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 지수는 0.20% 하락했고, 나스닥 100 지수는 0.43% 밀려났으며,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만 0.17% 소폭 상승했다. 선물시장에서도 9월물 E-미니 S&P는 0.22%, E-미니 나스닥은 0.44% 각각 내렸다.
2025년 8월 15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날 증시는 예상을 밑돈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가 투자심리를 압박했고, 10년물 국채금리가 3bp(0.03%p) 상승하면서 연준(Fed) 조기 완화 기대가 후퇴한 점이 하방 요인으로 작용했다.
소비·물가 지표가 주가에 미친 영향
미시간대 8월 잠정 소비자심리지수는 58.6으로 전월 대비 3.1p 하락해 시장예상치(62.0)를 크게 밑돌았다.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1년 후 기대 인플레이션을 4.9%, 5~10년 후를 3.9%로 전망했으며, 응답자의 58%가 인플레이션을 이유로 소비를 줄이겠다고 답했다.
같은 날 발표된 7월 미국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5% 증가해 컨센서스(0.6%)를 소폭 밑돌았으나, 6월 수치가 0.6%에서 0.9%로 상향 조정되면서 전반적 영향은 중립으로 평가됐다. 자동차를 제외한 소매판매도 0.3% 증가해 예측치와 부합했다.
연준 통화정책 기대 변화
전날 발표된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년 대비 3.3%(근원 3.7%) 급등한 데 이어, 금일 소비심리 지표까지 물가 우려를 키우면서 시장은 9월 FOMC에서 50bp 인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했고, 25bp 인하 확률도 93%에서 85%로 낮췄다. 10월 추가 인하 기대 역시 53%에서 40%로 후퇴했다.
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로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시장은 선물가격을 통해 향후 금리 인하·인상 가능성을 확률로 환산해 반영한다.
트럼프–푸틴 알래스카 정상회담 대기
투자자들은 알래스카에서 예정된 트럼프–푸틴 회담 결과도 주시했다. 회담은 관세 및 유가, 나아가 유럽 안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관망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관세 리스크 확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다음 주 또는 그다음 주에 철강, 반도체에 대한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며 반도체에 최대 300%의 관세도 언급했다. 그는 인도산 수입품 관세를 25%에서 50%로 두 배 인상했고, 중국과의 관세 휴전도 11월까지 90일 연장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이로 인해 미국 평균 관세율이 2024년 2.3%에서 15.2%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추산했다.
중국 경기둔화 신호
중국 7월 소매판매는 전년 대비 3.7% 증가해 예상치(4.6%)를 밑돌았고, 7월 산업생산도 5.7%로 예상(6.0%)에 못 미쳤다. 실업률은 5.2%로 전월(5.0%)보다 상승했다. 이는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와 중국 정부의 경쟁 제한 정책이 내수·제조업 전반을 위축시키는 것으로 풀이된다.
국채·글로벌 금리
미 국채 10년물(9월물)은 5.5틱 하락했고 수익률은 4.318%로 3.3bp 상승했다. 독일 10년물 분트채 수익률은 2.788%(+7.6bp), 영국 길트채는 4.696%(+5.6bp)로 동반 상승했다.
주요 종목 움직임
― 다우지수는 유나이티드헬스(+12%)와 세일즈포스(+3.9%) 급등으로 상대적 강세를 보였다.
― 매그니피슨트 세븐 가운데 테슬라(-1.49%)가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고, 알파벳·메타는 소폭 상승, 아마존은 보합권을 유지했다.
― 반도체주는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14%), KLA(-8.4%), 램리서치(-7.3%) 등 대부분 급락했다. 반면 인텔은 미 정부의 Chips Act 투자 검토 소식에 2.7% 상승했다.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이 0.7% 하락했고, 라이엇 플랫폼스(-7.5%), 코인베이스(-2.2%) 등 관련주도 동반 약세를 나타냈다.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가 2분기 중 유나이티드헬스·레나·디알호튼을 매수한 사실이 13F 보고서로 확인되면서 해당 종목이 동반 강세를 기록했다.
산업 생산·제조업 지표
7월 미국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0.1% 감소해 예상치(0%)를 소폭 하회했으나, 6월 수치는 0.4%로 상향됐다. 제조업 생산은 변동 없었고, 뉴욕 연은의 8월 엠파이어 제조업지수가 11.9로 나온 점은 긍정적이다.
시카고 연은 총재 오스턴 굴스비는 서비스 물가 강세를 우려하며 “추가 인플레이션 데이터를 최소 한 번 더 확인한 뒤 결정하겠다”고 밝혀 다소 매파(긴축 선호)적 발언으로 해석됐다.
용어 풀이 및 전문가 시각
PPI(Producer Price Index)는 생산자물가지수로, 기업이 도매 단계에서 받는 가격 변동을 보여준다. 전방 산업에 전가될 가능성이 높아 소비자 물가의 선행지표로 간주된다.
FOMC는 연준 산하 통화정책회의로, 기준금리·유동성 공급을 결정한다. 시장은 연방기금 선물 가격 변동을 통해 FOMC의 금리 결정 확률을 실시간 반영한다.
전문가들은 소비심리 약화와 인플레이션 기대 상승이 동반되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재점화될 경우, 주식·채권 모두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다. 다만 2분기 S&P 500 기업 이익이 예상치를 크게 웃돌고(전년比 9.1% 증가) 테크 대형주 실적이 견조한 점은 하방 경직성을 부여하고 있다.
국내 투자자 입장에서는 달러화 강세와 미 국채금리 상승이 동반될 때 원·달러 환율과 외국인 자금 흐름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어, 글로벌 금리·물가 지표 일정에 각별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