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인덱스가 1주 최저치로 하락하며 미국 소비자심리 급락과 고용 감원 급증이 결합해 달러 약세를 압박하고 있다다. 달러 인덱스(DXY00)는 이날 -0.30% 하락해 1주 저점으로 내려섰다. 전날(목요일) 발표된 챌린저(Challenger) 보고서에서 10월 미국 감원 규모가 전년 대비 175% 급증해 22년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한 점이 연준(Fed)의 추가 금리 인하 전망을 강화하며 달러에 이어지는 매도 압력을 형성했다. 여기에 미시간대학교 11월 미국 소비자심리지수가 예상보다 크게 떨어져 약 3년 반 만의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달러 약세가 더욱 가속화됐다다.
2025년 11월 7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달러에는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도 지속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다. 셧다운이 길어질수록 미국 경제의 성장 둔화 위험이 커지고, 이에 따라 연준의 금리 인하 필요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달러의 상단을 눌렀다다. 다만 이날 주식시장의 약세로 인해 달러 유동성 선호가 유입되며 낙폭을 일부 제한했고, 필립 제퍼슨(Philip Jefferson) 연준 부의장의 매파적 발언도 달러에 일부 지지력을 제공했다다. 그는 연준이 추가 금리 인하에 나설 경우 중립금리에 접근하는 구간인 만큼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타당하다”라고 밝혔다다.
미시간대 1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 대비 -3.3포인트 하락한 50.3을 기록해 시장 예상치 53.0을 밑돌았다다. 인플레이션 기대는 엇갈렸다.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7%로 전월(4.6%)에서 예상과 달리 상승했으나, 5~10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6%로 예상치 3.8%보다 낮아졌다다. 시장에서는 12월 9~10일 예정된 FOMC에서 기준금리 25bp 인하 가능성을 70%로 반영하고 있다다.
유로화(EUR/USD)는 달러 약세를 배경으로 1주 신고점을 경신하며 +0.34% 상승했다다. 독일의 무역지표가 시장 예상보다 양호했던 점도 유로 강세를 지지했다다. 9월 독일 수출은 전월 대비 +1.4%로 예상치(+0.5%)를 상회하며 10개월래 최대 증가를 기록했고, 수입 역시 +3.1%로 예상을 크게 웃돌아 8개월래 최대 폭을 보였다다. 통화정책 기대의 은행 간 디버전스도 유로에 우호적이다. ECB는 사실상 금리 인하 사이클을 마무리한 반면, 연준은 2026년 말까지 추가 인하가 남아 있는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다다. 이와 관련해 스와프 시장은 12월 18일 ECB 25bp 인하 가능성을 5% 수준으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다.
엔화(USD/JPY)는 장중 1주 고점에서 되밀리며 달러 대비 – 소폭 약세로 전환, 종합적으로 +0.03% 수준의 달러 강세(엔 약세)를 반영했다다. 이는 일본 9월 가계지출이 전년 대비 +1.8% 증가에 그쳐 예상치 +2.5%를 하회한 데 따른 것이다다. 미국 국채(T-note) 금리 상승도 엔 약세를 압박했다다. 최근 엔화는 일본 국내 정치 불확실성과 BOJ(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지연 전망으로 약세가 이어졌고, 시장은 12월 19일 차기 BOJ 회의에서 금리 인상 가능성을 49%로 반영하고 있다다.
귀금속은 달러 약세와 안전자산 선호 유입에 힘입어 동반 상승했다다. 12월 COMEX 금 선물(GCZ2)은 +8.80(+0.22%) 올랐고, 12월 COMEX 은 선물(SIZ2)은 +0.135(+0.28%) 상승했다다. 달러 인덱스가 1주 저점으로 하락한 가운데, 증시 약세가 일부 안전자산 수요를 밀어 올렸다다. PBOC(중국 인민은행)이 10월 보유 금을 7,409만 트로이온스로 늘렸다고 보고하며 12개월 연속 금 보유 확대를 이어간 점도 금 가격을 지지했다다. 또한 지난 목요일 월드골드카운슬(WGC)은 3분기 글로벌 중앙은행 금 매입이 220톤(MT)으로 2분기 대비 28% 증가했다고 밝혔다다.
