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7월 CPI 세부 분석: 인플레이션 동향 한눈에

미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으나, 관세·이민 정책 등의 구조적 요인이 물가에 점진적으로 압력을 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025년 8월 12일, CN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노동통계국(BLS)은 7월 CPI가 전월과 동일한 2.7% 상승률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식료품·휘발유 가격 하락이 가계 부담을 완화했기 때문이지만, 근원물가(Core CPI)는 3.1%로 가파르게 올라 2024년 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CPI 그래프

소비자물가지수(CPI)란?
CPI는 식료품·의류·주거·의료·레저 등 200여 개 품목 가격을 종합해 산출하는 물가지표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료품을 제외한 지표를 ‘근원 CPI’라 하며, 중앙은행은 이를 통해 물가의 기조 흐름을 판단한다.


① 필수재 가격 하락이 전체 상승률을 억제
BLS 자료에 따르면 식료품은 전월 대비 0.1% 하락했고, 휘발유는 2.2% 급락했다. 대표적 생활필수재가 하락한 덕에 7월 헤드라인 CPI 상승세는 제한됐다.

② 하지만 근원 CPI는 2개월 연속 가속
휘발유·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6월 2.9%에서 7월 3.1%로 높아졌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마이클 피어스 부대표는 “연말에는 3.8%까지 치솟을 수 있다”며 관세 전가 효과가 본격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관세와 이민 정책의 지문이 이번 보고서 곳곳에 묻어 있다.” — 무디스 수석이코노미스트 마크 잔디

Getty Images Spencer Platt

관세(Tariff)란? 관세는 수입품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미국 기업이 부담한다. 기업은 비용 증가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경향이 있어 물가상승 요인으로 지목된다. 예일대 ‘버짓랩’ 추정치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가 8월 6일까지 부과한 모든 관세로 가구당 연간 2,400달러의 실질 소득이 감소할 전망이다.

③ 관세 충격은 내구재 가격에 선명
근원재화(에너지·식품 제외) 물가는 6월과 7월 모두 0.2% 상승했다. 전통적으로 재화 가격은 정체되거나 하락하는 경우가 많았기에, 전문가들은 이례적 상승세로 평가한다. 가구·가전·의류·장난감 등 생활재 가격이 일제히 올랐고, 특히 가정용 가구는 전월 대비 0.7% 상승률을 보였다.

잔디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가격이 오름세로 돌아선 것 자체가 관세 영향을 방증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자동차·대형 가전 등 일부 고관세 품목은 아직 뚜렷한 가격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④ 정책 당국은 ‘관세발 인플레’ 부정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의장 스티븐 미란은 CNBC ‘스쿼크 온 더 스트리트’ 인터뷰에서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 증거는 전혀 없다”고 일축했다.

그러나 웰스파고 이코노믹스의 사라 하우스 선임이코노미스트는 “기업들이 비용 증가분을 단기간에 모두 전가하지 않고, 재고 소진과 협상 추이를 지켜보며 점진적으로 가격을 조정할 가능성이 높다”고 반박한다.

“이번 충격은 한 달짜리 이벤트가 아니다. 기업들은 가격 저항선을 시험하며 여러 달에 걸쳐 값을 올릴 것” — 사라 하우스, 웰스파고

⑤ 이민 규제도 물가 압력 요인
잔디 이코노미스트는 개인 서비스업—이·미용, 세탁, 반려동물 돌봄 등—에서 이민노동 공급 부족으로 인건비가 상승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노동력 부족이 심화될수록 서비스 물가가 추가로 상승할 여지가 있다는 설명이다.


전문가 시각
연준(Fed) 의장 제롬 파월은 7월 말 기자회견에서 “무역협상이 아직 불안정해 최종 영향이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즉, 연준은 관세·이민 정책이 물가에 미칠 파급 효과를 모니터링하면서 통화정책 경로를 조정할 것으로 관측된다.

기자 해설
7월 수치는 헤드라인 기준으로 안정적인 듯 보이나, 근원 지표의 가속은 향후 인플레이션 기대를 자극할 수 있다. 특히 관세·이민 규제라는 정책적 요인은 공급 측 비용을 직접 자극해 단기 진정이 쉽지 않다. 기업들이 늦어도 연말까지는 가격 인상을 본격화할 가능성이 높아, 연준과 시장 참여자 모두 물가 피크아웃 시점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Squawk Box 로고

또한, 생활재와 서비스 모두에서 상승 압력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계 실질 구매력 약화도 우려된다. 예일대 추계치 2,400달러 손실은 저소득층일수록 체감 충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정부·의회·연준이 어떤 정책적 대응을 취할지가 하반기 물가와 성장 경로의 핵심 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