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생돼지 선물가격, 금요일 소폭 반등…주간 기준 하락세는 이어져

시카고상품거래소(CME)생돼지(Lean Hog) 선물 가격이 1일(현지시간) 금요일장에서는 근월물 기준 22~62센트 오르며 소폭 반등했다. 그러나 가장 거래가 활발한 8월물은 이번 주 전체로 보면 여전히 1.35달러 하락해 주간 약세 흐름을 완전히 만회하지는 못했다.

2025년 8월 2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미국 농무부(USDA)가 집계한 전국 현물 기준 돼지 평균 가격은 전일 대비 2.76달러 낮아진 100파운드(cwt)당 108.91달러로 발표됐다. 같은 날 CME 생돼지 현물지수(CME Lean Hog Index)도 7월 30일자 기준 14센트 떨어진 110.37달러를 기록했다.

8월물 생돼지 선물 차트

선물·현물 가격 지표가 동반 하락세를 보인 것은 여름철 수요가 피크를 지나면서 도매가격 조정이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7월 29일 기준으로 집계한 투기성 자금(매니지드 머니)의 순매수 포지션은 전주 대비 2,821계약 줄어 107,586계약으로 감소했다. 이는 기관·헤지펀드 등이 돼지 선물 상승 전망에 다소 신중해졌음을 의미한다.


■ 도매·도축 수급 현황

USDA가 발표한 공장도(FOB) 기준 돼지고기 컷아웃 지수는 금요일 오후 cwt당 116.94달러로 전일 대비 2.94달러 상승했다. 햄(ham) 부분육만 소폭 하락했고, 삼겹살(belly) 지수는 8.72달러 급등하며 전체 지수를 끌어올렸다.

이번 주 미국 내 돼지 도축두수233만6,000마리로 집계됐다. 전주보다 6,000마리 늘었지만 전년 동주 대비 6,879마리 감소한 규모다. 전문가들은 “여름철 더위로 인한 체중 감소와 생산 조절이 겹치면서 공급 증가 속도가 완만하다”고 분석한다.


■ 개별 월물 종가

8월물(2025년) 생돼지 선물은 107.350달러로 0.225달러 상승 마감했다.
10월물90.050달러(+0.475달러), 12월물82.350달러(+0.62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10월물 생돼지 선물 차트

계절적으로 8월 이후에는 미국 내 육가공업체가 이른바 ‘햄 수요 피크’를 맞으면서 햄용 도축이 늘고, 동시에 학사 일정에 맞춰 급식·레스토랑 수요도 재개돼 일부 월물 간 스프레드 거래가 활발해지는 경향이 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계절성을 주목하며 월물별 가격차를 이용한 전략을 구사한다.


■ 용어 풀이 및 투자 유의사항

생돼지 선물(Lean Hog Futures)은 거세되지 않은 경량 돼지를 대상으로 하는 시카고상품거래소의 표준화된 선물계약이다. 계약 단위는 40,000파운드이며, 가격 단위는 100파운드당 달러(cwt)다. 일반 투자자에게는 변동성이 큰 파생상품이므로 증거금·가격 제한폭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CME Lean Hog Index현물 돼지 가격을 2일 지연·가중평균한 지수로, 선물 만기 시 현·선물 가격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결제 기반 역할을 한다. 현물 지수보다 선물 가격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으면 콘탱고·백워데이션 구조가 발생해 차익거래 기회가 생길 수 있다.

Austin Schroeder 필자는 기사 작성일 기준 해당 종목의 직·간접 포지션이 없음을 밝혔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손익에 대한 책임은 독자에게 있다.


■ 시장 전망과 관전 포인트

시장은 중국 ASF(아프리카돼지열병) 재발 가능성, 미국 내 수출 물량, 사료용 옥수수·대두 가격 등을 주요 변수로 지목한다. 사료 가격이 안정세를 유지한다면 생산 확대 압력이 늘 수 있지만, 가뭄·기상이변으로 곡물 가격이 급등할 경우 사육 비용 상승이 곧바로 선물·현물 가격에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연준(Fed)의 기준금리 경로달러 인덱스 흐름도 미국산 돼지고기 수출 경쟁력에 직결될 전망이다. 달러 강세는 해외 바이어의 구매력을 약화시켜 수출 가격 부담을 키우기 때문이다.

12월물 생돼지 선물 차트

“단기적으로는 도매 삼겹살 가격 급등에 힘입어 선물 반등이 이어질 수 있으나, 햄 가격 약세도축두수 증가가 맞물릴 경우 재차 조정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경계론이 팽배하다.

과거 계절 패턴을 보면 9~10월에는 도축두수가 본격적으로 늘어나며 선물 가격이 전형적인 하향 사이클에 진입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하반기 진입 전 헷지(위험회피) 전략을 재점검하고, 현물·선물 스프레드 확대 구간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 관련 기사

• Lean Hogs Are Starting to Stumble. Are Prices Set to Fall?
• Lean Hog Futures Warn of a Market Top, But Can Burgers and BLTs Save the Day?
• Are New Contract Highs in Store for Lean Hogs?
• Lean Hog Futures Just Hit a New High and No Market Top Is in Sight

해당 기사들은 바차트(Barchart) 플랫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생돼지 시장 참여자에게 심층 분석 자료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