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서비스업 지표 부진에 뉴욕증시 하락 마감

[뉴욕증시 마감동향]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SPY)는 5일(현지시간) 전일 대비 0.49% 하락한 가운데 거래를 마쳤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DIA)는 0.14% 내렸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100 지수(QQQ)는 0.73% 떨어졌다. 같은 날 9월물 E-미니 S&P500 선물(ESU25)은 0.46%,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NQU25)은 0.71% 각각 하락했다.

S&P500 차트

2025년 8월 6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주가 지수는 장 초반 기술주 강세로 오름세를 보였으나 미국 서비스업 지표 부진물가 압력 재확인 소식이 전해지자 하락 전환했다. 미국공급관리협회(ISM)가 집계한 7월 서비스업 PMI는 50.8에서 50.1로 0.7포인트 떨어져 시장 예상치(51.5)를 밑돌았다. 특히 물가세부항목(서비스업 ‘지불가격’ 지수)은 2.4포인트 급등한 69.9로 2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해 인플레이션 경계심을 자극했다.

이날 시장의 초기 상승 동력은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LTR)의 2분기 호실적이었다. 해당 종목은 전년 대비 7% 급등했으며, 긍정적 가이던스를 제시한 것이 투자심리를 한때 개선시켰다. 그러나 지난주 부진한 비농업부문 고용보고서ISM 제조업 지수가 ‘연준(Fed)의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94%까지 끌어올린 상황에서, 이번 서비스업 지표마저 둔화되자 경기 둔화 우려가 다시 부각됐다.

나스닥 선물 차트

같은 날 발표된 6월 미 무역적자는 602억 달러로 전월(717억 달러)보다 크게 축소되며 1년 9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2분기 국내총생산(GDP)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연준 위원 발언도 시장 주목 —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메리 데일리 총재는 5일 늦은 밤 “노동시장 약화와 관세발(發) 인플레이션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 만큼 조만간 완화적 통화정책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의 ‘비둘기파적(dovish)’ 발언이 전해지자 채권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는 더욱 공고해졌다.


관세 관련 불확실성 확대

무역·관세 이슈도 주가를 짓눌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일 “러시아산 원유를 대거 수입한 인도에 대해 현행 25% 관세를 대폭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1일에는 캐나다 일부 수입품에 부과되는 관세를 25%에서 35%로 올렸으며, 8월 7일 0시 이후에는 ‘10% 글로벌 최저 관세’대미 무역흑자국에 15% 이상 관세를 전면 시행하겠다는 방침을 천명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이러한 조치가 모두 적용될 경우 미국의 평균 관세율은 2024년 2.3%에서 15.2%로 급등하게 된다.

※ 용어 설명
ISM 서비스업 PMI는 미국 서비스업 경기 동향을 50을 기준으로 확장·수축을 판단하는 대표 지표다.
Bid-to-Cover Ratio는 국채 입찰에서 입찰 규모발행 규모로 나눈 값으로, 2.0 이상이면 수요가 양호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채권시장 동향

9월물 미 10년물 국채선물(ZNU25)은 2.5틱 하락 마감했다. 이에 따라 10년물 국채금리는 1bp 상승한 4.202%를 기록했으며, 장중 3개월 만의 저점(4.183%)에서 소폭 반등했다. 이번 주 미 재무부는 분기 환매(refunding) 일정에 따라 총 1,250억 달러 규모의 국채를 발행할 예정인 가운데, 이날 실시된 3년물 580억 달러 입찰의 bid-to-cover 비율은 2.53으로 최근 10차례 평균(2.58)을 하회해 수요 부진이 확인됐다.

유럽 채권금리는 혼조세였다. 독일 10년물 분트 금리는 1.5주 만의 저점인 2.601%까지 하락했다가 보합(2.624%)으로 마쳤고,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4.496%에서 4.516%로 0.8bp 반등했다.


기업 실적·주가 변동

AXON 실적

2분기 실적 시즌이 막바지에 접어든 가운데, S&P500 구성 종목의 67%가 실적을 발표했으며 83%가 이익 추정치를 상회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2분기 S&P500 이익 증가율이 전년 대비 9.1%로, 시즌 개막 전 예상치(2.8%)를 크게 웃돌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개별 종목별 주가는 명암이 엇갈렸다. 의료기기 업체 인스파이어 메디컬 시스템스(INSP)는 연간 매출 전망 하향 조정 여파로 34% 급락했다. 시장조사 기관 가트너(IT) 역시 매출 가이던스 하향으로 27% 떨어지며 S&P500 하락 종목 1위를 기록했다. 제약사 버텍스 파마슈티컬스(VRTX)는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제 ‘저우나벡스’의 임상 3상 무산 소식으로 20% 이상 폭락했다.

반면 경찰용 테이저건, 바디캠 등을 제조하는 액슨 엔터프라이즈(AXON)는 매출과 Ebitda 서프라이즈 덕분에 16% 급등하며 S&P500·나스닥100 상승률 1위에 올랐다. 앞서 언급한 팔란티어(PLTR)도 7% 올랐고, 미 최대 의료보험사 유나이티드헬스(UNH)는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보너스 지급 기준 완화 기대감으로 4% 상승했다.


이번 주 증시 이벤트

시장 참가자는 7일(목) 발표 예정인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예상 22만1,000건)와 2분기 비농업 생산성·단위노동비용 지표에 주목하고 있다. 연방기금 선물시장에서는 9월 16~17일 FOMC 회의에서 0.25%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을 94% 반영하고 있으며, 10월 28~29일 회의에서는 62%로 반영 중이다.

다음 날에는 에어비앤비(ABNB)·디즈니(DIS)·우버(UBER) 등 대형 종목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어서,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마무리 및 전망

서비스업 지표 둔화와 가격 압력 재확인이라는 상반된 신호 속에서, 연준의 성장 둔화 vs 물가 안정 사이의 균형 잡기 전략이 다시 시험대에 올랐다. 시장은 금리 인하 기대를 유지하면서도 무역갈등 재점화에 따른 공급망·물가 충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지만, 이익 모멘텀 개선세가 유지되는 한 대세 하락 전환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