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생산자물가 급등 여파에 뉴욕증시 혼조 마감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15일(현지시간) 상승·하락세가 엇갈린 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0.09% 올라선 반면,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0.02% 하락했고 나스닥100지수는 보합권에 머물렀다.

2025년 8월 15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같은 날 만기물인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0.08% 내렸고,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도 0.24% 떨어졌다. 장 초반 투자자들은 강한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와 10년물 국채금리 5bp(1bp=0.01%p) 상승에 부담을 느꼈으나, 이후 일부 낙폭을 만회하며 지수별로 혼조세를 나타냈다.

시장 변동성은 두 연방준비제도(Fed) 인사들의 매파성 발언으로 더욱 커졌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은행 총재와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방은행 총재는 나란히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0.50%포인트(50bp)의 대폭 인하 가능성은 낮다”는 견해를 밝혔다. 이에 따라 연방기금선물시장은 9월 회의에서 0.25%포인트(25bp) 인하 가능성을 93%로, 50bp 인하 가능성은 0%로 재조정했다.


뜨거웠던 7월 PPI: 물가 재가속 신호

7월 미 최종수요 PPI는 전월 대비 0.9%, 전년 대비 3.3% 급등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각각 0.2%, 2.5%)를 크게 웃돌았다. 변동성이 큰 식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PI 역시 전월 대비 0.9%, 전년 대비 3.7% 뛰어 “기업들이 관세 부담을 도매 단계에서 소비자 가격으로 전가하고 있다”는 해석을 낳았다.

투자은행들은 이번 PPI 서프라이즈를 두고 “CPI(소비자물가지수) 둔화만으로 안심할 상황이 아니다”라고 평가한다. 실제로 8월 1일 발표된 7월 고용 부진과 13일 공개된 7월 CPI 안정 덕분에 한때 40%였던 9월 25bp 인하 기대치는 불과 2주 만에 93%까지 치솟았지만, 그 속도조절 필요성이 제기되는 셈이다.


실물·정책 변수: 트럼프–푸틴 정상회담·관세정책

시장 참여자들은 16일 15시 30분(미 동부시간) 예정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정상회담 결과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합동 기자회견에서 어떤 발언이 나올지가 단기 주가 방향을 좌우할 수 있다”

는 분석이다.

통상 정책 면에서도 변수는 적지 않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관세 휴전을 90일 추가 연장(11월까지)하면서도, 반도체 수입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인도산(産) 제품에는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이유로 관세율을 25%→50%로 높이겠다고도 예고했다. 블룸버그이코노믹스는 “모든 조치가 계획대로 시행되면 미국 평균 관세율이 15.2%로, 2024년 2.3% 대비 여섯 배 이상 뛸 것”이라고 추산했다.


미 고용지표: 견조하지만 완만한 개선

동시에 발표된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2만4천 건으로 전주 대비 3천 건 줄었고, 계속 청구건수도 15만 건 감소한 195만3천 건을 기록했다. 노동시장이 여전히 건실함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데일리 총재는 “50bp 인하는 노동시장에 과도한 긴급 신호를 줄 수 있다”며 올해 두 차례(각 25bp) 인하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무살렘 총재도 “현재 경제 여건으로는 50bp 인하를 뒷받침하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국채·글로벌 금리 동향

채권시장에서 9월 만기 10년물 T-노트 가격은 10.5틱 하락했고, 수익률은 4.287%로 5.4bp 상승했다. 인플레이션 기대를 반영하는 10년물 브레이크이븐(BEI)은 2.396%로 2.1bp 올랐다.

유럽도 비슷한 흐름이다. 독일 10년물 분트 수익률은 2.712%(+3.2bp), 영국 10년물 길트 수익률은 4.641%(+5.1bp)로 상승했다. 시장은 9월 11일 열리는 유럽중앙은행(ECB) 회의에서 25bp 인하 확률을 7%로만 반영하고 있다.


미국 기업 실적 및 개별 종목 동향

블룸버그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500 구성 기업의 82%가 2분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EPS(주당순이익)는 전년 대비 9.1% 증가해 시즌 전 전망치(2.8%)를 크게 웃돌았다. 이는 4년 만의 최대 증가율이다.

‘매그니피센트 7’ 가운데 아마존이 2.9% 올라 최대 상승을 기록했고, 테슬라는 1.1% 밀렸다. 반도체주는 혼조였다. 인텔이 7.4% 뛰었으나, 어드밴스드마이크로디바이시스(AMD), 어라인테크놀로지스, 글로벌파운드리스는 1% 넘게 하락했다.

가상자산 약세로 비트코인이 4% 가까이 급락하며 코인베이스(–0.7%), 마이크로스트래티지(–4.4%) 등이 영향을 받았다. 반면 라이엇플랫폼스는 5.7% 올랐다.

업종별로는 시스코시스템즈(–1.5%)가 보수적 가이던스로, 디어(–6.8%)가 곡물가 하락과 관세 불확실성으로 미끄러졌다. 반면 다우는 BofA 글로벌리서치가 “주가가 과도하게 저평가됐다”는 이유로 투자의견을 상향하면서 2% 반등했다. CVS헬스도 턴어라운드 기대감으로 2.4% 올랐다.


향후 일정 및 시장 전망

16일에는 ▲7월 미국 소매판매(전월 대비 +0.6% 예상), ▲자동차 제외 소매판매(+0.3% 예상), ▲산업생산·제조업생산(각 보합 예상),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8월 예비치)(62.0 예상) 등이 발표된다.

연방기금선물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93%, 10월 28~29일 회의에서 추가 25bp 인하 가능성을 53%로 가격에 반영 중이다.


전문가 해설: PPI 쇼크가 의미하는 것*

*해당 단락은 기자의 분석 및 의견을 포함한다.

PPI(Producer Price Index)는 도매 단계 물가를 측정한다. 소비자물가(CPI)가 ‘끝단’이라면, PPI는 ‘중간 단계’라는 점에서 물가 선행지표로 통한다. 7월 수치처럼 전월 대비 0.9% 급등은 연간화(annualize) 시 두 자릿수 인플레이션도 시사해, 연준의 물가 안정 목표(2%)와 괴리가 커진다.

관세 인상은 공급망 비용을 자극해 PPI→CPI 전이 가능성을 높인다. 시장이 ‘조기·대폭’ 금리인하 베팅을 줄일 수밖에 없는 구조다.

③ 다만 미 노동시장이 급격히 둔화하지 않는 한, “연준은 25bp씩 천천히 움직이며 데이터를 지켜볼 가능성”이 크다. 현재 10년물 BEI(2.4%)가 장기물 기대 인플레이션 상단(2.5% 내외)을 넘지 않은 점도 이 같은 ‘점진 완화’ 시나리오를 지지한다.

종합적으로, 금융시장 참가자들은 ▶높은 PPI에 따른 인플레 우려 ▶관세·지정학 변수 ▶정책 불확실성 속에서 변동성 확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