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16일(현지시간) 동향— S&P 500 지수는 ‑0.20% 하락,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는 +0.17% 상승, 나스닥 100 지수는 ‑0.43% 하락했다. 같은 날 9월물 E-미니 S&P 500 선물은 ‑0.22%,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44% 내렸다.
2025년 8월 17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날 증시는 예상보다 부진한 미국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영향으로 약세를 보였다. 여기에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3bp 상승하고,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Fed)가 앞으로 두 차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낮아진 점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이 밖에 발표된 지표들은 대체로 시장 예상치와 비슷했으며, 7월 소매판매가 플러스(전월 대비 +0.5%)를 기록하면서 미국 경기 회복 기대를 일정 부분 지지했다.
트럼프-푸틴 정상회담 변수
장 마감 시점까지 투자자들은 알래스카에서 예정된 트럼프 전 대통령-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정상회담 결과를 주시했다. 회담은 관세, 유가, 유럽 안보 등 거시 변수에 상당한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소매판매·물가·산업생산 세부 점검
7월 소매판매는 +0.5%(전망 +0.6%)로 다소 아쉬웠으나, 6월 수치가 +0.9%로 상향 조정되며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평가를 받았다. 자동차를 제외한 소매판매는 +0.3%로 예상치에 부합했다.
미시간대 예비 소비자심리지수는 58.6으로 전월 대비 3.1p 하락(예상 62.0)했다. 조사 결과 소비자들의 1년 후 기대 인플레이션은 4.9%, 5~10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9%로 상승했다고 응답했다. 응답자의 58%가 ‘물가 부담으로 지출을 줄일 계획’이라고 답해 소비 심리 둔화 우려를 키웠다.
7월 수입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4%로 전망치(+0.1%)를 웃돌았다. 석유 제외 수입물가도 +0.3%로 상승 전환했다. 같은 달 산업생산은 ‑0.1%(예상 0)로 소폭 부진했으나, 6월은 +0.4%로 상향됐다. 제조업 생산은 보합을 기록했다.
연준 인사 발언과 금리 선물
“서비스 물가가 여전히 높다. 최소 한 차례 이상의 인플레 지표를 더 확인하고 싶다.” —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
굴스비 총재의 발언은 다소 매파적으로 해석됐다. 전날 발표된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 급등(+3.3% y/y·핵심 +3.7% y/y)이 시장 기대 인플레를 끌어올리며 9월-50bp 인하 가능성은 소멸, ‑25bp 인하 확률도 100%에서 93%로 낮아졌다.
연방기금(FF) 금리선물은 9월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85%로 반영했으며, 10월 회의에서 추가 인하 가능성은 40%로 하향됐다.
중국 경기 둔화 소식
중국 7월 소매판매(+3.7% y/y), 산업생산(+5.7% y/y) 등 주요 지표가 시장 기대를 밑돌았다. 실업률도 5.2%로 상승, 부동산 투자 감소 폭은 ‑12.0%로 확대됐다. 미국의 대중(對中) 관세와 중국 정부의 경쟁 억제 정책이 성장세를 제약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무역정책: 트럼프 전 대통령의 추가 관세 예고
트럼프 전 대통령은 “다음 주 또는 그다음 주에 철강, 반도체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100% 관세, 경우에 따라 200~300% 관세 가능성도 언급했다. 지난주 그는 반도체 생산 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는 기업은 관세를 면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또한 대(對)중국 관세 유예를 90일 연장(11월까지)했고, 지난 수요일에는 인도에 대한 관세를 25%→50%로 인상하겠다고 예고했다. 제약(Pharma) 제품 관세도 곧 발표할 계획이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모든 조치가 시행되면 미국 평균 관세율이 15.2%로 높아질 것으로 추정했다(2024년 2.3% → 13.3% → 15.2%).
글로벌·국채 시장 동향
10년물 미 국채 가격은 5.5틱 하락, 금리는 4.318%로 3.3bp 상승했다.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7.6bp 올라 2.788%, 영국 길트 금리는 5.6bp 상승한 4.696%를 기록했다. 미 10년 손익분기 인플레이션율은 2.385%로 1.1bp 하락했다.
주요 종목·섹터별 움직임
‘매그니피센트 세븐’이라 불리는 시가총액 상위 7개 대형 기술주는 혼조세였다. 테슬라(-1.49%)가 가장 크게 하락했고, 알파벳·메타는 소폭 상승, 아마존은 보합권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유나이티드헬스(+12%)·세일즈포스(+3.9%) 급등 덕분에 상대적 강세를 보였다. 반도체주는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14%), KLA-텐코어(-8.4%), 램리서치(-7.3%) 등 대부분 하락했다. 다만 블룸버그가 인텔 지분 인수를 위해 ‘CHIPS법’ 기금을 활용할 가능성을 보도하면서 인텔은 +2.7% 상승했다.
비트코인 가격은 ‑0.7% 하락, 이에 따라 라이엇 플랫폼스(-7.5%)·코인베이스(-2.2%) 등 암호화폐 관련주가 약세를 보였다.
버크셔 해서웨이가 2분기에 유나이티드헬스·레나·DR호턴을 매수한 사실이 13F 보고서를 통해 확인되면서 해당 종목이 급등했다. 데이비드 테퍼의 아팔루사 매니지먼트도 유나이티드헬스를 매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샌디스크는 실적 가이던스 실망으로 각각 급락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타깃을 ‘보통’에서 ‘언더퍼폼’으로 하향 조정했고, 주가는 ‑1.2% 밀렸다.
실적 시즌 업데이트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 500 기업의 2분기 EPS는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할 전망이다(시즌 전 예상 +2.8%). 보고를 마친 82% 기업 중 82%가 순익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18일에는 파로알토네트웍스·XP가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용어 설명
1매그니피센트 세븐은 애플·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아마존·메타·엔비디아·테슬라로 구성된 대형 기술주 집단을 일컫는다.
2Empire 제조업지수는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하는 지역 제조업 경기 선행지표다.
3FOMC는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기구로, 연 8회 열려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 2025 NASDAQ.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