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인공지능 활용한 맞춤형 항공권 가격 책정에 강력 비판…조사 방침 밝혀

미국 교통부(USDOT)인공지능(AI)을 이용해 개별 소비자에게 맞춤형으로 항공권 가격을 책정하는 행위에 대해 “좌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션 더피(Sean Duffy) 미 교통장관은 5일(현지시간) 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누구든 소비자 개개인의 소득·신상정보를 토대로 좌석 가격을 달리 책정한다면 즉각 조사에 착수하겠다”고 경고했다.

2025년 8월 5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더피 장관은 “AI를 활용해 개별 소비자의 지불 여력이나 성향을 파악한 뒤 항공권 가격을 다르게 부과하는 것은 심각한 소비자 차별 행위”라며 “이 같은 시도가 포착될 경우 규제당국의 강력한 행정 조치가 뒤따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AI 기반 개별 맞춤형 요금(Personalized Pricing)은 플랫폼 사업자들이 빅데이터·머신러닝을 통해 소비자의 결제 가능 금액, 검색 기록, 과거 구매 패턴 등을 분석해 동일 상품에 서로 다른 가격을 매기는 전략이다. 일반적으로 ‘다이내믹 프라이싱(dynamic pricing)’이라 불리지만, 소비자별로 가격을 세분화한다는 점에서 차별 논란이 크다.

“좌석 가격을 소득·직업·거주지 등으로 달리 책정하는 일은 용납할 수 없다.” — 션 더피 미 교통장관

실제로 델타항공(NYSE: DAL)지난주 미국 의회에 제출한 서면 답변서에서 “개별 소비자를 겨냥한 AI 가격 책정은 시행하거나 계획한 바 없다”고 못 박았다. 델타 측은 “AI는 수요 예측, 운영 효율 개선 등 내부 프로세스에 한정해 활용 중”이라며 차별적 운임 정책과 거리를 뒀다.

더피 장관은 “델타와 같은 기조가 업계 표준이 돼야 한다”며 “향후 AI와 알고리즘을 명분 삼아 소비자 보호 원칙을 훼손하는 행위가 적발될 경우, 항공법 제49편(Transportation Code Title 49) 등 관련 조항을 근거로 과태료 부과·면허 정지 등 실질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문가 분석 및 전망

항공경제 전문가들은 “AI 맞춤형 가격 모델이 호텔·공연·e커머스 분야에서 이미 보편화됐지만, 항공업은 대중교통적 성격이 강해 ‘공정성’이 핵심 경쟁요소”라고 진단한다. 특히 미국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항공권 부가요금 급증에 따른 소비자 불만이 누적돼 있어, 이번 정부 경고가 규제 강화의 도화선이 될 가능성이 크다.

필자의 시각*: 현재 항공사들이 적용하는 일반적 다이내믹 프라이싱은 ‘탑승률·예약 시점’ 등 비(非)개인적 요인을 반영한다. 그러나 AI가 소비자식별정보(PII)와 결합될 경우 소비자의 알고리즘적 취약성을 악용할 소지가 크다. 따라서 교통부가 사전 규제 신호를 명확히 보낸 것은 시장 신뢰 확보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본 코멘트는 기자의 산업 해석으로, 정책 당국이나 항공사의 공식 견해와는 무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