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채 금리 상승에 뉴욕 증시 압박…S&P·다우·나스닥 약세

주요 뉴욕 증시 3대 지수가 미 국채 수익률 급등 영향을 받아 장중 상승분을 반납하고 약세로 돌아섰다.

S&P 500 지수-0.25%,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0.26%, 나스닥 100 지수-0.13% 하락하고 있다. 동시에 6월물 E-mini S&P 선물은 -0.26%, 6월물 E-mini 나스닥 선물은 -0.10% 내리고 있다.

2025년 9월 12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5bp 오른 4.49%를 기록하면서 위험 자산 선호 심리가 위축됐다. 장 초반 S&P 500과 다우 지수는 1주 신고점, 나스닥 100은 3개월 신고점을 찍었으나, 국채 금리 반등이 주식 매수세를 억눌렀다.

주목

트럼프 전 대통령이 유럽연합(EU)산 수입품에 대한 50% 관세 부과 시점을 6월 1일에서 7월 9일로 연기한 것도 단기적인 상승 재료였으나, 금리 변수에 힘이 밀렸다. 시장은 장 마감 후 예정된 NVIDIA 실적 발표를 통해 AI(인공지능) 수요와 무역 갈등이 기업 실적에 미칠 영향을 가늠하려는 분위기다.

주택·고용·물가 지표도 혼재된 신호를 던졌다. 미 모기지은행협회(MBA)에 따르면 5월 23일로 끝난 주간 모기지 신청지수는 전주 대비 -1.2%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주택 구매 목적 신청은 +2.7% 늘었으나, 재융자 신청은 -7.1% 줄었다. 같은 기간 30년 만기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는 6.92%에서 6.98%로 6bp 상승했다.

미국 5월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 지수는 전월 대비 4포인트 오른 -9를 기록해 예상치와 일치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6월 회의에서 25bp(0.25%P) 금리 인하 가능성2% 수준으로 거의 반영되지 않고 있다.

이번 주 시장의 초점은 관세 관련 추가 뉴스무역협상 관측에 맞춰져 있다. 6월 6~7일 FOMC 의사록이 오늘 공개되며, NVIDIA 실적은 장 마감 후 발표된다. 29일(목)에는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3만 건으로 소폭 증가할 전망이며,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는 -0.3%(연율)로 수정 없이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같은 날 4월 기존주택 계약건수는 전월 대비 -1.0% 감소가 예상된다.

주목

30일(금)에는 4월 개인소비지출(PCE)과 개인소득이 각각 +0.2%, +0.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지표인 4월 근원 PCE는 전월 대비 +0.1%, 전년 동월 대비 +2.5%로 예상된다. 같은 날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5월 확정)는 50.8에서 51.0으로 상향될 것으로 보인다.

1분기 실적 시즌은 막바지다. S&P 500 기업 중 90% 이상이 실적을 발표했고, 그중 77%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해 2024년 2분기 이후 최고 비율을 기록했다. 1분기 EPS 성장률은 발표 전 예상치(6.6%)의 두 배인 +13.1%로 집계됐다. 다만 2025년 연간 이익 증가률 전망은 연초 +12.5%에서 +9.4%로 낮아졌다.


해외 증시 및 국채 시장 동향

해외 주식시장도 대부분 약세다. 유로 스톡스 50-0.50%, 중국 상하이종합지수-0.02%, 일본 닛케이225는 2주 최고치에서 후퇴하며 보합 마감했다.

채권시장에서는 6월물 미국 10년 만기 국채선물이 11틱 하락했고, 현물 수익률은 5.4bp 오른 4.497%로 상승세다. 유럽 국채 금리도 동반 상승했는데, 독일 10년물은 2.545%(+1.3bp), 영국 10년물 깃은 4.707%(+4.2bp)로 뛰었다.

유럽중앙은행(ECB)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4월)이 전년 대비 3.1%로 14개월 최고치를 기록한 반면, 3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2.5%로 전월과 동일했다. 독일 5월 실업자는 시장 예상(1만2000명 증가)을 웃도는 3만4000명 늘어 2년 9개월 만에 최대폭을 기록했다.

스와프 시장은 ECB 6월 회의에서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을 98% 반영하고 있다.


섹터·종목별 움직임

주택 건설주

미 국채 금리가 뛰면서 주택 수요 둔화 우려가 확대돼 DR 호튼, 레너, 풀티그룹, 모호크 인더스트리, 톨 브라더스 등이 2% 이상 하락하고, 자재 공급업체 빌더스 퍼스트소스도 1% 이상 밀렸다.

개별 하락주

옥타(OKTA)는 2분기 실적 가이던스가 컨센서스에 미달하면서 -12% 급락했다. 갤럭시 디지털 역시 2900만 주 공개 모집 계획을 밝히며 12% 넘게 밀렸고, PDD 홀딩스는 기관 투자의 투다운그레이드 영향으로 나스닥 100 내 가장 큰 하락폭(-3% 이상)을 기록했다.

개별 상승주

페어 아이작(FICO)는 Baird의 투자의견 상향(중립→아웃퍼폼)과 1900달러 목표가 제시에 힘입어 7% 이상 급등해 S&P 500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어버크롬비&피치는 1분기 매출 호조와 연간 매출 전망 상향으로 25% 폭등했으며, 박스(Box Inc)도 연간 매출 전망 상향(11억7000만 달러) 후 17% 뛰었다. 베일 리조트는 CEO 교체 소식과 2025 회계연도 가이던스 재확인으로 12% 상승했다. 엘리벤트 헬스, 휴마나, CVS 헬스, 유나이티드헬스그룹 등 보험·헬스케어 대형주도 1% 내외 올랐다.

한편, JP모건체이스는 노블 코퍼레이션 주식을 비중확대(오버웨이트)로 상향 조정하고 목표가 30달러를 제시해 주가가 1% 이상 상승했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E-mini 선물은 CME(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지수 선물로, 표준 계약의 5분의 1 규모여서 개인투자자 접근성이 높다.

T-note(미 국채 중기물)는 만기 2~10년 국채를 지칭하며, 수익률(금리)은 가격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bp(basis point)는 0.01%포인트를 의미한다.

Core PCE(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는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인플레이션 지표로, 연준의 정책 판단 기준이다.

스와프 시장 확률은 금리선물 가격을 통해 계산한 중앙은행 정책금리 변동 가능성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