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서비스업 지표 부진에 주요 지수 하락 압력

미국 증시, 서비스업 부진·물가 우려에 약세 전환

뉴욕증권거래소가 개장한 5일(현지 시각)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57%,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0.51%,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 지수는 -0.62% 내리고 있다. 같은 시각 9월물 E-미니 S&P 선물-0.55%,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0.58% 떨어졌다.

2025년 8월 5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장 초반 기술주 강세로 반등을 시도했던 뉴욕 증시는 미국 ISM 7월 서비스업 지수(50.1)가 예상치(51.5)를 밑돌며 전월 대비 0.7포인트 하락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하락세로 돌아섰다. 특히 같은 달 서비스업 투입물가(가격지불) 지수69.9로 2.75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며 물가 압력 우려를 자극했다.


▷ ISM 서비스업 지수란?

ISM(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미국 서비스 부문의 경기 동향을 50을 기준으로 확장·위축을 판단하는 선행 지표다.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 50 미만이면 위축을 의미한다.

▷ E-미니 선물이란?

E-미니 선물은 S&P 500·나스닥 100 등 주요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전자거래 전용 소형 계약으로, 정규 선물 대비 증거금이 낮아 글로벌 투자자들이 시장 방향성을 미리 가늠할 때 활용한다.


시장 참여자들은 지난주 부진한 비농업 고용·ISM 제조업 지표가 연방준비제도(Fed)의 9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였다고 평가한다.

FedWatch에 따르면 9월 FOMC에서 25bp 인하 확률은 보고서 발표 전 40%에서 현재 92%로 급등했다.

같은 날 발표된 6월 미국 무역수지는 적자 폭이 -602억 달러로, 전월(-717억 달러) 및 시장 전망(-610억 달러)을 모두 밑돌며 1.7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2분기 GDP 성장률 산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전날 “고용시장 둔화와 관세발 인플레이션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며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고 발언해 증시에 한때 호재로 작용했다.


무역·관세 리스크 재부각

무역전선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한 인도를 겨냥해 현재 25%인 미국산 수입품 관세를 ‘대폭’ 인상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캐나다산 일부 제품 관세를 25%에서 35%로 상향하고, 글로벌 최소 관세 10% 및 대미 흑자국에 대해 최소 15% 고율 관세를 8월 7일 0시부터 적용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이 조치들이 모두 실행될 경우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13.3%에서 15.2%로 상승해 2024년(2.3%) 대비 크게 높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주요 기업 실적·주가 동향

현재까지 66%의 S&P500 기업이 2분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82%가 시장 기대를 웃돌았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2분기 S&P500 순이익 증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9.1%로, 시즌 전 예상치(+2.8%)를 크게 웃돌며 4년래 최대폭 성장세를 시사한다고 밝혔다.

상승 종목으로는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7%)가 2분기 매출 10억 달러(컨센서스 9억3,930만 달러) 달성과 연간 가이던스 상향(39억~40억 달러→41억4,000만~41억5,000만 달러)으로 두각을 나타냈다. 액손 엔터프라이즈(+17%)도 매출·EBITDA 전망 상향으로 S&P500 및 나스닥 100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화이자(+5%), 브로드리지 파이낸셜(+5%), 레이도스 홀딩스(+5%) 등도 호실적에 강세다.

하락 종목인스파이어 메디컬 시스템즈(-41%), 가트너(-27%), 버텍스 파마슈티컬스(-16%) 등이 부진한 가이던스·임상 중단 등으로 급락했다. 항공우주 업종의 트랜스디그름(-12%), 반도체주 글로벌파운드리즈(-10%)도 실적 전망 하향에 약세를 보였다.


채권시장 동향

9월물 미국 10년물 T-노트 가격은 -2틱 하락했으나, 오전 중 연 4.183%로 3개월래 최저 수익률을 찍은 뒤 낙폭을 회복했다. 이번 주 재무부가 3년물 580억 달러 등 총 1,250억 달러 규모 T-노트·T-본드 공급에 나서는 점이 가격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반면 ISM 서비스업 지표 둔화, 데일리 총재의 완화적 발언이 금리 하단을 지지했다.

유럽 국채금리는 동반 하락했다. 10년물 독일 분트 금리는 2.622%, 영국 길트 금리는 4.499%로 각각 1.5주·1개월 만의 저점이다. 시장은 유럽중앙은행(ECB)이 9월 11일 회의에서 25bp 인하할 확률을 13%로 반영하고 있다.


향후 일정·주요 변수

이번 주 시장은 추가 관세·무역 뉴스와 더불어 목요일 발표될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22만1,000건 예상), 2분기 비농업 생산성(+2.0%), 단위노동비용(+1.5%) 등에 주목한다. 시카고 연방기금선물 가격은 10월 28~29일 FOMC에서도 두 번째 25bp 인하 가능성을 64%로 반영 중이다.

한편 5일 예정된 실적 발표 라인업에는 AMD, 캐터필러, 듀폰,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 등 40여 개 기업이 포함돼 있어 개별 종목 변동성이 확대될 전망이다.


전문가 진단

시장에서는

“서비스 분야 물가 압력이 여전히 높아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

는 견해와, “고용이 둔화하고 무역적자가 축소된 만큼 연준이 조만간 선제적으로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시각이 엇갈린다. 특히 관세 인상으로 공급 병목과 비용 상승이 재연될 경우, 연준의 통화정책 경로가 다시 복잡해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결국 투자자들은 연준의 9월 인하 시사 메시지와 향후 트럼프발 무역정책 변수를 동시에 주목하며 포지션을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