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서비스업 지표 부진에 뉴욕증시 하락 마감

뉴욕증시가 약세로 하루를 마무리했다. 6일(현지시간) S&P 500지수는 전장 대비 -0.49%,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14%, 나스닥100지수는 -0.73% 각각 내리며 거래를 끝냈다. 같은 날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0.46%,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71% 떨어졌다.

2025년 8월 6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장 초반까지 기술주 강세로 상승세를 보였지만, 발표된 미국 7월 ISM 서비스업 지수가 예상보다 크게 둔화되며 하락 전환했다. 해당 지수는 전월 대비 0.7포인트 떨어진 50.1로 집계돼 시장 전망치(51.5)를 밑돌았다. 아울러 서비스 가격지불지수(prices paid)69.9로 2.75년 만의 최고치를 경신해 인플레이션 우려를 자극했다.

투자심리에는

“서비스업 활동이 정체 국면에 들어섰지만, 가격 압력이 여전히 높다”

는 시장 해석이 반영됐다. 이는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인하를 서두르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기술주·특정 종목 동향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LTR)는 2분기 깜짝 실적과 연간 가이던스 상향에 힘입어 +7% 급등하며 장 초반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그러나 인스파이어 메디컬(INSP)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치료기기 업체는 매출 전망 하향 탓에 -34% 폭락했고, IT 컨설팅사 가트너(IT)도 실적 가이던스를 낮추며 -27% 급락해 투자심리를 악화시켰다.

나스닥100에서는 버텍스 파마슈티컬스(VRTX)가 말초신경병증 치료제 Journavx 임상 3상 중단 소식으로 -20% 넘게 빠졌다. 반면 테이저·바디캠 제조업체 액손 엔터프라이즈(AXON)는 매출·EBITDA 전망을 상향하며 +16% 급등해 대조를 이뤘다.

거시경제·정책 변수

지난주 부진한 고용·제조업 지표로 인해 9월 FOMC 정례회의에서 25bp(0.25%p) 금리 인하 가능성은 직전 40%에서 94%까지 상승했다. 샌프란시스코 연은 메리 데일리 총재는 “노동시장이 식어가고 관세 인플레이션 조짐이 없으며, 금리 인하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고 언급해 비둘기파(완화적) 시각을 강화했다.

무역수지 개선도 긍정적이었다. 6월 미국 무역수지 적자는 전월 -717억 달러에서 -602억 달러로 축소돼 1.75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2분기 국내총생산(GDP)에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채권시장 동향

9월물 10년물 미 국채선물(ZNU25)은 2.5틱 하락했고, 10년물 금리는 4.202%로 1bp 올랐다. 재무부가 이번 주 1250억 달러 규모의 분기별 환매(refunding) 국채를 발행하는 공급 부담이 수익률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3년물 580억 달러 입찰은 2.53의 응찰률(Bid-to-Cover)을 보여 최근 10회 평균(2.58)을 하회, 수요가 다소 약화됐음을 시사했다.

유럽 시장에서는 독일 10년물 국채금리가 2.624%로 보합,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4.516%로 0.8bp 상승했다. 유로존 7월 종합 PMI는 50.9로 소폭 하향 조정됐고, 영국 종합 PMI는 51.5로 상향 조정됐다.


관세 뉴스 및 정치 리스크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한 인도를 겨냥해 미국산 수입품 관세를 25%→35%로 대폭 인상하겠다고 예고했다. 앞서 캐나다 제품에는 25%→35%, 주요 흑자국에는 15% 이상의 관세를 부과할 방침을 밝힌 바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이러한 조치가 시행되면 미국 평균 관세율은 15.2%로 상승해 2024년(2.3%) 대비 6배 이상 높아질 것으로 추정했다.


기업 실적 시즌 현황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 500 기업 중 67%가 2분기 실적을 공개했으며, 이 중 83%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현재까지 집계된 2분기 순이익 증가율+9.1%로, 시즌 전 예상치(+2.8%)를 크게 웃돌아 4년 만의 최고 수준이다.

7일(현지) 예정된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3천 건 증가한 22만1천 건으로 예상된다. 같은 날 발표될 2분기 비농업 생산성+2.0%, 단위노동비용은 +1.5%로 관측된다.


용어 설명

ISM(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서비스업 지수는 미국 공급관리협회가 매월 발표하는 서비스업 경기 선행지표다.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 50 이하면 경기 위축을 의미한다. Bid-to-Cover는 국채 입찰에서 응찰총액을 발행총액으로 나눈 값으로, 높을수록 수요가 강하다는 뜻이다.


다음 발표 예정 주요 실적

6일 장 마감 후 또는 7일 개장 전 에어비앤비(ABNB), 맥도날드(MCD), 월트디즈니(DIS), 우버(UBER) 등 대형 기술·소비재 기업 다수가 실적을 공개한다. 시장은 IT·소비재 섹터의 수요 회복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기사 말미 선언 : 본 기사에서 언급된 종목에 대해 작성자는 직접적인 투자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모든 정보는 투자 자문이 아닌 일반 정보 제공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