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선물거래소(CBOT)에서 거래되는 대두(소이빈) 선물 가격이 8월 9일(현지 시각) 금요일 장 마감 기준으로 대부분의 근월물에서 부셸당 5~7센트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다. 9월물과 11월물은 주간 기준 1¾센트 내리며 약보합권에서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cmdtyView가 집계한 미국 전국 평균 대두 현물가는 전일 대비 7센트 낮은 9.28¼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단백질 부산물인 소이밀 선물은 40~70센트 상승해 일중 반등에 성공했고, 9월물 주간 기준으로는 5.70달러 올랐다. 대두유(소이오일) 선물은 하루 만에 78~88포인트 하락했고, 9월물은 주간 기준 177포인트 빠지며 부진을 면치 못했다.
2025년 8월 9일, 바차트(Barchart)·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기관투자자의 매도 포지션이 다시 한 번 확대됐다. ‘매니지드 머니’로 분류되는 헤지펀드·CTA(상품투자자문사)는 8월 5일 기준 순매도 계약을 전주 대비 29,619건 늘려 65,930건으로 확대했다. 상업 헤지 계좌(Commercials) 역시 68,230건 순매도로 집계됐으나, 주간 기준 19,529건 감소하며 일부 매도 차익실현 움직임이 포착됐다.
기상 변수도 시장 심리에 영향을 주고 있다. 향후 7일 예보에 따르면 아이오와주 중앙부, 위스콘신주 남부, 미주리주 북부, 일리노이주 북서부 지역에는 1~5인치(약 25~127㎜)가량의 강우가 예상된다. 캔자스·미네소타·인디애나·미시간 일부 지역도 최대 1인치(25㎜) 수준의 비가 예보돼, 결실기(pod-setting)를 맞은 중서부 콩밭의 수분 스트레스가 완화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 8월 13일 발표 예정인 미 농무부(USDA) 작황·생산 보고서(크롭 프로덕션 리포트) 전망
시장조사업체들이 집계한 컨센서스는 미국산 신곡 대두 평균 단수(yield)를 에이커당 53부셸(bpa)로 추정한다. 예상 범위는 52~54bpa이며, 총 생산량은 43억7,400만부셸로 7월 WASDE(세계 농업수급전망) 대비 3,900만부셸 늘어난 수준이다.
수출 수급도 주목받는다. FAS(해외농업서비스국)의 주간 수출 판매 집계에 따르면, 구곡(2024/25년도산) 대두 누적 판매·선적 물량은 5,149만3,000t으로 USDA 연간 전망치의 101%에 달한다. 그러나 실제 선적(Export Inspection) 기준 물량은 4,788만7,000t으로 목표 대비 94%에 그쳐, 평년 진도율(45%)보다는 높지만 최근 5개년 평균(103%)에는 못 미친다.
■ 주요 근월물·차월물 시세(8월 9일 종가)*CBOT
- 8월물 대두: 9.66¾달러, 전일 대비 5센트 하락
- 미국 전국 평균 현물가: 9.28¼달러, 7센트 하락
- 9월물 대두: 9.67¾달러, 6¼센트 하락
- 11월물(신곡) 대두: 9.87½달러, 6¼센트 하락
- 신곡 현물가: 9.19달러, 6½센트 하락
해당 기사를 작성한 오스틴 슈로더는 본문에서 언급된 어떤 상품에도 직접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모든 데이터와 정보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자문이 아님을 명시하고 있다.
용어 해설 및 시장 분석
매니지드 머니(Managed Money)란 헤지펀드, 커머디티 트레이딩 어드바이저(CTA) 등 전문 운용사가 보유한 투기적 포지션을 말한다. 이들의 순매도 물량이 늘어나면 가격 하방 압력이 커질 수 있다. 반면 상업 헤지 계좌(Commercials)는 실제 곡물을 취급하는 곡물기업·가공업체가 매매하는 포지션으로, 생산·가공·유통 과정의 가격 위험을 헷지하기 위해 매수·매도를 병행한다.
이번 주 대두 시장은 기상 호전(비 소식)과 수급 리포트 발표를 앞둔 경계 심리가 맞물리며 변동성이 확대됐다. 특히 소이밀이 강세로 전환한 점이 눈에 띄는데, 이는 동물사료 수요가 견고한 데다 일부 밀·옥수수 혼합 사료 배합 비율이 조정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망記者 해설 : 미국 중서부 파종 면적이 크게 줄지 않은 상황에서, 8월 중·하순 기상 패턴과 9월 초 수확기 초기 수확 결과가 향후 가격 방향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은 단수 54bpa 돌파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으나, 엘니뇨로 인한 고온건조 리스크가 상존해 단기 반등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헤지펀드가 기록적인 순매도를 쌓은 만큼, 숏 커버링에 따른 기술적 랠리가 9월 WASDE 이후 발생할 소지도 있다. 다만 중국·EU의 수입 수요가 뚜렷이 개선되지 않는 한 추세적 상승으로 이어지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시각이 우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