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경제 강세 지표에 달러 강세… 달러인덱스(DXY) 5.25개월래 최고

달러인덱스(DXY)가 이날 5.25개월 만의 최고치로 상승하며 +0.08% 올랐다. 미국의 10월 ADP 민간고용이 예상치를 상회하고, 10월 ISM 서비스업 지수가 시장 전망을 웃돌아 8개월래 최고로 개선된 것이 연준(Fed) 정책에 매파적으로 작용해 달러 강세를 견인했다.

2025년 11월 5일, 바차트(Barchart) 보도에 따르면, 워싱턴포스트는 일부 중도 성향의 민주당 상원의원들이 미 연방정부 셧다운 종료에 표결로 나설 가능성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지난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12월 추가 금리 인하가 기정사실은 아니라고 경고했던 발언의 잔향이 이어지며 달러에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했다.

달러인덱스(DXY) 개요

주목

다만, 화요일 급락 이후 주식시장이 안정세를 보이자 안전자산 유동성 수요가 진정되면서 달러의 추가 상승폭은 제한됐다. 동시에 미국의 연방정부 셧다운이 지속되는 점은 달러에 부담으로 남았다. 보도는 셧다운이 길어질수록 미국 경기의 하방 위험이 커지고, 그에 따라 연준의 금리 인하 필요성이 커질 수 있다고 전했다.


미국 지표: 고용·서비스 경기 모두 예상 상회

미국 10월 ADP 민간고용+4만2천 명 증가해 시장 예상치 +3만 명을 상회했다. 이는 고용시장의 완만하지만 견조한 수요를 시사하며, 달러 강세 재료로 작용했다.

같은 달 ISM 서비스업 지수+2.4포인트 급등한 52.4를 기록해 컨센서스 50.8을 웃돌았고, 8개월래 가장 빠른 확장 속도를 나타냈다. 특히 지불가격(Prices Paid) 세부지수+0.6포인트 오른 70.0으로 3년래 최고를 경신, 시장의 68.0 하락 예상과 달리 서비스 부문 물가 압력이 재가열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주목

파생시장은 12월 9~10일 FOMC에서 연준이 기준금리 25bp 인하에 나설 확률을 64%로 반영하고 있다시장 베팅 기준. 파월 의장의 신중 기조에도 불구하고, 셧다운과 물가·성장 간 미세한 균형에 대한 경계가 정책 기대를 양방향으로 흔드는 모양새다.

핵심 포인트: “강한 고용·서비스 지표달러 상방”, “셧다운 장기화 위험연준 완화 기대”라는 상충 시그널 속에서, 데이터 의존적 정책 경로가 재확인됐다.


유로화: 약세 지속 속 완충 요인도 존재

EUR/USD는 장중 3개월래 신저점을 새로 쓰며 -0.02% 하락했다. 달러 강세가 유로를 압박한 가운데, 유로존 9월 생산자물가(PPI)가 예상보다 더 하락하며 ECB 정책에 비둘기(완화)적 요인으로 작용, 유로 약세를 부추겼다. 다만 유로존 10월 S&P 종합 PMI가 상향 수정되고 독일 9월 공장수주5개월래 최대 폭으로 증가해 낙폭을 일부 제한했다.

EUR/USD 개요 차트

보도는 중앙은행 간 정책 경로의 차별화가 유로에 구조적 지지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ECB는 감속(혹은 종료)에 가까운 완화 사이클로 인식되는 반면, 연준은 2026년 말까지 추가 인하가 더 남아 있다는 시장의 전망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도는 중장기적으로 정책 금리 스프레드 축소를 통해 유로에 호재가 될 수 있다.

세부 지표를 보면, 유로존 10월 S&P 종합 PMI52.2→52.5(+0.3)로 상향되어 약 2.5년래 가장 빠른 확장을 기록했다. 9월 PPI-0.1% m/m, -0.2% y/y로, 월간 기준 시장의 보합(0.0%) 기대를 밑돌았다. 독일 9월 공장수주+1.1% m/m로 컨센서스 +0.9%를 상회했다.

스왑시장은 ECB 12월 18일 통화정책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5%로 반영 중이다. 이는 추가 인하 가능성이 낮다는 신호로, 최근 유로의 급락 폭을 제한하는 배경으로도 해석된다.


엔화: BOJ 의사록 비둘기 기조에 약세 지속

USD/JPY+0.36% 상승했다. 엔화는 화요일 기록한 8.5개월래 달러 대비 저점 위에서 약세 압력을 이어갔다. 일본은행(BOJ) 9월 17~18일 회의 의사록에서 일부 위원이 금리 인상에 신중한 입장을 보인 점이 비둘기 신호로 해석됐다. 또한 미국 국채(T-note) 수익률 상승이 엔화에 역풍으로 작용했다.

USD/JPY 개요 차트

시장에서는 12월 19일 BOJ 회의에서 금리 인상 가능성을 48%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다만 일본 내 정치 불확실성과 BOJ의 인상 지연 인식이 최근 엔화 약세를 심화시킨 요인으로 지목됐다.


귀금속: 안전자산 수요 유입에도 달러 강세가 상단을 제한

12월물 COMEX 금+18.30달러(+0.46%), 12월물 COMEX 은+0.369달러(+0.78%) 상승했다. 미국 정부 셧다운, 미 대중관세 등 무역정책 불확실성, 지정학적 리스크, 각국 중앙은행의 매수, 연준 독립성에 대한 정치적 압력안전자산 선호 요인이 밑바탕에 있다. 여기에 BOJ 의사록의 신중론도 완화적 기대를 자극해 귀금속에 우호적으로 작용했다. 한편, 유로존 10월 종합 PMI 상향독일 9월 공장수주 급증산업금속 수요 개선 신호로 해석되어 은 가격에는 특히 호재가 됐다.

