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k of America(BoA)의 최신 보고서는 미국이 일본·한국·유럽연합(EU) 등과 체결한 새로운 무역 합의가 미·중 협상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이라고 분석한다.
2025년 8월 8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8월 1일 기한 이전에 동맹국들과 잇달아 합의를 이끌어내며 미·중 대화를 앞둔 ‘준비 수순’을 마쳤다.
BoA는 이번 합의들의 핵심 공통점으로 ‘상호 호혜관세(reciprocal tariff) 15~20% 구간 설정’을 꼽는다. 이는 과거 20% 이상을 넘나들던 관세보다는 낮지만, 올해 초 잠정 유예됐던 10%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일본·한국·EU는 15% 관세를 적용받고,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19~20% 수준으로 다소 높다. 반면 미국에 무역수지 적자를 안겨주는 영국·싱가포르·브라질은 10%를 유지한다. 인도는 25%로 가장 높아 예외적인 사례로 분류된다. 자동차·철강 등 산업별 추가관세는 대부분 그대로 유지됐다.
“미국과 합의에 도달한 국가들은 대체로 유사한 양보를 했다”라고 BoA는 진단한다. 이들은 미국산 LNG(액화천연가스), 농산물, 자동차, 군사장비를 더 많이 수입하거나 미국 내 직접투자를 확대하기로 약속했다.
다만 일본 수석협상가가 “실제 투자 이행률은 약속 대비 극히 일부에 그칠 수 있다”고 시인하듯, 법적 구속력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있다.
중국의 경우, 지정학적 특수성과 대미 무역흑자로 인해 협상이 한층 복잡하다. BoA는 “현행 10% 상호관세가 20~25%로 상향될 위험이 존재한다”고 전망한다.
그러나 펜타닐(fentanyl) 관련 관세는 중국이 구체적 행동계획을 제시하면 ‘부분적·전면적 철폐’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고 BoA는 덧붙인다.
종합적으로 BoA는 “중국의 실효관세율이 현재보다 5~10%p 낮은 30~35% 구간까지 내려갈 수도 있다”고 본다.
용어·배경 설명
상호 호혜관세(reciprocal tariff)는 교역 상대국이 자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율과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상대국 제품에도 적용하겠다는 방식이다. 이는 ‘공정 무역’을 강조하는 미국 정부의 주요 정책 도구이다.
LNG(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영하 162℃로 냉각해 부피를 600분의 1로 줄인 연료로, 미국은 셰일 혁명 이후 주요 수출국으로 부상했다.
펜타닐은 강력한 합성 마약성 진통제로, 미국 내 오남용 문제로 인해 중국산 원료·완제품이 규제 대상이 돼 왔다. 관련 관세는 ‘마약성 진통제 불법 유입 저지’라는 명분 아래 부과됐다.
기자 해설·전망
이번 BoA 분석은 ‘15~20%’라는 새 관세 기준선이 미·중 협상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협상 카드가 된 펜타닐 관세를 통한 부분 타협, 중국의 추가 농산물 수입 확대, LNG 장기 구매 계약 등이 ‘교환 가치’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일본·한국 사례처럼 ‘투자 확대’가 강조되나 실제 이행률이 낮을 수 있다는 점은, 중국이 약속만으로 관세 인하를 유도하려 할 개연성을 높인다. 결과적으로 실효관세 30%대 중반이 잠정적 ‘합의선’이 될 수 있다는 BoA 전망은 투자자·기업 전략 설정의 기준점이 될 전망이다.
한편, 2024년 대선 이후 정책 기조 변화, 환율·금리 변수 등 외부 요인이 실효관세에 미치는 영향도 배제할 수 없다. 관세 협상이 장기화될수록 공급망 다변화 및 첨단 제조업 ‘리쇼어링(Reshoring)’ 추세가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이번 BoA 보고서는 미·중 협상 관세의 상향·하향 위험이 동시에 존재하지만, 최근 체결된 합의들이 ‘벤치마크’로 작용해 협상 불확실성을 일정 부분 제한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 이는 수출·수입 기업뿐 아니라 투자자, 정책 입안자에게도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