하고, 환율·금리·원자재 시장 전략을 세운다.

‘금리선물(FF Futures)’ 이란? FF 금리 선물은 연방기금 목표금리에 대한 시장의 예상치를 가격 형태로 나타낸 상품이다. 100에서 선물가격을 빼면 시장이 기대하는 평균 금리가 산출된다. 예컨대 97.50이면 기대 금리는 2.50%(100-97.50)이다. 본문에서 언급된 확률은 이러한 가격 변동을 통해 역산한 수치다.


저자·정보

본 기사 원문은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가 작성했으며, 보도 시점 기준 필자는 관련 증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모든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권유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