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지수(DXY00)가 16일(현지시간) -0.41% 떨어지며 주말장을 마감했다. 이번 하락은 예상치를 하회한 미국 소비자심리 지표와 미 재무장관의 발언으로 촉발된 통화정책 독립성 훼손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2025년 8월 16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재닛 베센트 미 재무장관이 연준에 금리 인하 폭을 사실상 지시하는 듯한 발언을 내놓은 데 대해 경계를 강화했다. 그럼에도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4bp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달러화는 약세를 면치 못했다.
시장의 관심은 같은 날 오후 열리는 트럼프–푸틴 정상회담으로 옮겨갔다. 투자자들은 회담 결과가 관세정책과 원유가격, 나아가 유럽 안보 지형에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미국 경제지표: 소매판매·심리·생산 모두 혼조
미국 7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5% 증가해 시장 예상치 +0.6%를 소폭 밑돌았다. 그러나 6월 수치는 +0.6%에서 +0.9%로 상향 조정돼 전반적 해석은 중립적이다. 자동차를 제외한 소매판매는 +0.3%로 컨센서스에 부합했으나, 6월(수정치 +0.8%) 대비 둔화됐다.
미시건대가 집계한 8월 소비자심리지수(예비치)는 58.6으로 전달 대비 3.1포인트 하락했고, 시장이 기대한 62.0에도 미달했다. 설문 응답자의 58%가 “인플레이션 때문에 지출을 줄일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9%, 5~10년 기대치는 3.9%로 상승했다.
같은 달 수입물가는 전월 대비 +0.4%로 전망치(+0.1%)를 웃돌았다. 에너지를 제외한 수입물가는 +0.3%로 전월(-0.2%) 대비 반등했으며, 연율 기준으로는 -0.2%로 여전히 마이너스 영역에 머물렀다.
7월 미국 산업생산은 -0.1%(예상 0%)로 부진했으나, 6월 수치는 +0.4%로 상향됐다. 제조업 생산은 보합을 기록했고 역시 6월이 +0.3%로 수정됐다. 반면 뉴욕 연은의 8월 엠파이어 제조업지수는 11.9로 예상치(0)를 크게 상회하며 제조업 회복 가능성을 시사했다.
연준·ECB 정책 기대감 변화
시카고 연은 총재 오스탄 굴스비는 “지속적 인플레이션 압력이 나타나지 않는지 확인하려면 인플레이션 지표를 한 차례 더 볼 필요가 있다”며 매파적 기조를 유지했다. 그는 7월 CPI에서 두드러진 서비스 물가 상승을 우려하면서도 단기 데이터에 과도하게 의존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전날 발표된 7월 PPI(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3.3%(헤드라인)·+3.7%(근원)로 시장 충격을 안겼다. 이에 따라 9월 FOMC에서 -50bp 인하 기대는 소멸했고, -25bp 인하 확률도 100%에서 93%로 후퇴했다. 연방기금선물 시장은 9월 25bp 인하 확률을 85%, 10월 추가 인하 확률을 40%로 반영하고 있다.
유로존에서는 ECB의 9월 11일 정책회의에서 25bp 인하 확률이 파생시장 기준 5%에 그쳤다. EUR/USD 환율은 달러 약세에 힘입어 +0.47% 상승했다.
미·중·인도 관세 전선 확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 주와 그다음 주에 철강, 반도체 등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최대 300%의 반도체 관세를 언급하면서도, 미국 내 생산으로 이전하는 기업은 면제 가능성을 시사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한 관세 동결을 90일 연장했고,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이유로 대(對)인도 관세를 현행 25%에서 50%로 두 배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이러한 조치가 모두 시행될 경우 미국 평균 관세율은 2024년 2.3%에서 15.2%까지 치솟을 전망이다.
중국 경기 둔화가 글로벌 수요 압박
중국 7월 소매판매는 +3.7%로 예상치 +4.6% 및 6월 +4.8%를 모두 하회했고, 산업생산도 +5.7%로 예상치 +6.0%에 미달했다. 실업률은 5.2%로 전월 5.0%보다 악화됐으며, 부동산 투자는 연초 대비 -12.0%를 기록했다.
미·중 갈등과 중국 내 과다 경쟁 규제가 맞물리면서 글로벌 성장 둔화 우려가 커졌다. 이는 산업용 금속 수요 감소 전망과 맞물려 은(Ag) 가격을 압박했고, 금(Au) 가격 역시 9월 연준 인하 기대 약화를 반영해 소폭 하락했다.
자주 등장하는 용어 해설
DXY는 6개 주요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산출한 달러 인덱스를 뜻한다.
PPI(Producer Price Index)는 생산 단계의 물가 변동을 보여주며, CPI보다 선행성을 가진다.
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로,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bp(basis point)는 금리 단위로 0.01%포인트를 의미한다.
귀금속·외환 시장 동향
12월물 금 선물은 0.02% 하락한 1,946.30달러에, 9월물 은 선물은 0.25% 내린 24.23달러에 마감했다. ETF 보유량 증가 추세가 안전자산 수요를 지지하고 있으나, 연준의 매파적 기조가 가격 상단을 제한했다.
엔/달러(USD/JPY)는 -0.56% 하락했다. 베센트 장관이 일본은행(BOJ)의 완화정책을 비판하며 금리 인상 가능성을 언급했으나, 미 관세 확대로 일본 수출에 타격이 예상되면서 엔 강세 폭은 제한됐다.
※본 기사에서 언급된 증권에 대해 작성 시점 기준으로 필진인 리치 애스플런드는 직·간접 보유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해당 정보는 투자자 참고용이며, 투자 판단은 독자 책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