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서비스업 경기지표 부진과 물가 압력 지속 우려 속에 일제히 하락했다.
6일(현지시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전장 대비 -0.49% 내렸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14%, 나스닥100 지수는 -0.73% 각각 하락했다. 같은 날 9월물 S&P500 E-미니 선물은 -0.46%, 9월물 나스닥 E-미니 선물은 -0.71% 밀렸다.
2025년 8월 6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미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7월 서비스업 PMI(구매관리자지수)는 50.1로 전월 대비 0.7포인트 하락, 시장 예상치(51.5)를 밑돌며 확장·수축의 경계선(50)에 근접했다. 반면 서비스업 물가를 보여주는 ‘가격지불지수’는 2.4포인트 급등한 69.9로 2년 9개월 만의 최고치다. 이 같은 ‘성장 둔화+물가 고착’ 조합이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기술주 반짝 상승 후 하락 전환
장 초반에는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7%)가 예상을 웃도는 실적과 연간 가이던스 상향을 발표한 데 힘입어 기술주가 강세를 보였다. 그러나 서비스 지표 쇼크가 전해지자 매수세가 주춤했고 지수는 결국 음봉으로 돌아섰다.
연준 금리 인하 기대 급증
지난주 부진한 비농업 고용·제조업 지표 여파와 이날 서비스 지표까지 겹치면서, 연방기금선물 시장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0.25%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을 94%로 반영했다. 10월 회의 인하 확률도 62%로 높아졌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가 “노동 시장 냉각이 뚜렷해지고 관세발(發) 인플레이션 조짐이 없다는 점에서 인하 시기가 다가온다”고 언급한 점이 기대감을 키웠다.
무역적자·관세 이슈
6월 미국 무역적자는 602억 달러로 1년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며 2분기 국내총생산(GDP)에 긍정적 요인으로 꼽혔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캐나다 등 주요 교역국에 대한 관세 인상 방침을 잇달아 발표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모든 관세가 예정대로 시행될 경우 미국 평균 관세율이 기존 13.3%에서 15.2%로 뛰어올라, 2024년(2.3%) 대비 여섯 배 이상 높아진다고 분석했다.
채권시장 동향
같은 날 9월물 미 10년물 국채선물은 -2.5틱 하락했고, 10년물 금리는 1bp 오른 4.202%를 기록했다. 재무부가 이번 주 1,250억 달러 규모의 분기 환매(refunding) 채권을 발행하는 가운데, 3년물 580억 달러 입찰 수요(입찰 대비 배정 비율 2.53)는 최근 10차례 평균(2.58)을 밑돌았다. 서비스업 물가 지표가 예상밖으로 급등한 점도 채권 매도 요인이었다.
“노동시장이 식고 있고 관세발 물가 상승 신호가 없는 만큼 금리 인하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 —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유럽·아시아 증시
해외에서는 유로 Stoxx50 지수가 +0.14% 상승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96%, 일본 니케이225는 +0.64% 각각 올랐다.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2.601%까지 떨어졌다가 2.624%로 마감했고,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4.516%로 0.8bp 상승했다.
개별 종목별 등락
하락 종목
• 인스파이어 메디컬 시스템즈(-34%): 연매출 전망 대폭 하향(9억~9.1억 달러).
• 가트너(-27%): 연매출 전망 64.6억 달러로 하향.
• 버텍스 파마슈티컬스(-20%): 신경병성 통증 치료제 임상 3상 중단.
• 트랜스딤그룹(-12%): 3분기 매출·가이던스 부진.
• 글로벌파운드리스(-9%): 3분기 주당순이익(EPS) 가이던스 눈높이 미달.
상승 종목
• 엑손 엔터프라이즈(AXON)(+16%): 매출·EBITDA 가이던스 상향.
• 팔란티어(PLTR)(+7%): 매출 10억 달러 기록, 연간 가이던스 상향.
• 유나이티드헬스(UNH)(+4%):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보너스 기준 완화 전망.
• 화이자(PFE)(+5%): 2분기 매출 146.5억 달러로 예상 상회.
ISM·T-노트 용어 해설
ISM 서비스업 PMI는 미국 서비스 산업의 경기 확장·수축 흐름을 보여주는 지표로 50을 기준으로 한다. T-노트(Treasury Note)는 만기 1~10년 사이의 미 국채를 가리키며, 투자자들은 금리 전망과 인플레이션 기대를 반영해 매매한다.
향후 일정 및 실적 전망
이번 주 시장은 기업 실적 발표와 무역·관세 관련 발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8월 7일(목)에는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2만1,000건, 2분기 비농업 생산성은 2.0%, 단위노동비용은 1.5% 증가가 각각 예상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500 기업 중 67%가 실적을 발표한 현재, 83%가 시장 기대를 상회했고 2분기 이익 증가율은 9.1%로 4년 만에 최고치다.
6일 예정된 주요 실적 발표 기업은 에어비앤비, 맥도날드, 월트디즈니, 우버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