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대형 기술주 실적 부진과 추가 관세 충격, 미국 경기 둔화 우려가 한꺼번에 겹치면서 급락했다. 2일(현지시간) S&P500 지수는 전장보다 1.60% 하락하며 2주 만의 최저치로 밀렸고, 나스닥100 지수는 1.96% 내려 같은 기간 최저점을 경신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도 1.23% 떨어져 5주 만의 저점으로 후퇴했다.
2025년 8월 3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9월물 E-mini S&P500 선물은 1.67%, 9월물 E-mini 나스닥 선물은 2.03% 떨어졌다. E-mini 선물은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거래되는 소형 지수선물로, 개인투자자도 활용 가능한 대표적 파생상품이다. 이번 급락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글로벌 10% 최저 관세’ 발표 △아마존 실적 쇼크 △미 노동·제조업 지표 악화 △미·러 간 군사적 긴장 고조가 동시에 작용하며 ‘리스크 오프(Risk-off)’ 정서를 부추겼다.
■ 트럼프發 관세 쇼크
트럼프 전 대통령은 1일 심야 기자회견에서 “미국과 무역흑자를 내는 국가에는 최소 15%, 전 세계에는 10%의 관세 하한선을 적용하겠다”고 밝혀 시장을 놀라게 했다. 이미 캐나다산 일부 품목 관세율은 25%에서 35%로 상향됐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관세가 예고대로 시행되면 미국의 평균 관세율은 2024년 2.3%에서 15.2%로 치솟는다”고 분석했다.
■ 고용·제조업 지표 동반 부진
같은 날 발표된 7월 비농업 신규고용은 7만3000명 증가에 그쳐 시장 예상치(10만4000명)를 크게 밑돌았다. 6월 수치도 14만7000명 증가에서 1만4000명으로 대폭 하향 조정됐다. 실업률은 4.1%에서 4.2%로 0.1%p 상승했다. 반면 시간당 평균임금은 전년 동월 대비 3.9% 올라 임금-물가 상방 압력을 시사했다.
제조업 체감경기를 보여주는 7월 ISM 제조업지수도 49.0에서 48.0으로 후퇴,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위축됐다. 50을 밑돌면 생산활동이 위축 국면임을 뜻한다. 같은 달 미국 건설지출은 전월 대비 0.4% 감소해 ‘제로 성장’ 예상치를 빗나갔다.
■ 미·러 핵잠수함 긴장으로 위험회피 심화
트럼프 전 대통령은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전 러시아 대통령의 ‘도발적 발언’에 대응해 “미국 핵잠수함 두 척을 적절한 해역에 재배치했다”고 밝혔다. 지정학적 긴장 고조 소식은 이미 취약해진 투자심리를 더욱 위축시켰다.
■ 채권시장은 ‘연준 인하’ 베팅 강화
경기 둔화 신호가 잇따르면서 10년 만기 미 국채수익률은 4.216%로 15.8bp 급락하며 한 달 만의 최저치를 찍었다. 연방기금선물(FF) 시장은 9월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을 93%로 반영했다(발표 전 40%). 애틀랜타 연은의 라파엘 보스틱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와 여전히 거리가 있다”며 신중론을 유지했지만, 시장은 ‘경기 우선’에 무게를 실었다.
■ 유럽·아시아 증시도 동반 약세
유럽 유로스톡스50은 2.90% 급락해 3개월 만의 최저치를,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1.6bp 하락한 2.679%를 기록했다. 영국 길트 10년물도 4주래 최저(4.528%)로 내려갔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37%, 일본 닛케이225는 0.66% 각각 떨어졌다.
■ 대형 기술주 실적 경고
아마존은 3분기 영업이익 가이던스(155억~205억 달러)를 내놓았는데, 중간값이 컨센서스(194억2000만 달러)를 하회했다. 주가는 하루 만에 8% 이상 빠져 나스닥과 S&P 기술섹터에 큰 부담을 줬다.
반도체주는 마벨테크놀로지(-6%), 마이크론(-4%)을 필두로 엔비디아·AMD·글로벌파운드리스·인텔·ARM이 2% 넘게 밀렸다. 이는 AI(인공지능) 랠리로 급등했던 반도체 섹터의 차익실현 성격이 짙다는 평가다.
■ 개별 종목 뉴스
동시다발적인 실적 부진도 투자심리를 압박했다. 플루어는 2분기 주당순이익(EPS)이 43센트로 전망(56센트)을 밑돌면서 27% 폭락했다. 이스트만케미컬(-19%), 코인베이스(-16%), 더블유더블유 그레인저(-10%) 등도 잇단 실적 미스에 급락했다. 모더나는 연간 매출 전망을 시장 예상(20억7000만 달러) 이하로 줄이며 6% 하락했다.
반면 모놀리식파워시스템즈는 2분기 EPS(4.21달러)가 예상(4.12달러)을 웃돌며 10% 급등, S&P500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킴벌리클라크(+4%), 레딧(+17%) 등도 ‘어닝 서프라이즈’에 강세를 보였다.
■ 용어 해설
E-mini 선물은 CME가 운영하는 전자거래 전용 지수선물로, 기존 S&P500 선물 대비 계약 규모를 1/5로 줄여 개인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변동성이 크고 레버리지가 커 위험 관리가 필수다.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BEI)은 국채 실질수익률과 명목수익률 격차로 산출되는 기대 인플레이션 지표다. 10년물 BEI가 하락하면 시장의 중장기 물가 기대가 낮아진 것으로 해석한다.
■ 향후 일정 및 전망
오는 9월 16~17일 FOMC를 앞두고 시장은 고용·물가 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같은 주 38%의 S&P500 기업이 실적을 내놓으며 2분기 EPS 증가율은 4.5%로, 시즌 전 전망치(2.8%)를 상회했다. 하지만 관세 확대와 지정학적 리스크가 남아 있어 ‘악재 소화 능력’이 8월 증시의 핵심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관세-경기 둔화-지정학 리스크가 삼중고를 형성했다”면서도 “연준의 통화완화 기대가 하방을 일정 부분 방어할 것”이라고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