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본지 특파원 — 뉴욕증시가 1일(현지시간) S&P500과 나스닥100지수가 2주 만의 최저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가 5주 만의 최저치로 급락하며 한 주를 마감했다.
2025년 8월 3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전날 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10% 글로벌 최저관세’와 대미 무역흑자국 대상 ‘15% 이상 징벌적 관세’가 투자 심리를 짓눌렀다. 여기에 7월 고용·제조업 지표 부진이 겹치며 위험자산 전반에 Risk-Off 분위기가 확산됐다.
이날 S&P500지수는 -1.60%,
다우지수는 -1.23%,
나스닥100지수는 -1.96% 하락했다. 동일 만기 선물인 9월 E-mini S&P는 -1.67%, E-mini 나스닥은 -2.03% 떨어졌다.
1. 경제지표 쇼크와 국채금리 급락
미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7월 비농업 신규 고용은 7만3,000명 증가에 그쳐 시장 예상치(10만4,000명)를 크게 밑돌았다. 6월 수치는 14만 명으로 대폭 하향 조정됐다. 실업률은 4.2%로 0.1%p 상승했다. 다만 시간당 평균임금 상승률은 3.9%로 예상(3.8%)을 웃돌며 물가 압력을 완전히 지우지 못했다.
제조업도 흔들렸다. 공급관리협회(ISM) 7월 제조업 PMI는 48.0으로 9개월 만의 최저이자 경기 수축 국면을 뜻하는 50선을 밑돌았다.
“고용과 제조업의 동반 둔화는 금리 인하 기대를 자극하면서도 경기 침체 우려를 증폭시키는 양날의 검”
이라는 월가 평가가 나왔다.
지표 충격에 10년 만기 미 국채수익률은 1개월래 최저인 4.20%로 15.8bp 급락했다. 연방기금선물 시장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93% 확률로 25bp 인하를 반영했다(발표 전 40%).
2. 트럼프發 관세 폭탄과 지정학 리스크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밤 캐나다산 일부 제품 관세를 25%→35%로 올리고, 흑자국 전체에 15% 이상 관세를 부과한다고 선언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평균 미국 관세율이 2.3%(2024년)에서 15.2%로 급등할 것”이라 전망했다.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 전 대통령 드미트리 메드베데프의 ‘도발적 발언’에 대응해 핵추진 잠수함 2척을 ‘적절한 지역’에 전진 배치하겠다고 밝히면서 미·러 긴장이 고조됐다.
3. 실적 시즌: 빛과 그림자
이번 주는 S&P500 편입 기업 중 38%가 실적을 발표하는 최대 피크 구간이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 기준, 55% 이상의 기업이 실적을 내놓았고 그중 82%가 컨센서스를 상회해 2분기 순이익 증가율은 4.5%로 전망치(2.8%)를 웃돌았다.
다만 아마존은 3분기 영업이익 예상치(155~205억 달러) 중간값이 시장(194.2억 달러)을 밑돌면서 주가가 -8% 넘게 급락, 기술주 전반을 끌어내렸다.
반도체주는 Marvell -6%, Micron -4%, Nvidia·AMD·Intel 등 -2% 이상 동반 약세를 보였다. 플루어(-27%), 이스트만케미컬(-19%), 코인베이스(-16%) 등 개별 종목의 ‘어닝 미스’도 투자심리를 악화시켰다.
반면 금리 하락 수혜를 받는 주택건설주는 D.R.호튼 +5%, 레나·펄티그룹 +3% 상승했다. 몬올리식파워(+10%), 킴벌리-클라크(+4%), 레딧(+17%) 등은 깜짝 실적으로 돋보였다.
4. 유럽·아시아 증시 및 채권시장 동향
해외 증시도 동반 약세였다. 유로 Stoxx50은 3개월 만의 최저로 -2.90% 급락했고, 중국 상하이종합 -0.37%, 일본 닛케이225 -0.66%를 기록했다.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2.679%로 1.6bp, 영국 길트는 4.528%로 4.1bp 하락했다. 유로존 7월 CPI는 2.0%로 예상(1.9%)을 웃돌았지만, 시장은 9월 ECB의 인하 가능성을 14%로 반영하며 ‘스태그플레이션 딜레마’를 의식했다.
5. 용어 풀이 및 기자 해설
E-mini 선물은 CME가 거래소 규모를 1/5로 축소한 주가지수 선물로, 개인 투자자 접근성이 높다. Breakeven 인플레이션율은 명목 국채와 물가연동채(TIPS) 간 금리차로 향후 물가 기대를 가늠하는 지표다.
관세(tariff) 인상은 단기적으로는 수입 대체 효과로 일부 기업의 매출을 늘리지만, 장기적으로는 소비자 물가 상승과 공급망 왜곡, 해외 보복관세 등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이번 조치가 지속될 경우 2024~2025년 글로벌 교역량 둔화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기자 판단으로는 금리 인하 기대와 경기 침체 공포가 동시에 나타난 ‘Bad News Is Bad’ 국면으로, 기술주·고PER주에 대한 변동성이 한층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9월 FOMC 전까지 고용·물가지표가 추가로 약화될 경우 연준은 인하 카드로 기울 가능성이 크지만, 그 자체가 기업 실적 하향과 소비심리 위축을 동반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 한다.
연준 내부에서도 인플레이션 목표 복귀가 더디다는 견해가 잔존한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물가 진정은 고용보다 여전히 더디다”고 평가했고,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역시 “이번 고용지표는 실망스럽지만 노동시장은 여전히 견조하다”고 밝혔다.
향후 관전 포인트는 ① 8월 중순 발표될 7월 CPI·PPI, ② 8월 말 잭슨홀 심포지엄에서의 제롬 파월 의장 발언, ③ 주요국 보복관세 여부다. 특히 미·중 갈등과 러시아 리스크가 동시에 재점화될 경우, 안전자산 선호가 강화돼 달러·엔 강세, 원자재 약세 흐름이 가속화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