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원자재 시장 동향]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거래되는 2025년 8월물 천연가스 선물(티커: NGQ25) 가격이 23일(현지시간) 전일 대비 0.175달러(−5.38%) 급락하며 2.75개월 만의 저점으로 밀려났다. 이번 급락은 미국 전역의 하절기 기온 전망이 예상보다 낮아졌다는 기상 예보가 주요 배경으로 지목된다.
2025년 7월 24일, 바차트(Barchart)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민간 기상정보업체 애트모스페릭 G2(Atmospheric G2)는 8월 2~6일 기간 동안 미 전역의 기온 전망이 “전반적으로 더 시원해졌다”고 밝혔다. 실질적인 냉방(에어컨) 수요 감소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전력용 천연가스 수요가 약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투자심리를 짓눌렀다.
한편 생산 측면에서는 공급 확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미국 하부 48개 주의 드라이 가스(dry gas) 일일 생산량은 1,088억 입방피트(BCF)로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다. 같은 날 기준 가스 수요는 795억 입방피트로 4.2% 감소했으며,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터미널로 유입되는 순량은 주간 기준 1% 증가한 150억 입방피트로 집계됐다.
생산 증가와 시추 활동 확대
지난주 베이커휴즈(Baker Hughes)가 발표한 주간 리그(시추 장비) 보고서에 따르면, 7월 18일 종료 주 동안 미국 내 가동 중인 천연가스 시추 장비 수는 전주 대비 9기 증가한 117기로 17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2024년 9월 기록한 4년 최저치(94기) 이후 10개월 연속 증가세다.
“리그 수의 증가는 통상적으로 향후 생산량 확대를 예고한다”는 것이 업계의 전언이다.
실제로 생산 확대 기대감은 가격 압박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
전력 수요와 재고 동향
전력 부문에서는 미국 에디슨 일렉트릭 인스티튜트(Edison Electric Institute)가 7월 19일로 끝난 주에 미국 하부 48개 주의 전력 생산량이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한 99,373GWh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최근 52주 누계 전력 생산량 역시 4,251,059GWh로 2.4% 증가했다. 그러나 냉방 수요가 둔화될 경우, 전력사(utility)가 사용하는 천연가스 물량도 줄어들 가능성이 존재한다.
시장 참가자들의 관심이 집중된 주간 미국 에너지정보청(EIA) 가스 재고 발표는 25일 예정돼 있다. 컨센서스는 7월 18일 종료 주 재고가 270억 입방피트 증가할 것으로, 이는 5년 평균 증가분(300억 입방피트)을 소폭 하회하는 수준이다.
지난주(7월 11일 종료 주) EIA 보고서는 460억 입방피트 증가로 시장 예상치(450억 입방피트)를 소폭 웃돌았고, 5년 평균(410억 입방피트)도 상회했다. 그 결과 미국 천연가스 재고는 전년 대비 4.9% 낮은 수준이나, 5년 평균 대비로는 6.2% 높아 공급 여유가 충분함을 시사했다.
유럽 상황도 비교적 안정적이다. 7월 21일 기준 유럽 가스 저장고 충전률은 65%로, 계절 평균(74%)에는 못 미치지만 과거보다 조기 충전이 이뤄지고 있다.
가격 변동성과 용어 해설
NYMEX(NY Mercantile Exchange)는 원유·천연가스 등 에너지 선물이 거래되는 미국 대표 파생상품 거래소다. Bcf(Billion Cubic Feet)는 10억 입방피트로, 천연가스 거래에서 사용되는 부피 단위다. 리그(Rig)는 석유·가스 시추 장비를 의미하며, 리그 수 증감은 중장기 생산량 전망의 선행 지표로 여겨진다.
천연가스 선물은 난방 및 냉방 계절 수요, 재고 상황, 생산량, LNG 수출, 기상 변동 등 복합 요인에 크게 좌우된다. 이번처럼 단기 기상 전망만으로도 가격이 하루 만에 5% 이상 출렁이는 사례가 자주 발생한다.
시장 전망과 전문가 시각
애널리스트들은 “8월 초 미국 중서부와 북동부의 온도 하락이 지속될 경우, 가격 압박이 더 심화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반면, 가을로 접어드는 9~10월에는 생산설비 유지보수 및 허리케인 위험 등 공급 차질 요인이 발생할 여지가 있어 변동성 확대에 유의해야 한다는 평가도 나온다.
또한 LNG 수요 측면에서, 동북아·유럽의 여름철 혹서 및 겨울철 난방 수요 추이를 주목해야 한다. 글로벌 LNG 스팟 가격이 반등할 경우 미국산 천연가스 수출량이 늘어나 국내 재고를 빠르게 소진시킬 수 있다.
결국 투자자들은 기상 데이터, 재고 지표, 시추 장비 가동률을 종합 관찰하며 대응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공통된 조언이다.
저자 및 정보 고지
본 기사는 바차트 소속 리치 애스플런드 기자의 원문을 번역한 것이다. 기사 작성 시점 기준으로 필자 및 번역자는 해당 종목에 대한 직접 또는 간접적 투자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 모든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판단의 책임은 독자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