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두선물, 대두박 강세에 힘입어 추가 상승

[시카고 선물시장 동향]
미국 대두(소이빈) 선물 가격이 18일(현지시간)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근월물 기준 부셸당 6~9센트 오르며 한 주를 마감했다. 8월물은 주간 기준으로 23 1⁄2 센트 상승했다.

2025년 7월 20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cmdtyView가 집계한 미국 전국 평균 신규 수확물 현·선물 가격(New Crop Cash Bean)은 이날 부셸당 9.90달러로 7 3⁄4 센트 올랐다. 같은 날 대두박(소이밀) 선물은 t당 5.30달러 급등했으며, 8월물 기준으로는 주간 3.70달러 상승했다. 반면, 대두유(소이오일) 선물의 근월물은 40~42포인트 하락했으나, 주간 기준으로는 207포인트 상승 흐름을 유지했다.

투자자 포지션 변화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7월 15일로 끝난 주간에 집계한 투기적 포지션 자료에 따르면, 헤지펀드·CTA(운용전문가)는 대두 선물·옵션 시장에서 순매도(네트 숏) 26,062계약을 추가해 총 32,278계약으로 순매도 규모를 확대했다. 대두박 시장에서도 순매도 1,537계약이 늘어나 사상 최대치인 133,016계약을 기록했다.

수출 상황
미국 농무부(USDA) 주간 집계에 따르면, 2024/25 마케팅연도 대두 수출 누적 약정(커미트먼트)은 5,064만8,000톤(MMT)으로 연간 전망치의 100%를 달성했지만, 최근 5년 평균(102%)에는 다소 못 미쳤다.


종목별 종가
• 2025년 8월 인도분 대두는 부셸당 10.27 3⁄4달러에 마감, 전일 대비 6 1⁄4센트 상승.
• 현물 근월물(Cash)은 9.90달러, 7 3⁄4센트 상승.
• 2025년 9월 인도분 대두는 10.21달러, 9센트 상승.
• 2026년 1월(신곡) 인도분 대두는 10.52 3⁄4달러, 9센트 상승.
• 신곡 현물(New Crop Cash)은 9.86 1⁄4달러, 9센트 상승.

※ 용어 해설
근월물(nearby) : 가장 가까운 인도월 선물 계약.
순매도(네트 숏) : 매도 포지션에서 매수 포지션을 뺀 계약 수. 양이 클수록 향후 가격 상승(쇼트커버링) 위험이 커질 수 있다.
마케팅연도(marketing year) : 농산물 통계에서 사용되는 회계연도로, 대두는 보통 9월 1일 시작.
커미트먼트 오브 트레이더스(Commitments of Traders) : CFTC가 매주 발표하는 선물·옵션 포지션 보고서로, 투기적·상업적 포지션을 확인할 수 있다.

시장 해석 및 전망
전문가들은 최근 대두박 수요 회복과 미국 중서부 기상 불확실성이 대두 가격을 지지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그러나 헤지펀드가 대규모 순매도를 유지함에 따라 변동성 확대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 대두유 약세는 재생가능 연료(RD) 수요 둔화 우려가 압박 요인으로 작용했다.

투자자 주의 사항
Austin Schroeder 기자는 본 보도 시점에 본문에서 언급한 어떠한 상품 또는 증권에 대해서도 직·간접적인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는 참고용이며,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따르고 있다.

“대두 가격은 단기적으로 공급·수요 변수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특히 올해 남반구 작황과 미국 주요 산지 강수 패턴이 주요 변수다.”

관련 리서치(원문 링크)
• Q2 in Grains and the Outlook for Q3
• Market Bottom Watch: How Much Higher Can Soybean Prices Go From Here?
• Can Soybean Prices Keep Trending Higher?
• How Should You Trade Soybean Meal Futures Now?

한편, 선물 시장 참가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경로와 글로벌 물가 동향도 주목하고 있다. 이는 달러 인덱스를 통해 곡물 가격에 간접 영향을 미친다. 달러 강세는 미국산 농산물의 상대적 가격 매력을 낮춰 수출 계약을 둔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향후 주간 수급 보고와 8월 USDA 수급 전망 보고서(WASDE)가 공개될 경우, 숏커버링 여부와 신규 매수세 진입 시점을 가늠할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