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권시장이 2025년 8월 14일(현지시간) 뜨거운 PPI(생산자물가지수) 충격 속에서도 혼조세로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0.09% 상승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02% 하락했으며, 나스닥 100 지수는 보합권에 머물렀다.
2025년 8월 15일, 바차트(Barchart) 보도에 따르면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0.08%,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24% 하락 출발했으나 장후반 일부 낙폭을 만회하며 장을 마쳤다. 당일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5bp 오른 4.287%를 기록해 주식시장에 상단 압력을 가했다.
전일 발표된 7월 PPI는 전월 대비 +0.9%, 전년 대비 +3.3%로 시장 예상치(+0.2% m/m, +2.5% y/y)를 큰 폭으로 상회했다. 근원 PPI(식품·에너지 제외) 역시 전월 대비 +0.9%, 전년 대비 +3.7%를 기록하며 인플레이션 경로가 시장 기대를 웃돌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연방기금선물 시장은 9월 FOMC에서 50bp(0.50%p) 인하 가능성을 전면 배제하고, 25bp(0.25%p) 인하를 93% 확률로 반영했다. 이는 8월 1일 고용 부진과 8월 12일 CPI 발표 이전 40% 수준이었던 인하 기대보다 여전히 완화적인 전망이지만, 전날 한때 11%까지 반영됐던 50bp 인하 기대가 사라졌다는 점이 특징이다.
“50bp 인하는 노동시장의 견조함을 감안할 때 지나친 긴박 신호가 될 수 있다.” —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현재 경제 여건으로는 50bp 인하를 지지하기 어렵다.” —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실제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전주 대비 3,000건 줄어든 224,000건을 기록했고, 계속 실업수당 청구건수도 15,000건 감소한 195만 3,000건으로 발표돼 노동시장 강세가 이어졌다.
한편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는 전일 “정책금리가 150~175bp 낮아야 한다”며 거듭 완화적 발언을 내놨지만, 15일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는 “연준에 어떤 조치를 지시하려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수위를 조절했다.
관세(타리프) 이슈도 시장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과의 관세 휴전을 90일 연장했다. 반면 반도체 수입에는 100% 관세를, 인도산 수입품에는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이 조치가 시행될 경우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15.2%로, 2024년 2.3% 대비 6배 이상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 참여자들의 다음 관심사는 15일 15시 30분(동부) 시작될 트럼프–푸틴 정상회담과 7월 미국 소매판매·산업생산·미시간대 소비심리 지표다. 특히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6%, 자동차 제외 소매판매는 +0.3% 증가가 예상된다.
국채·금리 동향
10년물 T노트 선물은 -10.5틱 하락해 수익률이 4.287%로 상승했다.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율도 +2.1bp 오른 2.396%로, 인플레이션 기대가 재차 고개를 든 모습이다. 유럽에서는 독일 10년물 분트 수익률이 +3.2bp 올라 2.712%, 영국 10년물 길트 수익률이 +5.1bp 상승해 4.641%를 기록했다.
주식 섹터·종목별 동향
매그니피센트 세븐(아마존·애플·알파벳·메타·마이크로소프트·엔비디아·테슬라) 가운데 아마존이 +2.9%로 최대 상승, 테슬라가 -1.1%로 최대 하락했다.
반도체주는 혼조세를 보였는데, 인텔이 +7.4% 급등한 반면 AMD·글로벌파운드리스·어라인테크놀로지스는 1% 이상 떨어졌다.
비트코인 가격이 -4% 급락하며 암호화폐 관련주도 부진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4.4%, 코인베이스 -0.7%, 마라홀딩스 -0.7% 등 대부분 약세였으나, 라이엇 플랫폼스는 +5.7%로 반등했다.
Cisco Systems는 보수적 가이던스로 -1.5% 하락했고, Deere는 농산물 가격 하락으로 연간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하며 -6.8% 급락했다. 반면 Dow Inc는 BofA의 투자의견 상향(‘언더퍼폼→뉴트럴’)에 2% 상승, CVS Health는 Baird의 ‘아웃퍼폼’ 상향으로 2.4% 올랐다.
실적 시즌이 막바지에 접어든 가운데 S&P500 기업의 2분기 순이익은 전년 대비 +9.1% 성장해 시즌 전 전망치(+2.8%)를 크게 웃돌았다. 82%의 기업이 컨센서스 추정치를 상회했다는 점도 투자심리를 지지했다.
알아두면 좋을 용어 해설
PPI(Producer Price Index)는 기업 간 거래 단계에서 형성되는 물가를 측정하는 지표로, 소비자물가지수(CPI)에 1~3개월 선행하는 특성이 있다. 근원 PPI는 변동성이 큰 식품·에너지를 제외해 기조적 물가 흐름을 파악하는 데 쓰인다.
E-미니 선물은 CME(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주가지수 선물의 일종으로, 표준 계약 대비 계약 규모가 작아 개인투자자 접근성이 높다.
매그니피센트 세븐은 시가총액 상위 7대 빅테크(아마존·애플·알파벳·메타·마이크로소프트·엔비디아·테슬라)를 일컫는 신조어다. 이들 종목의 시가총액이 S&P500 전체의 약 30%를 차지해 지수 변동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율은 명목 국채와 물가연동국채(TIPS)의 수익률 차이로, 시장이 기대하는 향후 물가상승률을 의미한다.
향후 일정 및 전망
연방기금선물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 인하를 93%, 10월 28~29일 회의에서 추가 25bp 인하를 53% 확률로 반영한다. 시장은 트럼프–푸틴 회담 결과, 소매판매·산업생산·미시간대 소비심리 지표 등을 통해 경기 모멘텀과 금리 경로를 재점검할 전망이다.
마지막으로, 8월 15일 예정된 실적 발표 기업은 딜라드스(DDS), 세일포인트(SAIL), 플라워스푸즈(FLO)다.
기사 집필 당시 Rich Asplund는 해당 종목에 대한 직접·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