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셧다운 우려에 달러 약세…유로·엔 강세, 금은 가격 혼조

달러 인덱스(DXY)가 1일(현지시간) 0.12% 하락하며 105선 안팎으로 밀렸다. 미국 연방정부가 2일 0시부터 부분 셧다운에 돌입할 가능성이 커진 데다, 연방준비제도(Fed) 내 핵심 인사들의 경고성 발언, 예상보다 부진한 소비심리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 2025년 10월 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은 “노동시장은 둔화 위험이 커졌고, 인플레이션은 다시 상방 압력을 받고 있다”며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에 따라 달러화는 안전통화 프리미엄을 잃고 약세 압력을 받았다.

같은 날 발표된 콘퍼런스보드 9월 미국 소비자신뢰지수는 94.2로, 전월 대비 3.6포인트 떨어지며 5개월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8월 JOLTS 구인 건수는 722만7천 건으로 시장 예상(720만 건)을 상회해 노동시장의 견조함을 시사했으나, 전반적인 위험 회피 심리를 되돌리기엔 역부족이었다.

주목

미 경기·정책 변수

미국 주택시장도 혼재된 신호를 보였다. 7월 S&P 코어로직 20대 도시 주택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1.82% 올랐는데, 월가 전망치(1.55%)는 웃돌았지만 상승폭 자체는 2년 만에 가장 낮았다. 또한 시카고 공급관리협회(PMI)는 9월 40.6으로 예상치(43.3)보다 큰 폭으로 후퇴했다.

정책 측면에서는 보스턴 연은 수전 콜린스 총재가 “올해 안에 정책금리를 소폭 더 낮출 여지가 있다”면서도 “데이터가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시장은 10월 28~29일 FOMC에서 25bp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97%로 반영하고 있다.


유럽·일본의 상반된 지표

같은 날 유로/달러 환율은 0.10% 상승했다. 독일 9월 EU조정 CPI가 전년 대비 2.4%로 예상을 웃돌아 ECB의 매파(통화 긴축) 기조를 지지했기 때문이다. 다만 독일 8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2% 감소했고, 실업자 수도 1만4천 명 늘어 경기 둔화 우려를 남겼다.

달러/엔은 0.50% 떨어졌다. 일본은행(BOJ)이 10~12월 10~25년 만기 국채 매입 규모를 월 3450억 엔으로 줄이겠다고 밝히면서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가능성을 시사했기 때문이다. 다만 일본 8월 산업생산(-1.2%)과 소매판매(-1.1%)가 모두 예상치를 밑돌아 엔화 강세 폭을 제한했다.

주목

금·은 등 안전자산 동향

12월물 금 선물은 온스당 18달러(0.47%) 오른 3,865.50달러로 계약 최고가를 다시 썼다. 달러 약세와 더불어 셧다운·무역갈등·연준 독립성 훼손 논란 등 불확실성이 겹친 영향이다. 반면 12월물 은 선물은 0.80% 하락했다.

ETF 자금 유입도 눈길을 끈다. 골드 ETF 보유량은 3년 만의 최대치, 실버 ETF는 지난주 3년 최고치를 경신했다. 전문가들은 “미·중 갈등과 중동 지정학 리스크가 확대될 경우 금 가격이 추가 랠리를 시도할 수 있다”고 본다.


주요 용어 해설*

DXY: 달러 인덱스로,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종합한 지수다.
JOLTS: 미국 노동부가 발표하는 구인·이직 보고서로, 노동시장 수요를 가늠하는 지표다.
PMI: 구매관리자지수로, 제조·서비스업 경기확장(50 이상)/위축(50 이하)을 가늠한다.
스태그플레이션: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통화정책 대응이 어렵다.


※ 본 문서에 언급된 종목·지표에 대해 필자(Rich Asplund)는 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권유가 아님을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