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인덱스(DXY)가 19일(금) 0.31% 올라104.00선에 근접했다. 미국 T-노트(10년 만기 재무부 채권) 수익률이 동반 상승하며 달러 매수를 자극했고, 영국 파운드화가 2주 만의 최저치로 밀린 점도 달러 강세 요인으로 작용했다.
2025년 9월 1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달러는 장중 고점에서 일부 되돌림을 보였다.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의 닐 카시카리 총재가 “올해 추가로 두 차례 25bp씩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힌 직후다.
연준 독립성 훼손 우려도 달러를 압박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조 바이든 대통령이 리사 쿡 연준 이사를 해임하려는 시도를 하고, 동시에 스티븐 미란이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직을 유지한 채 연준 이사로 취임하려는 계획이 외국인 투자자의 달러 자산 매도를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FOMC·시장 전망
파생상품 시장(연방기금선물)은 10월 28~29일 열리는 차기 FOMC에서 25bp 추가 인하 가능성을 91% 반영하고 있다.
카시카리 총재는 이번 주 25bp 인하 결정에 찬성했으며 “경제 데이터가 예상대로라면 연내 두 차례 추가 인하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유로화·파운드화 동향
유로/달러(EUR/USD)는 0.33% 하락했다. 독일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년 대비 –2.2%로 15개월 만의 최대 하락폭을 기록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졌다. 독일 정부가 4분기 차입 규모를 당초 계획보다 20% 늘리기로 한 점도 재정 부담 심화로 해석돼 유로 약세를 심화했다.
ECB 내부 메시지는 엇갈렸다. 이사회 위원 마리우 센테누는 “성장과 물가가 목표에 미달할 가능성이 높아 추가 완화가 필요하다”고 했지만, 마르틴 뮐러 위원은 “현재 완만한 완화 기조가 유지되고 있으며 더 낮출 필요를 보지 못한다”고 말했다. 시장은 10월 30일 ECB 회의에서 추가 금리 인하 확률을 2%로 미미하게 반영하고 있다.
엔화·BOJ 정책
달러/엔(USD/JPY)은 0.03% 내려 엔화가 소폭 강세로 전환했다. 일본은행(BOJ)이 연간 3,300억 엔 규모의 ETF 보유분을 매각하기로 하면서 긴축 시그널이 포착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BOJ는 기준금리를 0.50%로 동결했으며, 우에다 가즈오 총재가 “더 많은 데이터를 본 뒤 정책 조정 여부를 판단하겠다”고 밝혀 추가 긴축 시점은 불투명하다.
같은 날 발표된 일본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2.7% 상승해 시장 예상치(2.8%)를 소폭 하회했다. 식품·에너지 제외 근원 CPI는 3.3%로 전월(3.4%)보다 둔화됐다.
금·은 등 귀금속
12월물 금 선물은 0.75%(+27.50달러) 오른 1,850달러대에서 마감했다. 같은 만기 은 선물은 1.98%(+0.834달러) 상승했다. 연준과 ECB의 완화적 발언이 안전자산 수요를 되살렸기 때문이다. 다만 달러 강세와 글로벌 채권 금리 상승, 주식시장 랠리는 귀금속 상승폭을 제한했다.
ETF(상장지수펀드)를 통한 자금 유입도 지속되고 있다. 금 ETF 보유량은 전날 2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은 ETF는 3년 만에 최고치를 각각 경신했다.
정치·지정학 변수
미국 내 연준 인사 교체 논란, 프랑스 ‘프랑수아 바위루 총리’ 의회 불신임 사퇴, 일본 ‘이시바 시게루 총리’ 사퇴 등 정치 불확실성이 여전해 금 가격에 밑받침이 되고 있다.
용어 설명
T-노트는 미국 재무부가 발행하는 2·3·5·7·10년 만기 중기 채권을 지칭하며, 글로벌 기준 금리 역할을 한다. 스왑 시장은 금리 파생상품을 통해 중앙은행의 정책금리 전망을 거래하는 시장을 말한다. 캐리오버 서포트는 전일 또는 이전 거래일의 가격 흐름이나 기대가 다음 날에도 이어지는 현상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