다만 필립 제퍼슨 부의장의 매파적 코멘트(추가 금리 인하는 서서히)가 상승폭을 제한했다다. 여기에 중국 10월 무역지표 부진으로 산업용 금속 수요 둔화 우려가 커지며 은 가격의 상단도 눌렸다다. 중국 10월 수출은 전년 대비 -1.1%로 예상치 +2.9%를 크게 밑돌아 8개월래 최대 감소를 기록했고, 수입은 +1.0%로 예상치 +2.7%에 못 미쳤다다. 10월 중순 기록한 사상 최고가 이후 귀금속 시장에는 롱 청산 압력이 이어졌고, 10월 21일 3년 최고치를 기록했던 금·은 ETF 보유량도 최근 들어 감소했다다.
핵심 수치 요약
– 달러 인덱스(DXY): -0.30%, 1주 저점
– 미시간대 11월 소비자심리지수: 50.3(전월 대비 -3.3), 3.5년 최저 근접, 예상 53.0 하회
– 1년 기대 인플레이션: 4.7%(전월 4.6%); 5~10년 기대 인플레이션: 3.6%(예상 3.8%)
– 챌린저 감원: 10월 y/y +175%, 22년 만의 최대 증가
– EUR/USD: +0.34%, 1주 고점; 독일 9월 수출 +1.4% m/m, 수입 +3.1% m/m
– USD/JPY: +0.03%; 일본 9월 가계지출 +1.8% y/y(예상 +2.5%)
– 금 선물(12월): +8.80(+0.22%); 은 선물(12월): +0.135(+0.28%)
– FOMC 12월 9~10일 25bp 인하 확률: 70%
– ECB 12월 18일 25bp 인하 확률: 5%
– BOJ 12월 19일 금리 인상 확률: 49%
시장 동인과 해설
1) 소비자심리와 달러: 미시간대 지표는 소비 여력과 심리의 약화를 시사하며 성장 기대를 낮춘다다. 이는 통화정책의 완화적 전환 기대를 키워 달러 약세로 이어지는 전형적 반응을 낳는다다. 다만 주식 약세 국면에서는 달러 유동성 수요가 커져 낙폭이 제한될 수 있다다.
2) 정책 시그널: 제퍼슨 부의장이 강조한 ‘점진적 인하’는 성급한 완화를 경계하는 메시지다. 이는 중립금리 근접 국면에서의 조심스러운 대응을 뜻하며, 물가 기대가 상방으로 틀릴 경우 재차 매파적 리스크가 부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다.
3) 유럽과 일본: 유로존은 ECB 인하 사이클 종료 인식과 독일 무역 회복 신호가 결합하며 유로를 지지한다다. 반면 일본은 가계지출 둔화와 BOJ의 지연된 정상화가 엔 약세를 자극한다다.
4) 원자재: 달러 약세와 중앙은행의 금 매수는 금의 구조적 하방을 방어한다다. 그러나 중국 수요 둔화 신호는 은 등 산업용 금속에 부담이다다.
용어 설명
– 달러 인덱스(DXY): 달러를 유로, 엔, 파운드 등 주요 통화 바스켓 대비로 측정한 지수다다.
–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소비자의 경제전망과 구매 의향을 조사한 선행지표로, 50.3은 팬데믹 이후 낮은 수준에 근접한 수치다다.
– 챌린저 감원 보고서: 미국 기업의 감원 발표를 집계한 월간 통계로, 노동시장의 선행적 약화를 포착한다다.
– 중립금리: 경기 과열이나 둔화를 유발하지 않는 이론적 금리 수준을 뜻한다다.
– T-note 수익률: 미국 국채(특히 10년물 등) 수익률로, 글로벌 위험자산 및 환율에 큰 영향을 준다다.
– 스와프시장의 확률 반영: 금리선물·OIS 등을 통해 정책금리 경로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확률로 역산한 값이다다.
기타 동향 및 고지
미국 정부 셧다운 지속, 미국 관세 정책 불확실성, 지정학적 위험, 중앙은행 금 매수, 그리고 연준 독립성에 대한 정치적 압력 등은 귀금속의 기저 안전자산 수요를 유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다. 한편, 중순 사상 최고가 기록 이후 진행된 롱 포지션 청산과 ETF 보유량 감소(10월 21일 3년래 최고치 기록 이후) 흐름은 금·은 가격의 단기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이다다.
독자 참고: “200K+ 구독자가 선택한 중간장 브리프(Barchart Brief) 뉴스레터”는 매일 수천 명이 읽는 필독 자료로 소개됐다다.
공시 본 기사 게시일 현재, Rich Asplund는 본문에 언급된 어떠한 종목에도(직접·간접을 불문)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다. 본문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라고 명시됐다다. 세부 공시는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조하도록 안내됐다다. 기사 내 견해와 의견은 필진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