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라인] 미국 뉴욕증시가 0.11% 상승하며 마감했다. 동시에 위성 데이터 기업 플래닛 랩스 PBC(Planet Labs PBC, NYSE: PL)가 회계연도 2025년 1분기(2024년 2월 1일~4월 30일) 실적과 사업 현황을 발표했다.
2025년 9월 15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플래닛 랩스는 정부 부문 수요 증가와 인공지능(AI) 기반 파트너 솔루션 효과에 힘입어 분기 사상 최대 매출인 6,040만 달러를 달성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수치다.
윌 마셜(Will Marshall) 공동창립자 겸 최고경영책임자(CEO)는 “정부 부문 수요가 두드러졌으며, AI 기술과 결합된 데이터 활용 사례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면서 “새롭게 공개한 플래닛 인사이트 플랫폼(Planet Insights Platform)을 통해 고객·파트너 생태계를 확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1. 1분기 핵심 재무 지표
• 매출: 6,040만 달러(전년 대비 +15%)
• 순손실: –2,930만 달러(전년 –3,440만 달러)
• 조정 EBITDA: –840만 달러(전년 –1,910만 달러)
• 현금 및 단기투자: 2억7,600만 달러
• 반복 계약 가치(ACV) 비중: 95%
• 최종 고객 수(EoP Customer Count): 1,031개(전년 +14%)※반복 계약은 예측 가능한 매출원으로 평가
2. 주요 사업 하이라이트
“미국 국가정찰국(NRO)이 EOCL(전기광학 상업층) 프로그램 계약을 갱신했으며, 미 국방부와 두 건의 7자릿수(백만 달러 단위) 규모 파일럿 프로젝트를 마무리했다.” – 플래닛 랩스 발표문 중
① NRO(미 국가정찰국): 플래닛스코프(PlanetScope)·스카이샛(SkySat)·데이터 아카이브 서비스를 포함한 EOCL 계약을 연장함.
② 미 국방부: 광역 모니터링·탐지·보고 기능이 포함된 두 건의 대규모 AI 기반 파일럿 프로그램 완료.
③ 영국 EO 데이터 허브: 파트너사 어스아이(Earth-i)를 통해 데이터 플랫폼·교육 서비스 제공.
④ 케냐 우주청: 국가 차원의 플래닛스코프 데이터 도입. 최근 홍수 대응 등 재난관리에 활용.
⑤ 브라질 일레트로브라스(Eletrobras): 파트너 SCCON과 3년 계약 체결, 댐·송전선 모니터링 목적.
3. 신제품·위성 발사
플래닛 인사이트 플랫폼 공개: 분석 준비형 위성 데이터를 클라우드 분석 도구와 결합, 고객이 대규모 데이터 스트리밍·분석·앱 구축 가능.
타네이저-1(Tanager-1) 하이퍼스펙트럴 위성: 2024년 6월 3일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 도착. 7월 중 발사 예정으로 스펙트럼(분광) 영역까지 관측 능력 확대.
4.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플래닛 랩스는 두 번째 연차 ESG 보고서를 발간했다. 고객의 약 50%가 환경·사회·인도주의적 활용 사례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했다.
5. 2분기(2025 회계연도) 가이던스
• 매출: 5,900만~6,300만 달러
• Non-GAAP 총마진: 51~53%
• 조정 EBITDA 손실: –1,000만~–700만 달러
• 설비투자(CapEx): 1,400만~1,700만 달러
6. GAAP·Non-GAAP 기준 비교
플래닛 랩스는 주당순손실(GAAP) –0.10달러, Non-GAAP 주당순손실 –0.05달러를 기록했다. 회사는 스톡옵션 비용·무형자산 상각·구조조정 비용 등을 제외한 Non-GAAP 지표를 함께 제시하며 “핵심 영업 성과 판단에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회사 측은 “스톡옵션 비용 등이 상당 부분을 차지해 GAAP와 차이가 클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미 연방정부 계약은 ‘편의에 의한 해지(termination for convenience)’ 조항이 포함돼 있어 백로그(Backlog)와 실제 인식 매출이 달라질 수 있음을 경고했다.
7. 연결 재무제표 요약
• 총자산: 6억7,460만 달러, 현금성 자산 1억253만 달러
• 유동부채: 1억2,638만 달러, 무차입 경영 유지
• 주주지분: 5억32만 달러
손익계산서상 매출 총이익률(GAAP) 52%, Non-GAAP 55%로 꾸준한 50%대 중반 유지. 연구개발(R&D) 비용은 총 2,558만 달러로 전년 대비 감소했다.
8. 기타 핵심 용어 해설
• EOCL(Electro-Optical Commercial Layer): 미 국가정찰국이 민간 위성 이미지를 조달하기 위해 설계한 다년 계약 프로그램.
• 하이퍼스펙트럴(Hyperspectral): 수백 개 이상의 좁은 분광 대역을 통해 물질 성분·특성 분석이 가능한 고급 영상 기술.
• ACV(Annual Contract Value): 연간 반복 매출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데이터 기업에서 성장성 판단 기준으로 활용.
• 조정 EBITDA: 법인세·감가상각·이자·주식보상 등을 제외한 현금 창출력 지표.
9. 컨퍼런스콜 안내
미 동부시간 2024년 6월 6일 17시(태평양시간 14시)에 실적 발표 웹캐스트를 진행했다. 재생 링크와 보충 자료는 플래닛 랩스 IR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메일 사전 등록 필요
10. 회사 개요
플래닛 랩스는 2010년 NASA 출신 과학자 3인이 설립한 공익법인(PBC) 형태의 위성 이미지·지리정보 솔루션 기업이다. 세계 최대 초소형 지구관측 위성 군(群)을 운영하며 농업·임업·정보·교육·금융·정부기관 등 1,000여 개 고객에게 매일 이미지를 제공한다.
전문가 시각: AI·하이퍼스펙트럴 결합은 데이터 차별화를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 정부 의존도가 높아 예산 변동, 계약 해지 조항 등 리스크 요인이 상존한다. 2024년 말 조정 EBITDA 흑자 전환 여부가 밸류에이션 재평가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