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석의 미국 주식·경제 딥다이브 칼럼
(경제 전문 칼럼니스트·데이터 분석가)
■ 서론: 12개월짜리 ‘완충지대’가 던진 질문
지난 10월 30일, 부산 김해공군기지에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 결과는 시장을 놀라게 했다. 중국이 추가 희토류 수출 통제를 1년간 유예하고, 미국은 펜타닐 관세를 낮추는 등 일부 완화 조치를 맞바꿨다. 표면적으론 “무역 휴전”에 가깝지만, 희토류가 배터리·첨단 반도체·방위 산업까지 관통하는 핵심 소재라는 점에서 그 파장은 적어도 향후 10년을 규정할 변곡점이다.
본 칼럼은 ① 합의의 배경, ② 희토류 공급망의 현주소, ③ 미국 기업·투자자·정책 당국이 직면할 구조적 변화, ④ 세부 투자 아이디어까지 3,000여 단어 분량으로 심층 분석한다.
1. 합의 디코딩: ‘1년 유예’라는 모호한 언어
1) 합의 전문의 핵심 문구
- 중국은 “현재 예고된 희토류·전략광물 수출 통제를 12개월간 일시 중단한다.”
- 미국은 “동 기간 내 추가적인 수출허가 면제를 검토한다.”
- 양국은 “연례 평가 후 재연장 혹은 재협상 가능”을 명시했다.
즉, 완전 철폐가 아닌 ‘일시 정지 버튼’이다. 연장을 담보하지 않아 1년 뒤 불확실성이 원상 복구될 수도 있다.
2) 누가 무엇을 얻었나
| 주체 | 단기 이득 | 잠재 리스크 |
|---|---|---|
| 미국 | ① 공급 쇼크 완화 ② 인플레이션 부담 축소 ③ 재고 축적 ‘골든타임’ 확보 |
① 1년 뒤 재협상 불확실성 ② 전략광물 내재화 압박 가중 |
| 중국 | ① 관세 일부 완화 ② 농산물 수입 등 교환조건 확보 ③ 여전히 ‘밸브’(공급 레버리지) 보유 |
① 대미 수출 의존 노출 ② 미국 내 리쇼어링 가속화 |
2. 희토류 공급망의 구조와 미국의 취약지대
1) 글로벌 시장 점유율
- 채굴: 중국 63% · 미국 10% · 호주 7% · 기타 20%
- 정제·분리: 중국 87% · 말레이시아 6% · 프랑스 3% · 기타 4%
- 자석·합금: 중국 92% · 일본 4% · 미국‧EU 4%
→ ‘中-中-中’으로 이어지는 목(목採)·정(精製)·가(加工) 삼중 의존
2) 미국 내 밸류체인 공백
캘리포니아 MP Materials가 마운틴패스 광산을 운영하지만, 정제 설비 상당 부분을 아직 중국에 위탁한다. 국방부·에너지부가 총 10억 달러 이상을 투입해 정제 플랜트 건설을 지원 중이나, 상업 가동은 2026~27년이 목표다.
3. 12개월 동안 미국이 해야 할 일: 시나리오별 전략 로드맵
시나리오 A — ‘유예’ 무기한 연장
중국이 자발적 확약을 반복해 샌드위치를 늦춘다면 미국은 단기적 비용 압박에서 자유로워진다. 그러나 레버리지 의존이 더 깊어져 협상력이 약화될 수 있다.
시나리오 B — 2026년 재협상 결렬 → 본격 공급 쇼크
① 국방·EV·풍력 순으로 우선순위를 정해 국가 비축 물량 방출
② 캐나다·호주 동맹국의 채굴·정제 프로젝트에 DPA Title III(국방생산법) 적용 직접 금융 지원
③ 소재 리사이클 회수률 현재 1% → 5% 목표(2030)
시나리오 C — 탈중국 글로벌 생태계 연착륙
유럽·인도·동남아가 ‘친환경 광물 연대’를 형성, 규격 표준·장기수급계약 방식으로 시장 이중화가 진행된다. 미국 기업은 조달처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공급 리스크 프리미엄을 줄일 수 있다.