COMEX 금 선물 개요

COMEX 은 선물 개요

그럼에도 달러인덱스가 5.25개월 고점으로 치솟으면서 귀금속의 상승폭은 제한됐다. 또한 주식 반등은 안전자산 수요를 약화시켰고, 미 국채 수익률 상승은 무이자 자산인 금·은에 역풍으로 작용했다.

한편, 세계금협회(WGC)가 지난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전 세계 중앙은행 금 매입220톤(MT)으로 2분기 대비 28% 증가했다. 다만 10월 중순 사상 최고가를 기록한 이후 차익실현(롱 청산) 압력이 귀금속 가격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10월 21일 3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던 금·은 ETF 보유는 최근 감소세로 돌아섰다.


마켓 메모

“20만 명+ 구독자와 함께 하라: 정오 Barchart Brief 뉴스레터가 매일 수천 명에게 필독인 이유를 확인하라.”


용어 설명 및 배경

달러인덱스(DXY): 달러를 유로, 엔, 파운드, 캐나다달러, 스웨덴크로나, 스위스프랑 등 주요 통화 바스켓과 비교한 지수다. 달러의 전반적 강세·약세를 가늠하는 대표 지표다.

ADP 민간고용: 자동화 데이터 처리회사(ADP)가 집계하는 미국 민간 부문 고용 추정치로, 비농업고용(NFP) 발표 전 시장이 고용 흐름을 가늠하는 참고 지표로 활용한다.

ISM 서비스업 지수: 미국 공급관리협회가 조사하는 서비스 부문 경기 확장·위축 지표다. 50을 기준으로 50 초과는 확장, 50 미만은 위축을 뜻한다. 지불가격(Prices Paid) 세부지수는 서비스 부문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늠하는 핵심 신호다.

PMI/PPI: PMI는 구매관리자지수로 경기 선행지표에 속한다. PPI는 생산자물가지수로 기업의 출하가격 변동을 측정해, 소비자물가(CPI)에 선행하는 경향이 있다.

미 국채 수익률(T-note yields): 국채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며, 달러와 엔화 등 금리 차별화, 금 가격에 민감한 변수다.

매파/비둘기(호키시/도비시): 매파는 물가 안정을 우선해 금리 인상·긴축을 선호하는 성향, 비둘기는 성장·고용을 중시해 금리 인하·완화를 선호하는 성향을 뜻한다.

스왑시장 확률: 금리선물·스왑 가격에서 정책금리 경로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역산한 수치로, FOMC·ECB·BOJ 회의별 인상·인하 가능성을 추정한다.

COMEX·MT: COMEX는 뉴욕상품거래소 금·은 선물 시장이며, MT미터톤(metric ton)의 약자다.


기자 해설: 정책 불확실성과 데이터의 ‘줄다리기’

이번 달러 강세의 직접 동력미국의 예상 상회 지표다. 특히 서비스 부문 물가 신호(Prices Paid 70.0)는 단기적으로 연준의 조기 완화 기대를 다소 후퇴시킬 수 있다. 그럼에도 시장이 12월 25bp 인하64%로 여전히 가격에 반영하는 이유는, 셧다운 장기화 리스크경기 둔화 우려가 뚜렷하게 공존하기 때문이다. 이 구도는 달러 강세 vs. 완화 기대비대칭적 변동성을 키울 가능성이 크다.

유로존은 PMI 상향독일 공장수주 견조라는 ‘바닥 다지기’ 신호가 관찰되지만, PPI 약세ECB의 인하 여지를 완전히 봉쇄하지는 못한다. 그 결과 ECB는 사실상 동결 구간, 연준은 완화 사이클의 속도 조절이라는 그림이 전개될 수 있다. 이는 중기적으로 달러 강세 피로 누적을 낳을 여지가 있으나, 단기에는 미 지표 서프라이즈가 우세한 국면이다.

엔화는 BOJ의 신중한 정상화가 확인되며 약세를 면치 못한다. 다만 미 국채 수익률의 피크아웃 여부BOJ 12월 회의 결과달러/엔의 방향성을 좌우할 잠재적 트리거다. 귀금속은 안전자산 수요강달러·금리의 힘겨루기 속에서 상단이 눌린 상승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 중앙은행의 순매수(3분기 220톤, 전분기 대비 +28%)는 하방 완충 장치로 작용하겠지만, ETF 자금 유출차익실현은 단기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


실무 체크포인트

미국: 12월 9~10일 FOMC 회의에서의 25bp 인하 확률(64%)서비스 물가(Prices Paid) 추세를 점검하라.

유로존: 12월 18일 ECB 회의 전 PMI와 PPI의 추가 신호를 주목하라. 스왑시장의 인하 베팅 5% 변화가 환율 민감도를 키울 수 있다.

일본: 12월 19일 BOJ에서의 정책 정상화 가능성(48%)이 엔화·금리·수출주에 미칠 파급을 가늠하라.


기사 말미 공시: 보도에 따르면, 작성일 현재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본문에 언급된 유가증권에 대해 직·간접 보유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본 기사의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다. 또한 기사에 표명된 견해와 의견은 필자 개인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입장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