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LNG 수출 급증에도 중국 수요 불확실성 고조

미국 액화천연가스(LNG) 수출이 사상 최고치로 치솟고 있지만, 세계 2위 수입국인 중국이 추가 물량을 받아들일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2025년 8월 10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연간 1억 톤(100mn tpa)이 넘는 신규 LNG 생산 능력이 향후 1년 내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대표적인 프로젝트로는 미 텍사스주 골든패스(Golden Pass), 코퍼스크리스티 3단계(Corpus Christi Stage 3), 플라켐인스 2단계(Plaquemines Phase II) 등이 거론된다.

세계 LNG 수급전망에 따르면, 이러한 신규 공급은 2025년에 예상되는 글로벌 수요 증가율 5%*1를 훨씬 웃돌아 시장 전반에 과잉공급(oversupply)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중국 수입 감소세 — 올해 들어 12% 감소한 중국의 LNG 수입량이 가장 큰 변수로 지목된다. 중국 내 천연가스 수요가 둔화되는 가운데, ▲국내 생산 증가러시아에서 유입되는 파이프라인 가스 확대가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올해 LNG 수입은 7,000만 톤 수준으로 전년 대비 약 9% 감소할 전망이다.

2025년 이후 중국 수요가 회복돼 2030년 1억 톤에 달할 것”이라는 예측이 존재하지만, 단기적으로는 가격 하락과 판매 경쟁 심화가 불가피하다.

유럽의 재고 축적 — 반면 유럽은 러시아산 파이프라인 가스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올해 상반기 LNG 수입을 5% 늘렸다. 유럽 내 저장시설은 난방 시즌 전 80~90% 수준까지 채워질 것으로 관측된다.


LNG 현물가격(Spot Price)현재 MMBtu(백만 영국열단위)당 12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분석기관들은 2026~2027년 9달러 → 7달러까지 하락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수요가 예상보다 부진할 경우 추가 하락 여지도 있다고 전망했다.

용어 설명 — MMBtu는 ‘Million British Thermal Units’의 약자로, 약 1만 5,000kcal의 열량을 뜻한다. LNG 업계에서는 거래·가격지표로 널리 사용된다.

시장 전망 및 시사점

기존 계약(장기·중기)이 아닌 단기·현물 거래 비중이 확대될 가능성
• 미국 및 카타르 등 주요 생산국들은 가격 경쟁력 확보계약 유연성을 무기로 아시아·유럽 고객사 동시 공략에 나설 전망
• 중국 내 친환경 에너지 정책·경기 방향이 LNG 수급 불확실성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로 꼽힌다.

*1 주석: 전년 대비 5% 증가 시, 글로벌 LNG 수요는 약 4억 tpa 수준으로 추산된다.


결론 — 미국의 공격적인 LNG 증산이 본격화되는 2025년, 중국 수요 부진유럽 재고 확대가 맞물리며 글로벌 LNG 시장은 가격 하방 압력과 판매 경쟁 심화를 동시에 맞닥뜨릴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