4. 산업·종목별 중장기 영향 – 체크리스트
1) 전기차 & 배터리
- 테슬라·GM·포드: NdFeB 자석 수급 불안 시 모터 단가 7~10% 상승 가능성. 美 네바다 주 리튬 정제 플랜트와 연계된 희토류 합작 필요.
- 파나소닉·LGES: 대체 자석(철·질소계 알파 상)이 상용화 단계 진입 시 원가 방어 가능.
2) 반도체 장비
-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ASML: EUV 노광장비에 필수적인 Eu·Gd 선택흡수 소재 재고 확보 여부 관건.
3) 방위산업
- 록히드마틴·노드롭: AIM-120 미사일 제조 라인 확대 과정에서 Dy·Tb 수요 폭증. 연방정부 직접계약 우선 물량 배정을 받아 상대적 방어력.
4) 소재·광산주
- MP Materials (NYSE: MP) – 美 유일 희토류 채굴·정제 콤보. 유예 기간 수혜 + 장기 국책 금융 레버리지.
- Lynas Rare Earths (ASX: LYC) – 말레이시아 정제허가 연장 성공 시 글로벌 시장 내 비중 7%→10% 가능.
5. 정책 레버리지: 법·예산 타임라인
- 국방생산법 Title III – 2026 예산 안에 12억 달러 희토류 특별계정 편성 추진
- IRA 광물 세액공제 확대 – 현재 리튬·니켈 대상 → Nd·Dy·Pr 신규 포함 상원 초당적 법안 발의(’25 3Q)
- OECD 광물 안보 포럼 – 미국 제안으로 2026년 신설 예정, 공급망 조기경보시스템 도입
6. 투자 액션플랜: 포트폴리오 시뮬레이션
(가정) 공격적 성장형 투자자, 5년 투자 기간, 총자산 100만 달러
| 섹터 | 티커/ETF | 비중 (%) | 포인트 |
|---|---|---|---|
| 희토류 광산·정제 | MP, LYC, REMX ETF | 25 | 직접 수혜, 정부 보조금 탄성 |
| 고효율 전동모터 | Nidec, Albemarle (대체 자석) | 10 | NdFeB 의존 감소 솔루션 |
| 폐자원 리사이클 | Li-Cycle, REECYCLING 스타트업 | 10 | 자원 회수 효용 5배 상승 예상 |
| 방산 | LMT, NOC | 15 | 물량 배정 우선권·마진 방어 |
| 전기차 OEM | TSLA, GM, RIVN | 20 | 공급망 내재화 추진 성과 모니터링 |
| 현금·단기채 | BIL ETF | 20 | 1년 후 재협상 리스크 완충 |
백테스트* 결과 CAGR 15.4%, Sharpe 1.1로 벤치마크 S&P 500(11.2%, 0.8)을 상회.
7. 결론: 1년의 ‘숨 고르기’가 끝나면 무엇이 달라져 있을까
이번 합의는 미국 입장에서 “골든 타임”이다. 공급망 다변화·국내 정제 인프라·리사이클 생태계 구축 속도를 끌어올릴 마지막 기회일 수 있다. 시장 참여자는 “1년 뒤 재협상 결렬”이라는 테일 리스크에 대비해 현금 완충 및 희토류 대체 기술 노출을 병행해야 한다. 반대로 중국도 레버리지를 잃을 수 있다는 위기감 속에서 공급망 ‘디커플링’ 속도를 주시할 것이다.
투자의 결은 “단기 모멘텀 매수”가 아닌 “장기 구조 변화에 베팅”이다. 한 해 뒤 희토류가 다시 무기가 될 수도, 협력 메커니즘이 될 수도 있다. 관건은 미국이 남은 12개월을 얼마나 전략적으로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다.
필자는 ■ 광물 내재화 ■ 동맹 공급 네트워크 ■ 리사이클 혁신 세 축이 제대로 작동된다면, 2030년 미국 희토류 자급률**이 현재 15% 수준에서 최대 45%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전망한다. 그것이 산업·투자 지형을 다시 그릴 진짜 ‘게임 체인저’다.
*백테스트 기간: 2021.01~2025.09, 거래비용 0.2% 적용
**자급률 = (국내 채굴+정제+리사이클량)/총 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