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프란시스코 — 로이터에 따르면, 미 공화당 소속 상원의원 8명이 목요일 서한을 통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엔비디아(Nvidia)의 최첨단 인공지능(AI) 칩 접근을 지속적으로 차단하기로 한 결정을 공개적으로 환영했다고 밝혔다다.
2025년 11월 6일, 로이터(Reuters)의 보도에 따르면, 이 서한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전날 파이낸셜 타임스(FT) 인터뷰에서 “중국이 글로벌 AI 경쟁에서 미국을 앞지를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한 직후 나왔다다. 황 CEO는 이후 소셜미디어 X에
“미국은 앞서 나가 전 세계 개발자들을 확보함으로써 승리한다(“America wins by racing ahead and winning developers worldwide.”)”
고 덧붙였다다.
황 CEO는 그간 중국의 방대한 AI 소프트웨어 개발자 저변이 미국산 칩을 계속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미국의 경쟁우위 유지에 핵심이라는 논리를 반복해왔다다. 이러한 기업적 관점은, 안보 및 기술 패권을 중시하는 정책적 접근과 때로 긴장 관계를 빚어 왔다다.
지난주 예정됐던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회담을 앞두고, 워싱턴의 대중 강경파들 사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엔비디아의 주력 ‘블랙웰(Blackwell)’ 칩의 변형 제품을 중국에 판매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고 보도됐다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해당 칩 문제가 회담 의제에 포함될 것이라고 밝힌 데 따른 것이었다다.
트럼프 대통령의 공화당과 민주당 양측의 미 연방의원들은 중국의 해당 칩 접근을 허용하지 말라고 잇달아 촉구해 왔다다. 결과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엔비디아에 대한 어떤 수출 통제 완화도 단행하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전했다다.
공화당 상원의원 서한의 핵심 메시지
공화당 상원의원들은 서한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다.
“엔비디아의 블랙웰을 포함해 미국의 최첨단 반도체를 중국 공산당에 계속해서 제공하지 않기로 한 귀하의 선견지명과 지혜에 박수를 보낸다. 당신이 말했듯이, 미국은 AI 경쟁을 시작한 나라이며, 이 결정은 미국이 그 경쟁에서 승리하도록 뒷받침할 것이다.”
발신자는 네브래스카의 피트 리켓츠(Pete Ricketts), 아칸소의 톰 코튼(Tom Cotton), 캔자스의 로저 마셜(Roger Marshall), 인디애나의 짐 뱅크스(Jim Banks), 텍사스의 존 코닌(John Cornyn), 노스다코타의 케빈 크레이머(Kevin Cramer), 사우스캐롤라이나의 린지 그레이엄(Lindsey Graham), 테네시의 빌 해거티(Bill Hagerty) 등 총 8명이다다.
배경 및 맥락: 기업 논리와 정책 판단의 접점
엔비디아는 AI 학습·추론 등 대규모 연산에 필요한 가속기 반도체를 설계·공급하는 대표 기업으로, 기사에서 언급된 ‘블랙웰(Blackwell)’은 해당 회사의 주력 AI 칩 라인업을 가리키는 명칭이다다. ‘최첨단 AI 칩 접근 제한’은 곧 첨단 연산 능력의 대중(對中) 제공을 억제하는 정책적 방향을 뜻하며, 이번 보도에서 핵심은 현행 제한을 완화하지 않기로 한 결정에 있다다.
황 CEO가 강조한 바와 같이, 전 세계 개발자 생태계를 누가 더 많이, 더 깊게 확보하느냐는 AI 경쟁의 승패에 중대한 요인이 된다다. 이에 따라 기업 입장에서는 시장 접근성과 개발자 기반 확대를 중시하고, 정책 당국은 안보·공급망·장기 경쟁력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다. 이번 서한은 의회 내 대중 강경 기류가 여전히 견고함을 보여주는 지표로 읽힌다다.
전문 용어 간단 설명
AI 칩은 대규모 병렬 연산을 빠르게 수행하도록 설계된 반도체로, 생성형 AI를 포함한 다양한 모델의 학습과 추론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한다다. 블랙웰은 기사에서 “주력(flagship)”으로 지칭된 바와 같이, 엔비디아의 대표 AI 가속기 칩 제품군을 가리키는 이름이다다. 수출 통제는 특정 기술·제품의 국외 이전을 제한하는 정책적 조치를 포괄적으로 일컫는다다.
분석과 시사점
첫째, 대중 첨단 칩 통제 유지는 정책 일관성과 안보 우선 기조를 재확인한다다. 보도에 따르면 양당 의원들이 접근 허용 반대를 표명했고, 최종적으로 완화 조치가 없었다. 이는 의회와 행정부 간 방향성이 이번 사안에서 교차하는 지점을 보여준다다.
둘째, 기업의 글로벌 개발자 생태계 전략과 정책의 기술안보 우선순위 사이의 긴장은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다. 황 CEO가 언급한 “전 세계 개발자 확보”의 중요성은 AI 경쟁의 본질을 드러낸다. 반면, 의원 서한은 “미국이 AI 경쟁을 시작했고, 그 경쟁에서 이겨야 한다”는 국가 경쟁의 프레임을 강화한다다.
셋째, 외교 이벤트(정상 간 회담)가 기술 통제 이슈와 맞물릴 때, 정책 신호는 시장과 산업에 즉각적인 의미를 가진다다. 이번 사례에서 회담 의제 포함 가능성이 거론되자, 워싱턴 강경파의 경계가 고조되었고, 최종적으로는 완화 없음으로 귀결됐다다. 이는 짧은 기간에도 정책 방향의 해석을 둘러싼 기대·우려가 크게 변동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다.
넷째, 의회 내 구체 인물들의 연서명은 정책 이슈에 대한 정치적 결속을 드러낸다다. 이번 서한은 8명의 공화당 상원의원이 명시적으로 대통령 결정에 지지를 표명함으로써, 향후 유사 사안에서의 정치적 레퍼런스로 기능할 수 있다다.
다섯째, AI 경쟁의 평가 기준에 관한 관점 차이가 부각된다다. 황 CEO는 개발자 커뮤니티의 선택을 승부처로 본 반면, 의원 서한은 첨단 반도체 접근 차단 자체를 경쟁 승리의 수단으로 강조했다다. 두 접근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미국의 승리’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정책·산업 간 우선순위 조정이 지속적으로 논의될 여지를 남긴다다.
핵심 사실 정리
• 장소: 샌프란시스코(로이터)다.
• 주요 행위: 공화당 상원의원 8명, 트럼프 대통령의 엔비디아 최첨단 AI 칩 대중 접근 차단 유지 결정에 대해 서한으로 환영을 표명했다다.
• 발언: 젠슨 황 CEO, FT 인터뷰 및 X 게시물에서 중국의 추월 가능성과 “미국은 앞서 나가 개발자들을 확보함으로써 승리”라는 견해를 밝혔다다.
• 정치 일정: 지난주 트럼프-시진핑 회담을 앞두고 칩 문제가 의제에 포함될 수 있다는 언급이 있었다다.
• 결론: 엔비디아에 대한 수출 통제 완화는 없었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