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중국산 음극재용 그래파이트에 93.5% 예비 반덤핑 관세…아시아 배터리주 일제히 급등

아시아 배터리 관련주가 일제히 급등했다. 미국 상무부가 중국산 음극재(anode-grade) 그래파이트에 최대 93.5%의 예비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대체 공급처로 주목받는 한국·호주·인도 등의 비(非)중국계 업체가 투자자 관심을 끈 결과다.

2025년 7월 18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중국 정부의 보조금으로 인해 가격이 왜곡됐다는 판정을 내리고, 전기차(EV) 배터리 핵심 소재인 음극재용 그래파이트에 대해 예비 반덤핑·상계 관세를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예비판정이지만, 시장은 공급망 다변화 필요성이 현실화됐다고 평가하며 즉각 반응했다.

최종 반덤핑·상계 관세율은 2025년 12월 5일 발표될 예정이다.

그때까지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의 산업 피해 조사 및 상무부의 추가 검증 절차가 이어진다. 업계 관계자들은 “93.5%라는 수치는 사실상 중국산 음극재의 미국 수출을 중단시키는 수준”이라며, 향후 1년 반 동안 글로벌 그래파이트 가격 및 전기차 밸류체인에 구조적 변동을 예고했다.


주요 아시아 그래파이트·배터리 종목 반응

한국 포스코퓨처엠(종목코드 003670) 주가는 장중 20% 이상 급등해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3% 상승했다. 호주 시라 리소시스(Syrah Resources)는 35% 급등했고, 미국 테네시에서 음극재 공장을 가동 중인 노보닉스(Novonix Ltd) 역시 21% 뛰었다. 홍콩에 상장된 세계 최대 배터리 기업 CATL은 2%대, 인도 그래파이트 인디아(Graphite India)는 4% 상승했다.

특히 포스코퓨처엠은 세라믹 코팅·고용량 음극재 등 고부가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있어, 중국 의존도가 감소할수록 가격 협상력이 높아질 것으로 평가된다. 증권업계는 “포스코퓨처엠의 미국·캐나다 합작 투자도 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래파이트란 무엇인가?

그래파이트는 흑연이라고도 하며, 리튬이온 배터리의 음극(-)에 삽입돼 리튬이온을 저장·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전극 소재 총 원가의 10~15%를 차지하고, 에너지 밀도와 충전 속도를 결정짓는 핵심 원료다. 현재 글로벌 음극재 시장의 80% 이상을 중국이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의 고율 관세는 사실상 탈(脫)중국을 강제하는 조치로 받아들여진다.

전문가 시각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가 글로벌 배터리 밸류체인의 리쇼어링(Reshoring)을 가속화할 것으로 내다본다. 반덤핑·상계 관세는 보조금 규모에 따라 매년 재산정될 여지가 있으므로, 미국 및 동맹국 소재 공장 투자에 추가 인센티브가 붙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호주·캐나다의 광산 개발 프로젝트와 한국 소재 업체의 북미 합작사가 동시다발적으로 자금 유치에 나서고 있다.

다만 관세 부과로 단기 원가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중국산 그래파이트는 그동안 저렴한 단가와 안정적 공급으로 인기를 누렸는데, 이를 대체하려면 생산능력 증설과 추가 R&D가 필수다. 한 자동차부품협회 관계자는 “배터리 팩 단가 상승이 소비자 판매가에 전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 업계 영향

국내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 등 주요 3사가 미국 공장 가동을 앞두고 있어, 안정적 소재 수급이 절실하다. 정부도 ‘K-배터리 전략’을 통해 음극재·양극재·전해질 등 핵심 소재 국산화율을 2027년까지 6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번 미국 관세는 사실상 국내 업체의 해외 진출을 촉진하고, 동반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일정 및 전망

2025년 12월 5일미 상무부와 ITC의 최종 관세율 발표 예정.
• 이후 5년간 매년 재검토 절차를 통해 관세율이 조정될 수 있다.
IRA(인플레이션 감축법)·BIL(인프라법) 등 미국 친환경 정책과 연계돼 세액공제·보조금 구조가 재편될 가능성.

종합하면, 이번 예비 관세는 전 세계 배터리 산업 지형을 재편할 중대한 변곡점으로 평가된다. 한국·호주·인도 등 비중국계 소재기업들은 공급망 분산이라는 구조적 수혜를, 완성차·배터리 업체는 원가 상승과 공급망 확보라는 이중 과제를 동시에 떠안게 됐다. 향후 관세가 최종 확정되면, 투자 흐름은 더욱 ‘중국 대체·북미 집중’으로 뚜렷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