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서비스업 지표 부진에 뉴욕증시 하락 압력

5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미국 서비스업 활동 지표 둔화서비스 물가 압력 재확인이라는 이중 악재에 직면하며 하락세를 보였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0.57%,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51%, 나스닥100지수는 -0.62% 떨어졌다. 동시호가 단계에서 9월물 E-미니 S&P500 선물과 나스닥 선물도 각각 -0.55%, -0.58% 내렸다.

2025년 8월 5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ISM(공급관리협회) 7월 미국 서비스업 PMI는 전달 대비 0.7p 하락한 50.1을 기록해 시장 예상치(51.5)를 하회했다. *50을 기준으로 확장·위축을 구분한다. 동시에 가격지불 지수는 2.4p 오른 69.9로 2년 9개월 만의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인플레이션이 서비스 부문에서 끈적거리는(sticky) 현상을 보임을 시사한다.

장 초반 기술주 강세가 상승 동력을 제공했다. 특히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8%)는 예상치를 웃돈 2분기 순이익과 연간 가이던스 상향 조정으로 매수세를 이끌었다. 그러나 ISM 발표 이후 주가는 일제히 하방 반전했다.


연준 통화정책 기대

시장 참가자들은 지난주 부진했던 7월 고용보고서와 제조업 PMI를 근거로 9월 FOMC에서 기준금리 25bp 인하 가능성을 92%로 상향 반영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10월 회의에서도 64% 확률로 추가 인하가 점쳐진다.

전날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고용시장 둔화와 관세발(發) 인플레 증거 부재를 감안할 때 조만간 완화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점도 완화 기대를 부채질했다.


무역·관세 변수 확대

무역 측면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산 수입품 관세율을 25%에서 상당 폭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를 지속 수입한 데 대한 보복 조치다. 이어 8월 7일 0시 이후 ▲캐나다 일부 품목 관세 35% 인상 ▲10% 글로벌 관세 하한선 ▲대미 흑자국에 15% 이상 관세 부과 등을 단행하기로 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해당 조치가 시행될 경우 미국 평균 관세율이 2024년 2.3%에서 15.2%로 급등할 것이라 전망했다.


경제 지표 점검

6월 미국 무역적자는 602억 달러로 1년 9개월 만에 최소치를 기록해, 2분기 GDP에 긍정적 요소로 평가된다. 이번 주 주간 신규실업수당청구 건수(예상 22만1천 건)와 2분기 비농업 생산성(+2.0% 예상), 단위노동비용(+1.5% 예상)이 추가로 발표될 예정이다.


국채 시장 동향

9월물 10년 만기 T-노트 선물(ZNU25)은 -2틱 밀렸고 수익률은 전장 대비 0.6bp 상승한 4.1982%다. 재무부는 이번 주 분기 환매(refunding) 입찰로 총 1,250억 달러 상당의 국채를 발행한다. 공급 부담과 서비스 부문 물가 압력이 수익률을 끌어올렸으나, PMI 부진과 연준 완화 기대가 빠르게 하방을 지지했다.

유럽에서도 독일 10년물 분트 수익률이 2.622%로 1.5주 최저치, 영국 길트는 4.499%로 1개월 저점까지 밀렸다. 유로존 7월 종합 PMI는 50.9로 하향 수정, 영국은 51.5로 상향 조정됐다. 시장이 ECB의 9월 인하 가능성을 13%로 가격에 반영한 배경이다.


주요 종목별 등락※괄호 안은 전장 대비 등락률

S&P 500 Chart

하락 종목

인스파이어 메디컬 시스템즈(INSP, -41%)는 올해 매출 가이던스를 9억~9억1천만 달러로 하향(컨센서스 9억4,920만 달러)했다. 가트너(IT, -27%)도 연간 매출 전망을 64억6천만 달러로 낮춰 S&P500 내 낙폭 1위를 기록했다. 버텍스 파마슈티컬스(VRTX, -16%)는 Journavx의 말초신경병증 치료제 임상 3상 불허 결정 소식으로 급락했다.

항공·방위 부품업체 트랜스딤 그룹(TDG, -12%)은 2분기 매출이 예상(23억 달러)을 하회하고 연간 전망을 축소했다. 글로벌파운드리즈(GFS, -10%)는 3분기 주당순이익(EPS) 가이던스 중앙값이 시장 기대를 밑돌면서 반도체주 전반을 끌어내렸다.

상승 종목

액슨 엔터프라이즈(AXON, +17%)는 테이저·바디캠 등 경찰장비 수요 증가로 2분기 매출이 6억6,850만 달러(컨센서스 6억4,030만 달러)에 달했고, 연간 EBITDA 전망도 상향했다. 팔란티어(PLTR, +7%)는 2분기 매출이 10억 달러로 예상(9억3,930만 달러)을 뛰어넘었다. 화이자(PFE, +5%)는 2분기 매출 146억5천만 달러로 시장 예상을 웃돌았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E-미니 선물: CME 거래소에서 소규모 계약 단위로 거래되는 지수선물로, 개인·기관 모두 유동성 확보에 활용한다.
ISM 서비스업 PMI: 300개 이상 기업 구매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지표로,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을 의미한다.
페드워치(FedWatch): 시카고상품거래소가 연방기금선물 가격을 토대로 산출하는 금리 인하·인상 확률 지표다.


에디터 뷰

전체적으로 서비스 부문 물가 압력 재확인에도 불구하고 고용·제조업 부진으로 연준의 완화 기대가 단단히 자리 잡았다는 점이 눈에 띈다. 다만 트럼프 정부의 공격적 관세 정책이 본격 시행될 경우 공급망 교란과 2차 인플레이션 압력이 재점화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향후 FOMC는 고용과 물가의 상충 경로를 동시에 주시할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