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선물 가격이 미국 관세 완화 기대를 배경으로 이틀 연속 약세를 보였다. 12월 아라비카 커피 선물(KCZ25)은 -0.55센트(-0.14%) 하락했고, 1월 ICE 로부스타 커피 선물(RMF26)은 -5달러(-0.11%) 내렸다. 특히 로부스타는 2주 최저 수준까지 밀렸다.
2025년 11월 13일, 나스닥닷컴에 게재된 바차트(Barchart) 보도에 따르면, 가격 압박의 직접적 배경에는 미국의 대외 관세 인하 가능성을 둘러싼 기대가 있다. 미 재무부 장관 베센트(Bessent)는 수요일 “미국에서 재배되지 않는 농작물(커피 포함)에 대해 향후 며칠 내 ‘상당한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은 커피에 대한 관세 인하 기대를 키우며 단기적으로 선물 가격에 하방 압력을 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 내에서 재배되지 않는 작물, 커피를 포함해 향후 며칠 안에 ‘상당한 발표’가 있을 것이다.” —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
바차트는 또한 “원유부터 커피까지 아우르는 자사 원자재 분석” 뉴스레터 무료 구독을 안내했다.
공급 전망도 가격을 좌우하는 핵심 요인이다. 수요일 스톤엑스(StoneX)는 2026/27 시즌에 브라질 커피 생산이 7,070만 포대에 달할 것으로 첫 전망을 내놨다. 이 중 아라비카는 4,720만 포대로, 전년 대비 +29% 증가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러한 대규모 증산 예상은 가격을 누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브라질의 기상 개선도 단기 작황 우려 완화에 힘을 보탰다. 기상사 소마르 메테오롤로지아(Somar Meteorologia)는 월요일, 브라질 최대 아라비카 산지인 미나스제라이스가 11월 7일까지 한 주 동안 72.1mm의 강우를 기록해, 역사적 평균의 160%에 달했다고 보고했다.
베트남 공급 증가는 가격에 약세 재료로 작용했다. 베트남 통계청은 지난주 목요일, 2025년 1~10월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13.4% 증가한 131만 톤(1.31 MMT)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2025/26년 베트남 커피 생산은 전년 대비 +6% 늘어난 176만 톤(1.76 MMT), 즉 2,940만 포대로 4년래 최고가 될 것으로 추정됐다. 베트남 커피·카카오협회(VICOFA)도 10월 24일, 날씨가 우호적일 경우 2025/26년 생산이 직전 작기 대비 10%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베트남은 세계 최대의 로부스타 생산국이다.
한편, ICE 선물거래소의 모니터링 재고 축소는 가격에 지지 요인이다. 미국의 브라질산 수입에 대한 50% 관세가 부과된 이후, ICE 커피 재고는 급격한 감소세를 보였다. 수요일 기준 ICE 아라비카 재고는 404,930포대로 1.75년래 최저를 기록했고, ICE 로부스타 재고는 오늘 5,760계약으로 3.75개월래 최저까지 낮아졌다. 미국 바이어들은 브라질산 커피에 대한 50% 관세를 이유로 신규 계약을 취소하고 있으며, 미국의 생두 약 3분의 1이 브라질에서 들어온다는 점에서 국내 공급 타이트닝으로 이어지고 있다.
국제 커피기구(ICO)는 월요일, 현 마케팅 연도(10월~9월) 글로벌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0.3% 감소한 1억3,865만8천 포대였다고 보고했다. 이는 전 세계 공급 타이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어 가격에 보조적 지지를 제공한다.
기상 리스크도 변수다. 미 해양대기청(NOAA)은 9월 16일, 남반구 10~12월 라니냐 발생 가능성을 71%로 상향했다. 라니냐는 브라질의 과도한 건조를 유발해 2026/27년 커피 작황을 훼손할 수 있다. 브라질은 세계 최대의 아라비카 생산국이다.
브라질 콩압(Conab)은 9월 4일, 브라질 2025년 아라비카 생산 추정치를 5월 전망치 3,700만 포대에서 3,520만 포대로 -4.9% 하향했다. 총 브라질 2025년 커피 생산 전망치도 5월의 5,570만 포대에서 5,520만 포대로 -0.9% 낮춰 잡았다.
공식 수급 전망에 따르면, 미국 농무부(USDA) 해외농업국(FAS)은 6월 25일, 2025/26년 세계 커피 생산이 전년 대비 +2.5% 증가한 1억7,868만 포대로 사상 최고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가운데 아라비카는 -1.7% 감소한 9,702만2천 포대, 로부스타는 +7.9% 증가한 8,165만8천 포대가 예상됐다. 브라질 2025/26년 생산은 +0.5% 증가한 6,500만 포대, 베트남은 +6.9% 늘어난 3,100만 포대로 4년래 최고를 기록할 전망이다. 2025/26년 기말재고는 +4.9% 증가한 2,281만9천 포대(2024/25년 2,175만2천 포대)로 예상됐다.
용어 해설과 맥락
•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전자는 풍미와 산미가 강한 고급종으로 스페셜티 시장 비중이 높고, 후자는 카페인 함량과 내병성이 높아 인스턴트 및 블렌드에 광범위하게 쓰인다. 시장에서는 두 품종 간 수급 격차가 스프레드에 반영되어 가격 변동을 키우곤 한다.
• ICE 모니터링 재고: 국제선물거래소(Intercontinental Exchange)가 공인한 창고의 인도 가능 물량으로, 선물 만기 인도와 현물 수급의 경계에 있는 지표다. 재고가 줄면 단기 타이트닝과 결제 리스크 우려로 현·선물 동반 강세를 부를 수 있다.
• 선물 코드(KCZ25, RMF26): 상품, 인도월, 연도를 조합한 표기다. 예컨대 KCZ25는 커피(코드 KC), 12월물(Z), 2025년 인도를 뜻한다. 이러한 코드 이해는 만기 구조(커브) 해석과 롤오버 전략 수립에 필수적이다.
기자 분석: 이번 하락은 정책 기대(관세 인하 가능성)와 공급 개선 신호(브라질·베트남 생산 증가 전망)가 단기 수급을 느슨하게 만들 것이라는 선반영 성격이 강하다. 다만, ICE 재고 축소와 ICO 수출 감소는 글로벌 공급의 구조적 타이트가 쉽게 해소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여기에 라니냐 71% 가능성은 2026/27 작황 불확실성을 키워 중기 상승 리스크로 남아 있다. 따라서 단기에는 관세·생산 뉴스에 민감한 변동성 장세가, 중기에는 기상 리스크와 재고 레벨이 가격의 하단을 지지하는 박스권 전개가 유력하다. 원두 조달 기업과 로스터는 관세 정책 이벤트 전후로 헤지 비중을 유연하게 조정하고, 아라비카-로부스타 스프레드의 비대칭 변동을 활용한 상대가치 전략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미국이 브라질산 50% 관세를 실제로 완화할 경우, 미국 내 현물 타이트는 완화되겠지만, 브라질-미국 간 무역 재개 속도와 조건에 따라 ICE 인증 재고의 회복은 시차를 두고 나타날 수 있다. 반대로 정책이 지연되거나 변동성이 커지면, 쿠말드(Commodity + Volatility) 환경에서 옵션 프리미엄이 높아져 옵션 매도 전략의 위험 관리가 중요해진다.
공시 및 고지
게재 시점 기준, 리치 아스플런드(Rich Asplund)는 본문에 언급된 유가증권에 대해 직·간접 보유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자문이 아니다. 자세한 사항은 바차트 공시 정책을 참고할 수 있다. 본문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