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연준 미런 이사 “12월 0.5%p 인하가 적절…최소 0.25%p 인하는 해야”—속도 있는 완화 재차 주장

연준 금리 인하 경로를 둘러싼 시각차 확대…스티븐 미런 이사, “선제적이고 신속한 완화” 강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 스티븐 미런(Stephen Miran)이 경기 둔화 가능성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추가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전통적인 0.25%포인트(25bp)씩의 완화 속도보다 더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런 이사는 12월 회의에서 0.50%포인트(50bp) 인하가 “적절”하다고 재차 강조하면서도, 최소한 0.25%포인트 인하는 단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2025년 11월 10일, CN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미런 이사는 10월 15일 열린 Invest in America Forum에서 CNBC와 대담을 진행했으며, 이후 인터뷰에서도 동일한 견해를 유지했다. 그는 “확실한 것은 없다“며, 회의 전까지 새로운 데이터가 전망을 바꾸게 만들 수 있음을 인정했다. 다만 새로운 정보가 없어 기존 전망을 수정할 필요가 없다면, 과거와 마찬가지로 50bp 인하가 적절하며 최소한 25bp는 해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미런 이사는 최근 두 차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연속적으로 50bp 인하를 주장해 왔다. 그는 이번 인터뷰에서도 기준금리 경로에 대해 “지금의 경기 흐름을 선제적으로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통상적 속도의 완화로는 경기 둔화를 충분히 상쇄하지 못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주목

그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FOMC는 9월과 10월 연속으로 25bp(0.25%p) 인하를 선택했다. 미런 이사는 두 차례 모두 해당 결정에 반대한 소수 의견으로 기록됐다. 10월 회의에서는 캔자스시티 연은의 제프리 슈미드(Jeffrey Schmid) 총재도 반대표를 던졌으나, 그 이유는 완화 폭 확대가 아니라 인하 자체에 반대(동결 선호)했기 때문이었다.

10월 인하 결정에 대한 공식 반대표는 두 표뿐이었지만, 복수의 연준 인사 발언에서 정책 판단을 둘러싼 의견이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음을 시사했다. 제롬 파월(Jerome Powell) 의장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12월 추가 인하가 기정사실은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일부 위원은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2% 목표를 여전히 상회한다는 데이터를 근거로 신중론을 보이는 반면, 다른 일부는 노동시장 약화 심화를 우려해 추가 완화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미런 발언(정책 시차 관련):
지금 나와 있는 데이터에 맞춰 정책을 만들면 후행적 접근이 된다. 통화정책의 효과가 실물경제에 미치기까지 12~18개월이 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은 1년에서 1년 반 뒤의 경제 상태를 가늠해 그에 맞춰 정책을 결정해야 한다.

그는 완화 중단 또는 지연이 단견적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책의 파급에 시간이 필요한 만큼 선제적으로 금리를 낮춰 미래의 경기 둔화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는 취지다. 이는 현재의 물가 수준미래의 고용·성장 경로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으려는 연준의 고유한 과제를 상기시킨다.

한편 정책 결정자들은 정부 봉쇄(lockdown) 기간 동안 공식 통계의 공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미런 이사는 이용 가능한 최근 데이터가 인플레이션과 노동시장 모두에서 완화(소프트닝) 조짐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데이터 흐름만을 놓고 보면, 9월 점도표가 시사한 “연내 총 3차례 인하” 경로보다 조금 더 완화적(dovish)인 접근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시사했다.

주목

금융시장은 현재 12월 세 번째 인하 가능성을 약 63% 수준으로 반영하고 있다. 다만 이 확률은 10월 FOMC 회의 이후 점진적으로 하락해 왔다. 해당 확률은 CME 그룹의 FedWatch 추정치를 기반으로 한다.


맥락과 해설: 핵심 용어 정리

• 베이시스포인트(bp): 1bp = 0.01%p를 뜻한다. 25bp는 0.25%포인트, 50bp는 0.50%포인트 인상을(또는 인하를) 의미한다. 금융시장은 금리의 미세 조정을 정밀하게 표현하기 위해 bp 단위를 널리 사용한다.

•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기구로, 기준금리 범위 설정과 자산매입·보유 정책 등을 결정한다. 회의 결과는 성명과 기자회견, 점도표(일부 회의)에 반영되어 시장의 정책 경로 기대에 큰 영향을 준다.

• 정책 시차(12~18개월): 금리 변경이 실물경제의 소비·투자·고용 등에 영향을 미치기까지 걸리는 시간 지연을 의미한다. 미런 이사는 이 시차를 근거로, 현재 데이터보다 미래 예상 경로에 맞춘 선제 정책 필요성을 강조했다.

• CME FedWatch: 연방기금금리 선물가격을 바탕으로 시장이 다음 FOMC 결정 확률을 추정한 지표다. 63% 확률은 ’12월 추가 인하’에 대한 시장의 현재 베팅 크기를 보여준다. 이 확률은 고정값이 아니라, 데이터·발언·시장 변동에 따라 수시로 바뀐다.

• 정부 봉쇄(lockdown): 연방정부의 기능 일부가 중단되면서 통계 발표 지연·중단이 발생하는 상황을 가리킨다. 연준 등 정책 당국은 이 기간 비공식 지표와 고빈도 데이터에 더 의존하게 되며,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


분석과 시사점

미런 이사의 입장은 두 가지 축을 분명히 한다. 첫째, 경기 선행성 확보 차원에서 통상적 25bp보다 빠른 50bp 인하가 더 타당하다는 주장이다. 둘째, 설령 내부 공감대가 제한적이더라도 최소 25bp 인하는 이어져야 한다는 리스크 관리 관점이다. 이는 인플레이션이 목표를 상회하는 현실과 노동시장 둔화 우려 사이의 균형을 어디에 둘 것인가라는 정책적 딜레마를 반영한다.

반면 FOMC 다수의 최근 선택은 “점진적 25bp 완화”였다. 의견 분산이 확대된 가운데, 파월 의장의 신중론12월 인하가 자동적이지 않다는 점을 재확인한다. 시장은 현재 약 63% 확률로 추가 인하를 가격에 반영하지만, 이 수치는 데이터 흐름과 연준 커뮤니케이션에 민감하게 조정되어 왔다. 이를 종합하면, 정책 경로의 불확실성은 여전하며, 새로운 물가·고용 지표가 12월 결정을 좌우할 가능성이 크다.

투자자와 기업에게는 두 가지 대비가 요구된다. 하나, 50bp 인하와 같은 서프라이즈 완화 가능성에 대비한 포트폴리오 민감도 점검이다. 둘, 인하 보류 또는 25bp 인하에 그치는 시나리오에서도 정책 지속성수요·고용 추세가 핵심 변수가 될 것이다. 현재로선 미런 이사의 발언이 보여주듯, 연준 내부에서도 선제 완화 vs. 물가 고착 우려 간의 균형점을 두고 논쟁이 활발하다. 이는 향후 점도표 업데이트와 의사록 해석의 중요성을 더욱 키울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