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예비 무역 합의 소식에 뉴욕 증시 급등

S&P 500 지수($SPX)은 전 거래일 대비 +1.22% 상승하여 4,000선을 회복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69% 올랐으며, 기술주 비중이 높은 나스닥 100 지수는 +1.82% 급등했다. 동시에 선물시장에서도 2025년 12월물 E-mini S&P는 +1.21%, E-mini Nasdaq은 +1.83% 상승했다.

2025년 10월 28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랠리는 주말 동안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협상에서 “잠정적 무역 합의”가 도출됐다는 소식이 직접적인 촉매제로 작용했다.

양측 대표단은 오는 30일 쿠알라룸푸르 아세안(ASEAN) 정상회의 기간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합의를 최종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국 측 베센트 재무장관은 “이번 합의로 11월 1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던 중국산 전 수입품에 대한 100% 관세 위협은 사실상 철회됐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1년간 희토류 수출 제한을 유예하고 미국산 대두를 ‘substantial(대규모)’로 수입하기로 했다. 양국은 또한 선적 수수료, 펜타닐·전구체 대미 수출 단속, 미국 소비자의 TikTok 접근권 보장 등에 대해서도 진전을 이뤘다.

주목

베센트 장관은 차기 연준(Fed) 의장 후보를 크리스토퍼 월러, 케빈 워시, 케빈 해싯, 미셸 보우먼, 릭 리더 다섯 명으로 압축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내 후임자를 지명할 계획이며, 현 제롬 파월 의장은 2026년 5월 15일까지 임기가 남아 있지만 ‘더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원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을 받고 있다.


이번 주 주요 이벤트

이번 주에는 28~29일 열리는 FOMC 회의가 예정돼 있으며 시장은 25bp 기준금리 인하를 98% 확률로 반영하고 있다. 또 ‘매그니피션트 세븐’ 기업 중 5곳, 즉 알파벳·메타·마이크로소프트(수요일)와 애플·아마존(목요일)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어서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

지난주 발표된 9월 미국 CPI(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3.0%로 시장 예상치(+3.1%)보다 소폭 낮아 인플레이션 우려를 완화시켰다.

반면 대(對)캐나다 무역 관계는 악화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온타리오 주정부가 공개한 ‘반(反)관세’ 광고를 문제 삼아 캐나다산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당초 협상 중단 수준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조치로, 온타리오 주가 광고 중단에 합의했음에도 결정됐다.

주목

온타리오 광고에는 1987년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이 “관세는 구시대적 발상이며 혁신을 저해한다”고 발언한 연설 영상이 포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광고가 ‘기만적’이라며, 11월 5일 미 연방대법원의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 합헌성 심리에 영향을 주려는 의도라고 주장했다.

미 연방정부 셧다운은 5주 차에 접어들면서 경제 및 시장 심리를 압박하고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최대 64만 명의 연방 공무원 무급휴직이 실업률을 4.7%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실적 시즌이 이어지는 가운데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지금까지 실적을 발표한 S&P 500 기업의 84%가 시장 예상을 상회해 2021년 이후 최고 기록을 경신할 전망이다. 다만 3분기 순이익 성장률은 +7.2%로 2년 만에 가장 낮을 것으로 추정되고, 매출 증가율은 5.9%로 2분기(6.4%) 대비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

유럽 및 아시아 증시도 동반 상승했다. 유로 Stoxx 50은 +0.64%,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1.18%, 일본 닛케이225는 +2.46% 마감했다.

채권·금리 동향

12월물 10년 만기 미 국채선물(ZN)은 +0.5틱 상승해 금리(수익률)는 –1.2bp 하락한 3.989%를 기록했다. 무역 합의로 안전자산 선호는 약화됐으나,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2.288%로 –1.1bp 내려가면서 가격이 회복됐다. 유럽에서도 독일 10년물 분트 금리는 –1.0bp, 영국 길트 금리는 –3.0bp 떨어졌다.

미국 대형주 움직임

‘매그니피션트 세븐’ 전 종목이 상승 마감했다. 테슬라는 +4.3%, 알파벳 +3.6%, 엔비디아·애플은 각각 +2% 이상 올랐다.

반도체주퀄컴이 신형 AI 칩 발표로 +11% 폭등한 것을 필두로, 마벨 테크놀로지 +5%, Arm +4% 등 전반적인 강세를 나타냈다. 온세미컨덕터·램리서치·인텔도 3% 이상 상승했다.

가상자산 관련주도 비트코인(+3%)과 이더리움(+5%)의 상승을 반영해 라이엇 플랫폼스(+7%), 마이크로스트래티지(+2.3%), 코인베이스(+2.0%) 등이 강세를 보였다.

스위스계 노바티스가 120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한 Avidity Biosciences는 +42% 폭등했고, 노바티스 ADR은 –0.9% 약세였다.

오하이오주 헌팅턴 뱅크셰어스는 74억 달러 규모의 전액 주식 교환 방식으로 케이던스 뱅크 인수를 발표해 –1.8% 하락했으나, 피인수 기업 케이던스는 +4.4% 상승했다.

American Water WorksEssential Utilities는 120억 달러 규모 합병 완료 후 각각 –2.5%, –1.4% 하락했다. 반면 큐리그 닥터 페퍼는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며 +7% 급등했다.

룰루레몬 애슬레티카는 NFL 및 팬atics와의 라이선스 계약으로 +2% 상승했고, 로빈후드 마켓츠는 중국 CICC의 ‘아웃퍼폼’ 신규 커버리지로 +4% 올랐다.

금 채굴업체 뉴몬트는 네바다주 Barrick 금광 지분 확보 시도 소식에 –5% 하락했다. 보잉은 세인트루이스 공장 노사가 3개월 파업 종료를 위한 합의안 표결을 부결시켰음에도 +0.8% 상승 마감했다.

기업 실적 예정(10월 28일)

이번 날짜에는 DR호튼·페이팔·유나이티드헬스·웨이페어·UPS·비자 등 60여 개 기업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용어 설명 코너

E-mini는 CME(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소형 선물계약으로, 표준 계약 대비 증거금이 낮아 개인 투자자 참여가 활발하다. ‘매그니피션트 세븐’은 애플·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아마존·엔비디아·메타·테슬라 7개 대형 기술주를 통칭한다. 펜타닐은 강력한 합성 진통제로, 불법 유통 시 오피오이드 위기를 심화시키는 물질이다. CPI(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 물가 변동을 측정하는 대표적 물가 지표이며, 시장의 인플레이션 기대를 가늠하는 핵심 데이터다.

전문가 시각

현재 시장은 무역 마찰 완화, 연준의 점진적 금리 인하, 그리고 빅테크 실적 기대라는 ‘세 갈래 호재’가 맞물리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되는 모습이다. 다만 미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와 캐나다 관세 분쟁 같은 정치적 변수는 언제든 변동성 확대 요인이 될 수 있다. 특히 관세·무역정책을 둘러싼 대법원 판결 결과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여력이 크게 좌우될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금리 측면에서는 인플레이션 모멘텀 약화로 추가 완화가 가능하지만, 에너지·식품 가격 변동이 재차 인플레 기대를 자극할 위험도 상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