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레스토랑협회, 30% 관세 계획에 강력 반대… “1년간 151억 달러 손실” 경고

미국 외식업계를 대표하는 미국레스토랑협회(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NRA)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예고한 30% 수입 관세에 대해 “극도로 우려한다”며 공식 서한을 보냈다.

2025년 7월 30일, 로이터(Reuters) 통신 보도에 따르면, 협회는 같은 날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에게 서한을 발송해 멕시코와 유럽연합(EU)산 식‧음료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 계획이 “외식업계의 ‘극도로 얇은 이익률(razor-thin margins)’을 송두리째 흔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달 초 멕시코 및 EU에서 들여오는 모든 수입품에 대해 8월 1일부터 3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했다. 이에 따라 멕시코·캐나다산 식료품에 같은 수준의 관세가 적용될 경우, 미국 레스토랑 업계가 1년 동안 부담해야 할 추가 비용은 151억6,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NRA는 추산했다.


관세가 불러올 ‘연쇄 충격’

NRA는 서한에서 “미·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규정을 준수하는 물품은 반드시 면제 대상에 포함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관세 부담이 커지면 외식업체들은 메뉴 가격 인상 외에는 선택지가 없으며, 결국 소비자가 그 비용을 떠안게 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브라질이나 EU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커피·소고기·와인‧증류주 등 핵심 공급망이 흔들려 “중대한 공급 차질”이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우리 업계는 마음대로 가격을 올릴 수 없는 구조이며, 관세로 인한 조달 비용 증가는 고스란히 영업이익 악화로 이어진다.” – 미국레스토랑협회 서한 중


대형 프랜차이즈는 ‘직격탄 제한적’… 조달 다변화가 관건

한편 대형 프랜차이즈들은 실적 발표(earnings call)에서 관세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Yum! Brands(KFC·타코벨·피자헛 모회사)의 크리스토퍼 터너 최고재무책임자(CFO)는 4월 말 컨퍼런스콜에서 “관세로 인한 위험은 ‘최소(minimal)’ 수준”이라고 밝혔다. Restaurant Brands International(NYSE: QSR)의 CFO 사미 시딕키도 “우리는 대부분의 재료를 현지에서 조달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업계 전반으로 보자면, 500,000곳 이상의 레스토랑을 대변하는 NRA는 관세가 중소업체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공급망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독립 레스토랑과 지역 체인은 대량구매를 통한 원가 절감이 어렵기 때문이다.


로비 활동 강화… 연초부터 ‘무역 전면전’ 대비

NRA는 올해 초부터 미 의회 상‧하원, USTR, 상무부 등을 상대로 무역 정책 관련 로비를 진행해 왔다. 최근 제출된 로비 공시(lobbying report)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도 지난 2월 같은 내용의 서한을 보내 식‧음료 관세 면제를 요청했다.

USMCA는 2020년 7월 발효된 북미 자유무역협정(NAFTA) 후속 협정으로, 회원국 간에는 관세를 대폭 낮추거나 없앤다. NRA는 “협정 취지에 따라 관세 면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전문가 해설: ‘USMCA’와 ‘CFO’는 무엇인가?

USMCA(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는 미국(United States)‧멕시코(Mexico)‧캐나다(Canada) 간 통상 장벽을 낮추고 투자 규칙을 통일한 새 무역협정이다. 기존 NAFTA를 대체하며, 농축산물·자동차·지식재산권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세 및 규제를 조정한다.

CFO(Chief Financial Officer)는 기업의 최고재무책임자로, 자금 조달·재무 전략·회계·투자 등을 총괄한다. 대형 외식기업이 관세 영향을 ‘제한적’으로 판단하는 배경에는 이들이 CFO 주도로 현지 공급망 다변화를 이미 마쳤다는 점이 자리한다.


향후 전망

트럼프 전 대통령이 실제로 30% 관세를 강행할 경우, 외식업계는 재료비 급등과 물류 혼란을 동시에 겪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커피·와인·소고기 같이 특정 국가 의존도가 높은 품목의 가격이 선제적으로 오를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대형 프랜차이즈는 버티겠지만, 독립 레스토랑 상당수가 ‘가격 인상 또는 영업 중단’ 양자택일 상황에 놓일 수 있다”고 경고한다.

관세 발효일까지 한 달가량 남은 가운데, NRA는 여야 의원 및 행정부 실무진 설득에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관세 정책이 최종 확정되려면 행정명령과 실무 지침이 추가로 필요해, 협회가 영향력을 행사할 시간적 여지는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