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혼조된 실적과 보험주 약세에 소폭 하락 마감

【뉴욕증시 마감 동향】
미국 증시는 7월 18일(현지시간) 장 초반 상승세를 지키지 못하고 혼조·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S&P 500지수는 전일 대비 -0.01% 내렸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32% 하락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100지수도 -0.05% 소폭 밀렸다. 같은 날 9월물 E-미니 S&P500 선물은 -0.08%,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10% 떨어지며 현물 지수와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S&P 차트나스닥 선물
7월 2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하락세는 대형 기술주와 헬스케어 보험주 동반 약세가 지수에 부담을 준 결과다.

대표적인 스트리밍 기업 넷플릭스(Netflix)는 올해 연간 영업이익률 가이던스를 29.5%로 제시해 시장 예상치(29.7%)를 하회했다. 이에 주가는 5% 이상 급락하며 나스닥 성장주 전반에 매도 압력을 가중시켰다.


【보험·헬스케어 섹터 약세】
보험 업종은 판결 및 투자의견 하향 이슈로 크게 흔들렸다. 휴마나(Humana)는 메디케어(미국 노인 의료보험) 보너스 지급 삭감을 되돌리기 위한 소송에서 패소해 1% 이상 하락했고, 엘리번스헬스(Elevance Health)는 리어링크 파트너스(Leerink Partners)가 투자의견을 ‘아웃퍼폼’에서 ‘마켓퍼폼’으로 낮추면서 8% 넘게 급락했다. 모리나헬스케어(Molina Healthcare)는 -10%, 센틴(Centene), CVS헬스, 유나이티드헬스그룹도 2~3%대 약세를 기록했다.

“보험 업종의 수익성 둔화 우려가 단기적으로 투자심리를 압박할 전망”*애널리스트 관측

단, 같은 날 티블런 에너지(Talen Energy)는 펜실베이니아·오하이오 가스 화력발전소 인수 소식으로 24% 급등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거시경제·정책 변수】
세인트루이스 연준 총재 출신으로 통화정책에 영향력이 큰 크리스토퍼 월러(Christopher Waller) 연준 이사가 “7월 29~30일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전날(18일 저녁) 발언한 점이 채권금리 하락과 주식시장 방어 요인이 됐다. 실제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2bp 내려 4.43%로 마감했다.

한편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7월 잠정치)는 61.8로 예상치(61.5)를 웃돌며 5개월 최고치를 기록했다.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4%로 5개월 최저, 5~10년 기대치는 3.6%로 내려 물가 전망이 완화됐다.

주택 지표도 호조를 보였다. 6월 주택착공건수는 전월 대비 4.6% 증가한 132만1,000건(연율)으로, 시장 컨센서스(130만 건)를 상회했다. 건축허가는 0.2% 증가해 미래 주택 공급 전망을 개선시켰다.


【무역·관세 리스크 재부상】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유럽연합(EU)과의 무역협상에서 15~20%의 최소 관세를 고수하고 있다는 파이낸셜타임스 보도가 나오자 오후 들어 매물이 증가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캐나다·멕시코·EU 제품에 대해 추가 관세를 예고하며 보호무역 기조를 강화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대선 시즌이 다가오면서 정치적 불확실성무역 긴장이 투자심리의 새로운 변수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개별 종목 움직임】

3M은 올해 유기적 매출 성장률 전망을 2%(종전 2~3%)로 하향하면서 3% 하락했고, 사렙타 테라퓨틱스(Sarepta Therapeutics)는 유전자 치료 시험 중 환자 사망 사건이 발생해 -36% 폭락했다. 빌더스 퍼스트소스(Builders FirstSource)는 젤만&어소시에이츠의 하향 리포트 탓에 3% 약세를 보였다.

반면 인베스코(Invesco)는 간판 ETF인 QQQ를 유닛 투자신탁에서 개방형 펀드로 전환한다는 소식에 15% 급등했고, 인터랙티브 브로커스(IBKR), 리전스 파이낸셜, 찰스슈왑 등 금융주는 예상치를 웃도는 순이자수익순영업수익을 발표하며 6~7%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해외 증시·채권 시장】
유럽의 유로스톡스50 지수는 -0.33%로 밀렸고, 반면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50% 상승했다. 일본 닛케이225는 2.5주 최고치에서 소폭(-0.21%) 되돌림이 나왔다.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2.695%로 2bp 올랐고,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4.684%로 1.5개월 만의 고점에 근접했다.

유로존 5월 건설생산은 전월 대비 -1.7%로 2년 반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으며, 독일 6월 생산자물가(PPI)는 전년 대비 -1.3% 떨어져 9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향후 일정·전망】
시장 관심은 이제 7월 29~30일 FOMC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연방기금선물(FF) 가격은 해당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5%로, 9월 회의에서는 58%로 반영하고 있다. 실적 시즌도 본격화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에 따르면 2분기 S&P500 기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할 전망으로, 시즌 전 예상치(2.8%)를 상회한다.

주목할 실적 발표 기업으로는 도미노피자(DPZ), 버라이즌(VZ), NXP반도체(NXPI), 스틸다이내믹스(STLD) 등이 있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 기대실적 개선 흐름이 겹치면 지수는 추가 신고점을 모색할 수 있지만, 관세·정책 변수가 상쇄 요인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관련 기사

【해설·전문가 시각】
현재 시장은 “경제 지표 개선 vs 무역·정책 리스크”라는 양면 시나리오 속에 변동성이 축소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장·단기 금리차가 완만해지는 가운데, 기술·소비 섹터의 실적 모멘텀은 유지되고 있으나, 관세 이슈가 다시 불거질 경우 밸류에이션 부담이 재차 부각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개인투자자라면 단기 뉴스플로우보다 연준 통화정책 방향기업 실적 체력에 초점을 맞춰 변동성 확대 구간을 매수 기회로 활용하는 전략이 유효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