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 마감 동향】
미국 뉴욕 증시가 1일(현지시간) 경기 둔화 우려와 무역 갈등 재점화라는 이중 악재에 직면하며 급락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1.60% 하락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23%, 나스닥100 지수는 -1.96% 떨어졌다. 같은 날 9월물 E-mini S&P 선물은 -1.67%, 9월물 E-mini 나스닥 선물은 -2.03% 급락했다.
2025년 8월 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갑작스럽게 발표한 ‘글로벌 10% 최저 관세’와 대상국 흑자 여부에 따라 최대 15% 이상의 추가 관세 방침을 ‘실물 경제 충격 요인’으로 해석했다. 여기에 월간 고용·제조 지표가 일제히 시장 예상치를 밑돌면서 리스크 회피 심리가 증시 전반으로 확산됐다.
美 경기 지표의 급격한 둔화※
7월 비농업부문 신규고용은 7만3,000명에 그쳐 시장 예상치(10만4,000명)를 크게 밑돌았다. 또 6월 고용은 당초 14만7,000명에서 불과 1만4,000명으로 대폭 하향 수정됐다. 실업률은 4.2%로 0.1%포인트 상승했으며,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년 대비 3.9% 올랐다. 한편 7월 미국 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지수는 48.0으로 9개월 만에 가장 깊이 위축됐다.
“지표는 확실히 실망스러웠다. 노동시장이 식어가고 있다는 신호가 명확하다.” — 클리블랜드 연은 베스 해맥 총재
연은(Fed) 위원들은 고용 둔화를 확인하면서도 ‘임금 상승률이 여전히 목표 대비 높다’는 점을 지적하며 정책 완화 시점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 관세·지정학 리스크 확대
트럼프 전 대통령은 8월 7일 0시부터 캐나다 일부 수입품 관세를 25%에서 35%로 상향하고, 미국에 무역흑자를 내는 국가에는 최소 1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관세가 전면 시행되면 미국 평균 관세율은 2024년 2.3%에서 15.2%로 치솟게 된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미·러 간 긴장이 고조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전 러시아 대통령의 ‘도발적 발언’에 대응해 “핵 잠수함 두 척을 ‘적절한 지역’으로 이동 중”이라고 밝혀 시장의 공포 심리를 자극했다.
채권 시장은 ‘안도 랠리’
경기 둔화 조짐에 따라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장중 4.20%까지 밀리며 한 달 최저치를 기록했다. 연방기금선물(Fed Fund Futures)은 9월 FOMC에서 25bp(0.25%포인트) 인하 확률을 93%로 반영했고, 10월 회의 인하 가능성도 73%까지 높아졌다.
E-mini 선물·T-note란?
E-mini는 S&P 500 등 주요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소형 선물계약, T-note는 만기 2~10년 미국 국채를 말한다. 개인이 보다 적은 증거금으로 지수·금리 방향에 투자할 수 있어 파생상품 시장의 유동성 핵심으로 꼽힌다.
주요 종목별 등락
아마존닷컴은 3분기 영업이익 가이던스(155~205억 달러)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8% 폭락, 기술주 전반에 매도압력을 가했다.
반도체주는 마벨 테크놀로지(-6%), 마이크론(-4%), 엔비디아·AMD·인텔·ARM·글로벌파운드리즈가 -2%대 하락을 기록했다.
대형 건설·화학주는 어닝 쇼크로 급락했다. 플루어는 -27%, 이스트만케미컬은 -19%, WW그레인저는 -10% 내렸다.
반면 레딧은 매출 서프라이즈(4억9,960만 달러)로 17% 급등, 모놀리식파워(+10%), 킴벌리클라크(+4%), 톨브러더스·레나·DR호튼 등 주택건설주는 금리 하락 수혜로 2~5% 상승했다.
해외 증시 및 금리
유럽 Stoxx50 지수는 2.90% 급락하며 3개월 최저치로 밀렸다.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4.509%까지 낮아졌고, 독일 10년물 분트 금리는 2.639%로 내려앉았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37%, 일본 닛케이225는 -0.66% 하락 마감했다.
🗂️ 실적 시즌 하이라이트
이번 주는 전체 S&P500 기업의 38%가 실적을 공개해 ‘피크 위크’로 불렸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2분기 S&P500 이익 증가율은 시즌 전 예상치(2.8%)를 크게 웃돈 4.5%로 집계됐다. 보고를 마친 기업 55% 중 약 82%가 컨센서스를 상회한 실적을 발표하며 ‘어닝 리세션’ 우려를 완화했다.
※ 용어 해설: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
10년물 국채 실질금리와 명목금리의 차이로, 향후 10년간 시장이 기대하는 평균 물가상승률을 뜻한다. 이날 10년물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은 2.316%로 4주 최저치를 기록, 인플레 기대가 둔화됐음을 보여줬다.
향후 일정
8월 4일(현지), 액손, 코테라 에너지, 다이아몬드백 에너지, 팔란티어 등 15개 이상의 대형주가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전망과 시사점
단기간 내 관세 리스크가 정책·실물·심리 세 축 모두에 충격을 주고 있어, S&P500이 5월 저점(4,900선)을 하향 이탈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다만 고용·제조 둔화로 연준의 조기 완화 기대가 부각되고 있어, 금리 민감주(주택·리츠·유틸리티)에는 상대적 수혜가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