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CPI 발표 앞두고 뉴욕증시 약세…S&P·다우·나스닥 일제히 하락

뉴욕─ 인플레이션 지표 발표를 앞둔 경계 심리가 뉴욕증시를 짓눌렀다. 11일(현지 시각)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25% 내린 5,425.67에,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45% 하락한 39,476.1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100 지수는 -0.36% 내린 19,876.25에 각각 마감했다. 동일 만기(9월) E-미니 S&P 선물은 -0.28%,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40% 떨어졌다.

2025년 8월 12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이 이번 주 예정된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를 앞두고 포지션 정리(positions squaring)롱 포지션 청산(long liquidation)에 나서면서 장중 상승분을 반납했다. 이른바 ‘롱’은 상승에 베팅한 계약, ‘청산’은 이익 실현 또는 손실 제한을 위해 이를 파는 전략을 뜻한다.*1

장 초반만 해도 S&P 500은 1주일 만의 고점을, 나스닥100은 사상 최고치를 새로 쓰며 강세로 출발했다. 그러나

“CPI·PPI 결과에 따라 연내 세 차례 금리 인하가 가능하다”

는 낙관론과 달리, 통계 발표 전 차익 실현이 우세해지자 지수는 하락세로 전환했다.


연준 인사들의 비둘기파 발언과 금리 인하 기대

지난 주말 미셸 보우먼(Michelle Bowman) 연준(Fed) 이사가 “9월 FOMC에서 금리를 0.25%p 인하하고 연내 3차례 인하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히며 시장에 훈풍을 불어넣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선물시장은 9월 16~17일 FOMC에서 88%의 금리 인하 확률을 반영 중이다. 이는 이달 초 40%에서 대폭 상승한 수치다.

금리 인하 기대는 채권 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9월물 미 국채 10년물 선물은 2틱 상승했고, 10년물 금리-0.4bp 내린 4.279%를 기록했다. 유럽에선 독일 10년물 국채 금리가 +0.6bp 오른 2.696%, 영국 길트는 ‑3.6bp 하락한 4.565%로 마감했다.


무역·지정학 변수: 미·중 관세 휴전 연장, 러-우 전쟁 장기화 우려

CNBC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 만료 예정이던 대중(對中) ‘관세 휴전’을 90일 연장한다고 보도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반도체 수입품에 100% 관세를 매기겠다”고 밝혔으며, 인도산 수입품엔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이유로 관세율을 두 배(25% → 50%)로 올리겠다고 예고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15일 알래스카에서 열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탐색적 만남(feel-out)”이라고 규정하며 즉각적인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가능성을 낮게 봤다. 같은 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영토 양보는 없다”고 천명해 조기 종전 기대를 더욱 희석시켰다.


주요 경제지표 및 일정

시장 관심은 13일 발표되는 7월 CPI에 집중돼 있다. 시장 컨센서스는 전년 대비 +2.8%(6월 +2.7%), 근원 CPI는 +3.0%(6월 +2.9%)다. 14일에는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2만5,000건(-1,000건)으로 예상되며, 같은 날 7월 PPI는 +2.5% y/y(6월 +2.3%), 근원 PPI는 +2.9% y/y(6월 +2.6%)가 점쳐진다. 15일에는 7월 소매판매 +0.5% m/m, 자동차 제외 소매판매 +0.3% m/m, 제조업 생산은 전월 대비 ‘보합(0.0%)’ 전망이다. 미시간대 소비심리는 62.0으로 소폭 개선(+0.3p)될 것으로 보인다.


기업 실적 및 개별 종목 움직임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 500 기업 중 82%가 2분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82%가 시장 예상치를 넘어섰다. 2분기 EPS 증가율은 +9.1% y/y로, 시즌 초 예측치(+2.8%)와 4년 만의 최고치를 웃돈다.

그러나 개별 종목은 엇갈렸다. 협업 플랫폼 ‘Monday.com’은 연간 매출가이던스를 12억2,000만~12억3,000만 달러로 동결하면서 -29% 급락했다.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업체 C3.ai는 실적 가이던스 하향을 이유로 DA데이비드슨이 투자의견을 ‘중립→언더퍼폼’으로 낮추자 -25% 폭락했다.

반면 TKO 그룹 홀딩스(UFC 모회사)는 파라마운트 스카이댄스가 7년간 UFC 독점 중계권을 77억 달러에 확보했다는 소식에 +10% 급등했다. 미용 브랜드 엘프 뷰티는 모건스탠리가 ‘비중확대’로 상향 후가 134달러를 제시하며 +10% 뛰었다.

암호화폐 관련주도 강세였다. 비트코인 가격이 4주 최고치로 약 +1% 상승하자 코인베이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마라 홀딩스가 모두 1%대 상승 마감했다. 코인데스크·코인게코 자료에 따르면, 기관·기업이 보유한 비트코인은 현재 1,130억 달러 규모에 달한다.


보충 설명: E-미니 선물이란?

E-미니는 ‘Electronic Mini’의 약자로, CME(시카고상업거래소) 전자 플랫폼에서 거래되는 소규모 주가지수 선물계약을 뜻한다. 표준 S&P 500 선물계약의 5분의 1 규모로, 개인투자자도 손쉽게 지수 방향성에 베팅할 수 있는 상품이다.

또한 롱 포지션 청산은 투자자가 기존 매수 계약을 팔아 이익을 확정하거나 손실을 제한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주가 급등 이후 주요 이벤트를 앞두고 나타나는 전형적 현상으로,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앞으로의 관전 포인트

이번 주 CPI·PPI 결과와 트럼프-푸틴 회담, 추가 관세 정책이 증시 방향성을 좌우할 전망이다. 물가가 예상을 상회하면 88%에 육박한 9월 금리 인하 베팅이 흔들릴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물가가 둔화하면 연준이 9월을 시작으로 연내 세 차례 인하를 단행할 명분이 강해진다. 본격적 ‘골디락스(적정 물가·성장)’ 국면으로 진입할 경우 S&P 500의 연내 6,000선 돌파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다.

*1: 틱(tick)은 선물 호가 최소 변동 단위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