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서비스업 둔화·가격 압력 지속…뉴욕 3대 지수 일제히 하락

뉴욕증권거래소에서 5일(현지시간) 마감한 미국 주식시장은 서비스업 지표 부진과 가격 압력 지속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약세로 돌아섰다.

2025년 8월 6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49% 내린 5,209.91포인트로 거래를 마쳤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14% 떨어진 40,236.52포인트로 장을 마감했다. 기술주 비중이 큰 나스닥100 지수 역시 0.73% 하락해 18,144.06포인트를 기록했다. 같은 날 시카고선물거래소(CME)에서 거래되는 9월물 E-미니 S&P500 선물은 0.46%,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71% 각각 밀리며 현물 장의 약세 흐름을 확인했다.

핵심 변수는 미국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7월 서비스업 PMI(구매관리자지수)였다. 지수는 전월보다 0.7포인트 떨어진 50.1을 기록해 시장 컨센서스(51.5)를 하회했다. 서비스업이 전체 경제활동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의 특성상, 해당 지표 둔화는 경기펀더멘털에 대한 우려를 자극했다. 더욱이 가격지불지수(prices paid)는 2.4포인트 급등한 69.9로 2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으며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를 되돌렸다.

개장 직후만 해도 시장은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주가가 7% 급등하며 기술주 전반에 훈풍을 불어넣었다. 팔란티어는 2분기 매출 10억 달러, 주당순이익(EPS) 15센트를 발표해 월가 예상을 웃긴 데다 연간 가이던스도 상향 조정했다. 그러나 오전 10시(동부 기준) 발표된 ISM 지표 이후 매수세는 빠르게 위축됐다.

고용·제조업 지표 부진은 연준(연방준비제도) 통화정책에 대한 완화 기대를 부추기고 있다. 지난주 발표된 7월 비농업부문 고용보고서와 ISM 제조업 PMI가 모두 예상을 하회한 뒤, 연방기금선물시장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25bp(0.25%p) 금리 인하가 단행될 확률을 94%로 반영 중이다. 10월 회의 기준 확률도 62%에 달한다.

한편 6월 미국 무역적자는 602억 달러로 전월(717억 달러) 대비 축소돼 1년 9개월 만에 최소치를 기록했다. 이는 2분기 국내총생산(GDP) 잠정치 상향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정·관·업계 동향

전일 오후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노동시장이 냉각되고 관세발(發) 인플레이션 조짐이 없다면 인하 시점이 멀지 않았다’고 언급해 비둘기파(dovish) 스탠스를 재확인했다. *비둘기파: 통화완화에 우호적인 정책 입장을 의미

무역 측면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이유로 대(對)인도 관세를 현행 25%에서 ‘대폭 상향’하겠다고 밝혔으며, 앞서 캐나다 일부 품목엔 35% 관세를 부과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예정된 조치가 모두 시행될 경우 미국 평균 관세율은 15.2%로 치솟아 2024년 2.3% 대비 6배 이상 급등한다.


채권시장과 금리

같은 날 9월물 미국 10년 만기 국채선물은 2.5틱 하락했고, 국채금리는 4.202%로 1bp 상승했다. 재무부는 이번 주 1,250억 달러 규모의 3·10·30년물 정기 환매(refunding) 입찰을 진행 중인데, 첫날 3년물(580억 달러) 응찰률은 2.53으로 최근 10회 평균 2.58을 밑돌았다.

독일 10년물 분트(bund) 금리는 1.5주 만에 2.601%까지 내려갔다가 보합 마감했고, 영국 10년물 길트(gilt)는 4.496% 저점 이후 4.516%로 0.8bp 상승했다. 유로존 7월 합성 PMI는 50.9로 하향 조정된 반면, 영국은 51.5로 상향 조정됐다.


주요 개별 종목 동향

하락 종목
· 인스파이어 메디컬시스템(-34%):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90억~91억 달러로 하향해 컨센서스(94억9,200만 달러)를 밑돌았다.
· 가트너(-27%): 연간 매출 전망을 64억6,000만 달러로 내리며 S&P500 내 최대 낙폭.
· 버텍스 파마슈티컬스(-20%): 말초신경병증 치료제 Journavx 3상 진입 불발.
· 트랜스딤 그룹(-12%): 3분기 매출 22억4,000만 달러(컨센서스 23억 달러) 미달.
· 글로벌파운드리스(-9%): 3분기 EPS 가이던스 하단(0.33달러) 제시.

상승 종목
· 액손 엔터프라이즈(+16%): 2분기 매출 6억6,850만 달러, 연간 EBITDA 상향.
·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7%): 2분기 매출 10억 달러, 연매출 전망을 41억4,000만~41억5,000만 달러로 상향.
· 레이도스 홀딩스(+7%): 2분기 매출 42억5,000만 달러로 예상을 상회.
· 유나이티드헬스(+4%):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보너스 기준 완화 기대.
· 화이자(+5%): 2분기 매출 146억5,000만 달러로 예상(135억 달러) 상회.

이 밖에 브로드리지 파이낸셜 솔루션스(+6%), 아처대니얼스미들랜드(+6%), 커민스(+3%) 등이 실적 호조로 상승했다.


이번 주 예정 지표·이벤트

· 8일(목)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22.1만 건 전망(전주 21.8만 건)
· 8일(목) 2분기 비농업부문 생산성: 전기 대비 +2.0% 전망
· 8일(목) 단위노동비용: +1.5% 전망

※ ISM 서비스업 PMI란? 제조업·비제조업 구매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지수화한 것으로,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 미만이면 위축을 의미한다.

※ ‘가격지불지수’(prices paid)란? 기업들이 공급업체에 지급한 가격 변동을 측정, 향후 소비자물가(CPI)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서비스업 활동 둔화에도 불구하고 가격 압력이 완화되지 않으면서 연준은 인하 시점을 놓고 딜레마에 빠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필자는 시장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는 지표 발표 일정과 개별 종목 실적 가이던스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특히 연준이 9월 회의에서 인하를 단행하더라도 서비스 물가가 잡히지 않는 한 장기 금리(10년물 이상)는 제한적 하락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투자자들은 주식·채권 간 분산과 현금 비중 확대 전략을 병행하며 불확실성에 대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