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러 갈등과 경기 둔화 우려에 뉴욕증시 급락…S&P 500·나스닥 2주 만에 최저

뉴욕증시 주요 지수8월 1일(현지시간) 금요일 일제히 급락했다. S&P 500 지수는 ‑1.60%, 나스닥 100 지수는 ‑1.96%를 기록해 2주 만에 최저치를 찍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역시 ‑1.23% 밀려 5주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동일 만기 선물가격도 E-미니 S&P 500 9월물이 ‑1.67%, E-미니 나스닥 9월물이 ‑2.03% 하락하며 위험회피 심리를 반영했다.

2025년 8월 4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관세 확대와 예상보다 부진한 미국 고용·제조업 지표, 그리고 미·러 간 핵잠수함 배치 관련 긴장 고조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이러한 복합 악재가 겹치며 주가는 장 후반으로 갈수록 낙폭을 키웠다.

“무역 흑자를 기록 중인 국가에는 최소 15%의 보복관세를 부과하겠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8월 1일 발표)

트럼프 전 대통령은 8월 7일 0시부터 10% 글로벌 최저 관세와 흑자국에 대한 15% 이상 관세를 전격 도입하겠다고 발표했다. 여기에 캐나다산 일부 상품 관세율을 25%에서 35%로 상향하겠다고 밝히면서 보호무역 우려가 증폭됐다.

기술주에선 아마존닷컴이 3분기 영업이익 전망을 시장 예상치(중간값 194억 달러)보다 낮은 155억~205억 달러로 제시해 주가가 8% 이상 급락, 나스닥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경기 지표 부진이 낙폭 확대

미 노동부가 발표한 7월 비농업 부문 신규고용(Non-farm payrolls)은 7만3천 명 증가에 그쳐 시장 예상치(10만4천 명)를 크게 하회했고, 6월 수치는 14만7천 명에서 1만4천 명으로 대폭 하향 조정됐다. 실업률은 4.1%에서 4.2%로 +0.1%p 상승했다. 반면 평균 시간당 임금은 전년 동월 대비 3.9% 올라 예상치(3.8%)를 소폭 웃돌았다.

미 공급관리협회(ISM)의 7월 제조업 지수는 49.0에서 48.0으로 떨어지며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위축됐다(50 미만은 경기 수축). 건설지출 또한 6월 기준 ‑0.4%(전월 대비)로 예상치(0%)를 하회했고, 미시간대 7월 소비심리 지수 잠정치는 61.8에서 61.7로 소폭 하향됐다.

이들 지표는 연준(Fed)이 9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할 가능성을 93%로 끌어올렸다(연준워치 자료). 국채금리는 즉각 반락해 10년물 수익률이 1개월래 최저치인 4.20%까지 밀렸다.

“인플레이션은 아직 목표와 거리가 있다.” —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보스틱 총재는 2025년 이후 금리 인하 예상 폭을 아직 확대할 단계가 아니라고 언급했고,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고용시장은 여전히 견조하지만 오늘 수치는 실망스럽다”고 평가했다.


해외시장 동향

유럽에서는 유로Stoxx 50이 ‑2.90% 급락하며 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2.639%까지 하락했다. 영국 FTSE 100은 ‑0.66% 하락 마감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37%, 일본 닛케이225는 ‑0.66% 떨어졌다. 유로존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로 예상(1.9%)을 소폭 상회했지만, 코어 물가는 2.3%로 시장 예상치와 일치했다.


◆ 용어 설명
비농업 부문 신규고용은 농림어업을 제외한 민간·공공 부문 고용 변화를 집계해 미국 경기 판단의 핵심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E-미니 선물은 CME에서 거래되는 소형 지수선물로, 일반 지수선물 대비 계약 단위가 작아 개인·기관 모두 유동성 확보에 유리하다. 10년물 T-노트(Treasury Note)는 미국 재무부가 발행하는 만기 10년 국채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대표적 장기 금리 벤치마크다. Breakeven 인플레이션율은 명목 금리와 물가연동국채(TIPS) 금리 차이를 통해 시장이 예상하는 향후 인플레이션 수준을 가늠하는 지표다.


◆ 종목별 등락 분석

하락 종목
Fluor는 2분기 조정 EPS가 0.43달러로 예상(0.56달러)을 밑돌고 연간 전망도 낮춰 ‑27% 폭락했다.
Eastman Chemical은 2분기 실적 부진으로 ‑19% 급락했다.
Coinbase Global은 매출 부진으로 ‑16%, WW Grainger는 가이던스 하향으로 ‑10% 빠졌다.
Moderna, Avis Budget Group도 각각 6%·3% 이상 하락했다.

반등 종목
Reddit은 2분기 매출이 예상(4.25억 달러)을 크게 웃돌며 +17% 급등했다.
• 10년물 금리 하락 수혜로 DR Horton·Lennar·PulteGroup 등 주택건설주가 2~5% 올랐다.
Monolithic Power Systems는 실적 서프라이즈로 +10%, Kimberly-Clark, ResMed, Eli Lilly도 2% 이상 상승했다.

한편 마이크론, 엔비디아, AMD, 인텔 등 반도체주는 동반 약세를 보였다. 이는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와 함께 어닝 시즌 여파가 겹친 결과로 풀이된다.


◆ 이번 주 주요 실적 발표(8월 4일)
Axon Enterprise, Coterra Energy, Diamondback Energy, Equity Residential, ON Semiconductor, Palantir Technologies, Simon Property Group, Tyson Foods, Vertex Pharmaceuticals 등 총 15개 기업의 2분기 성적이 예정돼 있다.

※ 투자 참고 사항
미 증시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 단기 매매보다는 위험 분산에 유리한 자산배분 전략 검토가 요구된다. 특히 관세 정책과 연준의 금리 결정이 맞물려 향후 한 달간 시장 변동폭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