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 지수($SPX)는 0.51% 상승,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DOWI)는 0.46% 하락, 나스닥 100 지수($IUXX)는 0.45% 상승하며 혼조세를 보였다. 선물시장에서는 9월물 E-미니 S&P(ESU25)가 0.44%, 9월물 E-미니 나스닥(NQU25)이 0.42% 각각 올랐다.
2025년 9월 10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장중 S&P 500은 사상 최고치를, 나스닥 100은 4주 만의 고점을 갈아치웠다. 물가 압력이 완화됐다는 신호가 채권금리를 끌어내리면서 위험자산 선호가 확대됐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은 4.06%로 3bp 하락했다.
같은 날 발표된 8월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월 대비 2.6% 상승해 7월의 3.1%보다 둔화됐고,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도 2.8%로 예상치(3.5%)를 하회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이를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의 비둘기파적 단서로 해석하며, 연내 최소 74bp의 금리 인하를 가격에 반영했다.
💡 용어 한눈에 보기
PPI(Producer Price Index)는 생산 단계에서의 물가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로,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선행하는 경향이 있다. 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로, 정책금리를 결정하는 핵심 기구다. E-미니 선물은 정규 선물보다 계약 규모가 작은 전자거래 상품으로, S&P 500과 나스닥 지수의 방향성을 가늠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AI 인프라 수요가 견인한 오라클(Oracle) 주가는 무려 42%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회사는 2026 회계연도 이후 4개 연도의 클라우드 인프라 매출 전망을 각각 320억 달러, 730억 달러, 1,140억 달러, 1,140억 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동종 업계 전반의 랠리를 촉발해 CoreWeave 19%↑, Broadcom 10%↑, Arista Networks 5%↑, Nvidia 4%↑ 등이 뒤를 이었다.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확대 전망이 전력주까지 번졌다. Vertiv Holdings 11%, Vistra 6%, Constellation Energy·GE Vernova 5% 이상 상승했으며, Talen Energy도 4% 뛰었다.
반면 애플은 신형 iPhone·Apple Watch·AirPods 공개에도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해 2% 이상 하락, 다우지수의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다. Morgan Stanley의 투자의견 하향 조정으로 Trade Desk가 7% 내렸고, Chewy는 실적 호조에도 15% 급락했다. 바이오·헬스케어 섹터에서는 메디케어 품질보너스 기준 강화 우려로 Humana가 전일 12% 폭락에 이어 2% 추가 하락, 동종업체인 HCA Healthcare·Molina·Elevance가 3% 이상 밀렸다.
“이번 PPI 둔화는 연준이 9월 FOMC에서 최소 25bp를, 10월에도 추가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
시카고 연방기금금리 선물은 9월 25bp 인하 확률을 100%, 50bp 인하 확률을 12% 반영했으며, 10월 추가 25bp 인하 가능성은 79%로 높아졌다.
국제정세도 주목을 받았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습 중 폴란드 영공을 침범한 드론을 폴란드군이 격추하면서 유럽 긴장이 고조됐다. 이는 위험자산 매수세에 제동을 걸 가능성이 있지만, 이날은 금리·물가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중국발 디플레이션 우려도 부각됐다. 8월 중국 CPI는 전년 대비 0.4% 하락해 6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고, 생산자물가지수(PPI)는 35개월 연속 하락(-2.9%)했다. 글로벌 수요 둔화와 수출 의존도 높은 한국·독일 등 제조업 강국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주택시장에서는 모기지은행협회(MBA) 자료에 따르면 9월 5일로 끝난 주간 모기지 신청 건수가 9.2% 증가했고, 평균 30년 고정금리 모기지 금리는 15bp 내려 6.49%로 11개월 최저치를 찍었다.
📊 채권·금리 동향
12월물 10년 국채선물(ZNZ5)은 4틱 상승했다. 그러나 풍부한 국채 발행(이번 주 1,190억 달러 규모)과 행정부 인사들이 연준의 독립성에 개입할 수 있다는 우려는 채권 가격 상승을 제한했다. 유럽에서는 10년 독일 국채금리가 2.654%로 1개월 최저치를 기록, 영국 길트금리는 4.636%로 소폭 상승했다. ECB는 9월 회의에서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 개별 종목 이슈
Travere Therapeutics는 희귀 신장질환 치료제 Filspase에 대해 FDA 자문위원회 심사가 불필요하다는 통보를 받아 27% 급등했다. GameStop은 2분기 하드웨어·액세서리 매출이 5억9,210만 달러로 컨센서스(4억3,480만 달러)를 웃돌아 5% 상승했다. Bill Holdings는 엘리엇 매니지먼트의 대규모 지분 취득 소식에 4% 올랐다.
반면, 전자설계자동화(EDA) 강자인 시놉시스는 연간 조정 EPS 가이던스를 12.76~12.80달러로 낮추며 34% 폭락, S&P 500과 나스닥 100 낙폭 1위를 기록했다. HP는 에버코어 ISI의 투자의견 하향(아웃퍼폼→인라인)으로 2% 떨어졌다.
다음 날(11일) 예정된 8월 CPI는 전년 대비 2.9%로 예상되며, 이는 2.7%였던 7월보다 소폭 상승한 수치다. 같은 날 발표될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전주 대비 2,000건 줄어든 23만5,000건으로 전망된다. 13일에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가 58.0으로 0.2p 하락할 것으로 예측된다.
📝 기자의 시각
이번 랠리는 금리·AI·불안한 지정학이라는 세 가지 축이 복합적으로 작동한 결과다. 물가 둔화와 금리인하 기대라는 거시 변수가 기술주·고PER(주가수익비율) 종목의 밸류에이션 부담을 덜어줬고, 오라클의 과감한 클라우드 전망이 AI 인프라 투자 붐을 재확인했다. 다만 Poland-Russia 긴장, 중국 디플레이션 같은 하방 리스크는 여전히 상존한다. 이에 따라 연준의 9월·10월 연속 인하 가능성이 현실화되더라도, 급등주에 대한 변동성 확대와 차익실현 매물 출회가 동시에 나타날 공산이 크다. 투자자들은 금리 스프레드·의회 예산 협상·기업 실적 가이던스 등 복합적 지표를 주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