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 주요 지수, 서비스업 둔화에 동반 하락
S&P 500 지수(티커: SPX)은 전일 대비 -0.49% 하락한 채 거래를 마쳤다. 같은 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는 -0.14% 내렸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 지수(IUXX)는 -0.73% 떨어졌다. 선물시장에서도 9월물 E-미니 S&P 500 선물이 -0.46% 하락했고,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71% 밀렸다.
장 초반까지만 해도 기술주 강세에 힘입어 지수는 상승세로 출발했으나, 미국 서비스업 활동 둔화와 서비스 부문 물가 압력이 재차 확인되면서 매도세가 우위를 보였다.
2025년 8월 6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미국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7월 서비스업 PMI는 50.1로, 전월(50.8) 대비 -0.7포인트 하락했다. 시장 예상치(51.5)를 밑돈 이번 수치는 경기 확장·위축의 분기점인 50 근방에서 간신히 확장세를 유지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서비스업 ‘지불가격(Prices Paid)’ 지수는 69.9로 전월 대비 +2.4포인트 급등해 2년 9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66.5)를 크게 웃도는 수준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끈적거리게’(sticky) 남아 있음을 시사한다.
■ 기술주와 고용 지표 영향
이날 개장 전 시장 심리에는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alantir Technologies) 주가가 +7% 급등하며 긍정적 분위기를 조성했다. 해당 기업은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과 함께 연간 전망을 상향 조정했다. 그러나 최근 발표된 부진한 비농업 고용보고서(Non-farm Payrolls)와 제조업 PMI가 연방준비제도(Fed)의 조기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였음에도, 물가 재상승 우려가 매수세를 제한했다.
실제로 연방기금선물(FFR) 시장에서는 9월 FOMC에서 25bp(0.25%포인트) 인하 가능성을 94%로 반영하고 있으며, 10월 회의에서도 62%의 인하 확률이 가격에 내재됐다.
■ 무역수지·관세 변수
6월 미국 무역수지는 -602억 달러로 전월(-717억 달러) 대비 적자 폭이 축소됐다. 이는 1년 9개월 만의 최소 적자이자 시장 컨센서스(-610억 달러)를 상회한 수치로, 2분기 GDP 성장률 상향에 긍정적 요인으로 평가된다.
관세 이슈도 시장 변동성을 키웠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인도산 수입품 관세를 현행 25%에서 ‘대폭 상향’하겠다고 밝혔고, 앞서 캐나다산 일부 제품 관세를 35%로 인상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 분석에 따르면, 예고된 관세가 모두 시행될 경우 미국 평균 관세율은 15.2%까지 오를 전망이다(2024년 2.3% 대비 급등).
■ 국채시장: 공급 부담·낙찰 부진
채권 시장에서는 10년 만기 미 재무부채권 수익률이 4.202%로 +1.0bp 상승했다. 이는 3개월 최저치(4.183%)에서 다소 반등한 수준이다. 이번 주 3·10·30년물 총 1,250억 달러 규모의 ‘쿼터리 리펀딩’ 입찰이 예정돼 있어 공급 부담이 부각됐다.
특히 3년물(580억 달러) 입찰은 응찰배수(Bid-to-Cover) 2.53배로 최근 10회 평균(2.58배)을 밑돌아 수요가 약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샌프란시스코 연은 메리 데일리 총재가 ‘노동시장 약화와 인플레이션 진정’을 근거로 금리 인하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낙폭은 제한됐다.
■ 해외증시 및 PMI 동향
유럽 증시는 유로스톡스 50이 +0.14%, 아시아 시장에서는 중국 상하이종합지수가 +0.96%, 일본 닛케이225가 +0.64%씩 상승 마감했다.
유로존 7월 S&P 종합 PMI 확정치는 50.9로 잠정치(51.0)에서 소폭 하향됐고, 영국 7월 PMI는 51.5로 상향 조정됐다. 이에 따라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2.601%까지 밀렸다가 보합으로 마쳤으며,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4.516%로 소폭 올랐다.
■ 개별 종목: 실적 발표 희비
※ ‘어닝 시즌’에 접어들면서 S&P 500 기업의 67%가 2분기 실적을 발표했으며, 이 중 83%가 예상치를 상회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2분기 S&P 500 순이익 증가율을 +9.1%로 추정했다(사전 전망 +2.8%).
주요 하락주 : 인스파이어 메디컬 시스템스는 연간 매출 전망을 하향 조정하며 -34%, 가트너는 매출 전망 하향과 함께 -27% 급락했다. 버텍스 파마슈티컬스는 FDA가 말초신경병증 치료제 ‘Journavx’의 3상 진행 불가 입장을 내면서 -20% 넘게 빠졌다.
주요 상승주 : 액손 엔터프라이즈는 매출과 EBITDA 전망 상향으로 +16%, 팔란티어는 실적 호조로 +7% 상승했다. 유나이티드헬스 그룹 등 건강보험주는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보너스 지급기준 완화 기대에 동반 강세를 보였다.
■ 용어 해설
ISM 서비스업 PMI : 미국 공급관리협회(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가 매월 발표하는 비제조업(서비스) 경기지표다.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 50 미만이면 위축을 의미한다.
Prices Paid 지수 : 기업들이 지불하는 원자재·서비스 가격을 측정한다. 수치가 높을수록 기업이 체감하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다는 뜻이다.
Bid-to-Cover : 국채 입찰에서 응찰금액 대비 낙찰금액의 비율이다. 2.0배 이상이면 수요가 비교적 양호하다고 평가된다.
■ 향후 일정 및 전망
이번 주 시장은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목), 2분기 비농업 생산성 및 단위노동비용(목) 등을 주목한다. 또한 에어비앤비, 디즈니, 우버 등 주요 기업들이 대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어서 개별 종목 변동성이 확대될 전망이다.
한편 연준의 9월 금리 결정을 앞두고, 향후 발표될 고용·물가 지표가 금리 인하 속도와 폭을 가늠할 ‘최후의 검증대’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 2025 Barchart, 번역·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