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인터넷 요금이 미국 가계의 새로운 고정지출 항목으로 부상하고 있다. 일부 주(州)에서는 1인당 연간 400달러 미만으로 연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주에서는 1,600달러 이상이 필요해 주별 격차가 극명하다.
2025년 8월 3일, 나스닥닷컴(Nasdaq.com)이 인용한 파워초이스텍사스(Power Choice Texas) 보고서에 따르면, 휴대전화·고정 인터넷 요금이 차지하는 개인 소득 비중은 최대 3.48%로 확인됐다. 이는 최저 비용 주 대비 네 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보고서와 함께 공개된 통신 속도 전문 플랫폼 하이스피드인터넷닷컴(HighSpeedInternet.com)의 최신 자료에 따르면, 가격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속도가 빠른 것은 아니었다. 일부 고비용 주는 평균 속도에서도 하위권에 머물렀다.
Mbps란?
Mbps(Megabits per second)는 초당 전송 가능한 데이터 양을 뜻한다. 숫자가 높을수록 다운로드·스트리밍·화상회의 품질이 개선된다. 그러나 가격 대비 속도 효율이 낮으면 소비자 만족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일부 주에선 빠른 인터넷이 필수가 된 원격근무 환경에서조차 가성비가 최악이다” – 파워초이스텍사스 보고서
주별 통신비·속도·소득 비중 순위
캔자스주(Kansas)
· 연간 1인당 비용: $1,576
· 소득 대비 비중: 3.48% (전국 1위)
· 평균 속도: 186.88 Mbps (50개 주 중 34위)
워싱턴주(Washington)
· 연간 1인당 비용: $1,618
· 소득 대비 비중: 2.70%
· 평균 속도: 201.11 Mbps (23위)
텍사스주(Texas)
· 연간 1인당 비용: $1,225
· 소득 대비 비중: 2.67%
· 평균 속도: 225.74 Mbps (8위)
펜실베이니아주(Pennsylvania)
· 연간 1인당 비용: $994
· 소득 대비 비중: 2.10%
· 평균 속도: 204.66 Mbps (20위)
버지니아주(Virginia)
· 연간 1인당 비용: $1,018
· 소득 대비 비중: 2.04%
· 평균 속도: 230.49 Mbps (6위)
뉴햄프셔주(New Hampshire)
· 연간 1인당 비용: $992
· 소득 대비 비중: 1.99%
· 평균 속도: 217.06 Mbps (14위)
캘리포니아주(California)
· 연간 1인당 비용: $1,004
· 소득 대비 비중: 1.86%
· 평균 속도: 223.59 Mbps (9위)
뉴욕주(New York)
· 연간 1인당 비용: $1,030
· 소득 대비 비중: 1.81%
· 평균 속도: 208.05 Mbps (17위)
알래스카주(Alaska)
· 연간 1인당 비용: $1,006
· 소득 대비 비중: 1.79%
· 평균 속도: 125.09 Mbps (50위, 최하위)
매사추세츠주(Massachusetts)
· 연간 1인당 비용: $1,006
· 소득 대비 비중: 1.66%
· 평균 속도: 218.54 Mbps (12위)
전문가 시각과 시사점
통신·미디어 애널리스트들은 “인플레이션 완화 국면에도 통신비는 하락하지 않는 점착적 가격(sticky price) 특성을 보인다”고 지적한다. 이는 가격이 한번 오르면 쉽게 내려가지 않는다는 경제학 용어다.
특히 원격근무·온라인 교육 확산으로 고품질 인터넷이 필수재로 전환된 상황에서, 소득이 낮은 주의 가계일수록 ‘디지털 접근성 비용’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러한 구조적 불균형은 노동시장·교육기회·원격의료 등 사회 전반에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다.
정책 측면에서 연방정부가 추진 중인 브로드밴드 인프라 법안(BEAD·Broadband Equity, Access, and Deployment)이 고비용·저속도 지역을 개선할 대표 수단으로 거론된다. 다만, 실제 가계 부담 완화로 이어지기 위해선 요금 투명성과 경쟁 촉진이 병행돼야 한다.
기자 의견
최근 한국 역시 통신 3사가 5G 요금제를 둘러싼 가격·품질 논란을 겪고 있다. 미국 사례는 ‘가격 대비 체감 품질’을 소비자 권리로 규정하고, 속도·품질·가격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 규제당국과 사업자의 과제임을 시사한다.
궁극적으로는 통신을 공공재에 준하는 인프라로 인식해, 계층 간 정보격차를 줄이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한국이 참고할 만하다.
ⓒ 2025 GOBankingRates / Nasdaq.com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